• Title/Summary/Keyword: 관리적 대응방안

Search Result 1,220,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Planning Direction of Resilient Waterfront City considering Technological and Social Meaning (기술·사회적 특성을 고려한 워터프론트 도시의 리질리언트 공간계획)

  • Lee, Kum-Jin;Choi, Jin-Hee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4 no.3
    • /
    • pp.352-359
    • /
    • 2018
  • Purpose: This study aims to suggest new strategy of planning water management and land use in response to abnormal weather which allow waterfront to be the cities through the experience of Netherlands resilient project. Method: A planning direction is developed based on Dutch national resilient policy and strategy as well as resilient theory of technical and social aspects, focusing on a new waterfront development that responds to abnormal weather. Results: The water control strategy, for flexibly responding to the sea level rise and flooding caused by the climate change through the experience of Dutch resilience, is as follows: 1)Customized prevention plan according to the local property 2)Creating spatial planning by considering disaster risk level and fragility 3)Establishing urban planning by considering the flood risk level. Conclusion: A new urban development method, particularly a resilience strategy based on the waterfront space where is most vulnerable to climate change, is required to cope with the abnormal climate beyond the conventional planning.

스마트 항로표지 시스템의 고가용성을 보장하는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 기반 장애 관리 방안

  • 조인표;이승준;오지원;박은섭;이재규;이상엽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267-268
    • /
    • 2023
  • 본 논문은 해상 안전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스마트 항로표지 시스템의 높은 가용성을 유지하기 위해 제안된 장애관리 방안에 대한 연구이다. 스마트 항로표지 시스템은 고가용성을 요구하는 시스템으로, 시스템의 건전성을 유지하고 장애 발생 시 빠른 대응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 기반의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장애 발생 시 해당 서비스만 중단되고, 다른 서비스는 계속 운영될 수 있어 시스템 전체의 가용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모니터링 및 로깅 시스템을 도입하여 빠른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며, 또한, 다양한 장애 관리 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스마트 항로표지 시스템의 고가용성을 확보하여 안정적인 운영을 보장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Management in Miho Stream (미호천 수질관리 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 Song, Yang Ho;Park, Yoon Kyung;Jeong, Jae Hoon;Lee, Yun 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503-503
    • /
    • 2022
  • 미호천은 금강의 중권역에 위치하며 도심을 관통하는 전형적인 도심형 하천으로 금강대권역 물환경관리계획 내에서 다루는 지류하천 중 논산천과 함께 물환경 목표기준 미달성 하천으로 분류되어 중점관리 중권역으로 분류되어 있다. 금강 본류의 수질 악화에 큰 영향을 주는 하천으로 수질개선을 위해서는 목표기준 미달성 원인 파악 및 정책적 개선방안 모색을 통해 실질적인 정부와 지자체의 계획에 반영할 필요성이 있다. 그간 미호천 수질개선과 관련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연구의 대부분은 특정 오염원에 집중된 단기적인 조사에 편중되어 있다. 수질개선을 위한 정책분석 및 대응방안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미호천 지류가 본류에 미치는 영향 등의 전반적인 하천 특성과 장기적인 이·화학적 수질 영향을 검토를 통한 정책적 지원 전략 수립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호천 수질개선을 목표로 수행되었던 환경기초조사업과 지자체별 정책사업들을 조사하고 수질개선 방안을 고찰함으로써 중권역의 수질개선을 위한 지역맞춤형 정책제언 및향후 지역 간 연계협력사업의 추진을 위한 참고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참고자료에는 수질현황조사 결과와 환경기초조사사업 및 미호천 관련 8개 지자체별 정책사업을 조사하였으며, 중권역 물환경관리계획에 수립된 예산 대비 현재까지 집행된 비율을 통해 이행도를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미호천 수질관리 개선을 위한 축산오염원, 토지 비점오염원, 생활계 오염원, 산업계 오염원, 보 관리, 주민참여에 대한 부문별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hacking countermeasures in Military security (군보안상 해킹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 Kim, Doo Hwan;Park, Ho Jeong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17 no.5
    • /
    • pp.133-142
    • /
    • 2017
  • Breaking away from the blind faith of internal military security network, current military security demands strengthening measure on the H/W, controlling measure against information communications within the military, strengthening measure on the linkage point of the military and universal internal networks, legal supplementation, sucurity management ofn the military facilities from outsourcing services supporting the military. By analyzing the danger of military organizations hacking and real hacking cases, policy establishment for strengthening the security on military network hacking, legal supplementation and controlling measure for the outsourcing services are the pragmatic counter measures against military security hacking considering the peculiarities of military rather than the application of physical containment linked with information communications technology on the H/W safety measures.

저작권 정보관리시스템

  • Jo, So-Yeon
    • Digital Contents
    • /
    • no.4 s.71
    • /
    • pp.78-84
    • /
    • 1999
  • 최근 세계 각국은 새로운 저작물 이용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법 제도적인 방안을 강구하고 있으며 새로운 대안으로 저작권 정보관리시스템을 제시하고 있다. 저작권 정보관리시스템은 저작물의 내용, 권리자의 소재, 이용 조건 등 저작물의 이용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종합적으로 관리 제공함으로 저작물의 보호 및 이용에 편의성을 제공하고, 더 나아가 실제로 시스템상에서 저작물의 거래까지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 PDF

A Study on the efficient implementation of information system for environmental management (효율적인 환경관리정보시스템(EMIS)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 Kim, Ji-Myeong;Lee, Gwa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Conference
    • /
    • 2006.11a
    • /
    • pp.341-345
    • /
    • 2006
  • 현대의 기업 활동을 위한 시장 상황은 제품에 대한 글로벌 환경규제가 갈수록 강화되어가고 있으며, 기업들은 생존을 위해서는 다양한 환경규제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며,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모색해야 하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 논문에서는 글로벌 환경 정책의 변화 트랜드를 살펴보고, 글로벌 핵심 환경 규제 및 지침인 RoHS, WEEE, EuP, REACH 및 ISO 14000 환경경영시스템 등 국내기업들이 각종 환경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서 구축하고 있는 환경관리 정보시스템들에 대하여 그 종류 및 형태를 살펴보고, 효율적인 환경관리정보시스템(EMIS) 구축을 위한 방안을 도출하였다.

  • PDF

PM and Port, Counter Strategy in the Era of the Forth Industrial Revolution (미세먼지와 항만, 4차산업시대의 대응전략)

  • Lee, Joo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164-166
    • /
    • 2018
  • 최근 전 세계적으로 수송수단과 산업시설에서의 배출로 인한 대기오염의 심각성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항만과 공항에서도 대기오염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고 지역별 대기오염물질 배출 및 대기오염도 현황을 분석하여 각 시설에서의 종합관리방안을 도출하고 있다. 2020년부터 시행되는 국제해사기구(IMO)의 선박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 즉, 황성분을 포함한 연소배기가스 중 CO2, SOX,NOX, PM2.5의 배출규제에의 대응과 배출규제해역(ECA)제도 도입에 따른 업계와 정부, 학회의 대비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부산항에서도 항내계류선박과 하역장비에서의 오염물질 배출을 억제하기 위한 대체전력공급(AMP, Cold Ironing)에 대해 대응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시주민의 건강을 위협하는 미세먼지(PM2.5)의 심각성과 배출가스의 저감을 위한 방안을 소개하고 오히려 이를 해운항만에서의 4차산업 발전의 계기로 대응하도록 하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산업화 과정에서 필연적인 대기오염을 저감시키는 방안이 새로운 해양산업으로 전환하기를 기대한다.

  • PDF

A Comparative Analysis on Emergency Administration System Between South Korea, the U.S., and Japan (한국, 미국, 일본의 재난행정체제에 대한 비교 분석)

  • Park, Sung je;Yoon, Jong-Han;Ryu, Si S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35-135
    • /
    • 2016
  • 지구온난화가 진행되면서 태풍, 홍수, 호우 등 기후변화에 기인한 재해의 피해수준이 심해지고 범위도 날로 확대되고 있다. 한국의 경우에도 집중호우와 그로 인한 침수피해 등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가 늘어나면서 자연재해에 대응할 수 있는 재난행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복합적인 양상을 보이는 재난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행정체제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재난행정이 오랫동안 발전해온 미국과 일본의 체제 각각에 대한 연구는 있어왔으나, 한미일 3개국의 재난행정체제를 체계적으로 비교하고 한국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의 행정체제의 발전에 오랫동안 지대한 영향을 미쳐온 미국과 일본의 재난행정체제를 분석하고 최근의 재난 양상과 관련해 한국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한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으로는 비교제도분석을 실시했다. 우선 선행연구 검토에 기반하여 재난행정체제의 비교분석에 필요한 비교틀을 구성하고, 분석틀에 기반해 한국, 미국, 그리고 일본의 재난행정체제를 비교한다. 분석결과 한국의 재난 행정체제는 미국 및 일본과 같은 재난행정의 선진국가와 비교할 때 재난관련 법률이 통합적이지 않고 분산되어 있어 상호중복 및 충돌의 소지가 있으며, 재난관리 단계에 있어서도 예방보다는 대응과 복구에 중점을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난대응의 1차 책임소재도 불명확하며 민간네트워크도 재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수준으로 발전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으로서 미국과 일본의 재단대응체제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기존의 분산되어 있는 기본법들을 통폐합하여 재난관리를 통합적으로 다루는 기본법을 제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지방정부의 재난대응역량을 강화시키고 보다 많은 책임과 권한을 부여해야 한다. 셋째, 재난관련 기관들의 역할을 명확히 분담하고, 정보를 공유하며, 조정기제를 효율화하여 재난대응시 협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분산적인 재난관리체제를 통합적 성격의 체제로 전환해야 한다. 넷째, 주민단위 재난대응조직과 협력의 틀을 구축하여 민관네트워크를 활성화하여야 한다.

  • PDF

A study on the paradigm shift in National crisis management system and its functional, structural improvements : Focused on the construction of elite civil defense force (국가위기관리체계의 패러다임 변화와 기능 및 구조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정예민방위대 구축을 중심으로)

  • Lee, Mi-Jeong
    • Korean Security Journal
    • /
    • no.33
    • /
    • pp.137-161
    • /
    • 2012
  • There are some common and broad trends in National crisis management system around the world. This article considers that paradigm theoretically. 1) a shift from civil defense to civil protection, 2) 10 principles in sustainable National crisis management system, 3) the collaborative governance of crisis management. Some civil defense problems in National crisis management system are as follows; 1) obscurity of organizational identity through twofold function in civil defense, 2) ineffective organization in civil defense and disaster management system, 3) weakness of competencies in local government, 4) overlook of actual condition in communities and civil defense resources. This article suggests that to provide retired and active private security practitioners, retired law enforcement personnel, and retired military personnel to form a elite civil defense force and to find creative ways to address this pervasive threat which one reasonable and affordable solution would be for the government to take advantage of an existing resource.

  • PDF

BCMS-based Case Study of COVID-19 Pandemic Response : Focusing on Electric Energy Utility Company (BCMS 기반 코로나19 감염병 대응사례 연구: 전력에너지 공기업 중심)

  • Lee, Seung-Kyun;Kim, Duck-Ho;Cheung, Ch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75-177
    • /
    • 2023
  • 본 연구는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업무연속성계획의 가동 경험을 분석하여 체계를 개선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코로나19는 전 세계적으로 팬데믹을 일으킨 대유행병으로, 감염병 확산으로 인한 위기 상황에서 업무연속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력에너지 공기업은 위기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필수 대응 사례를 분석하여 업무연속성을 유지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근무환경 분리, 핵심인력 확보, 비상대응 업무계획 수립 등 다양한 대책을 시행하였다. 코로나19 상황에서 전력에너지 공급업무의 연속성 확보를 위한 이러한 대책들은 효과적으로 시행되었고, 감염병 재난관리에 대한 매뉴얼로 활용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