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관리기준

Search Result 7,954,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Development of CDMA Based Monitoring Web System for Efficient Management of National Control Points (효율적인 국가기준점 관리를 위한 CDMA기반 모니터링 웹 시스템 개발)

  • Oh, Yoon-Seuk;Lee, Young-K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7.10a
    • /
    • pp.265-270
    • /
    • 2007
  • 국가기준점은 측량을 위한 주요 시설물로서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국가기준점이 설치되어 있는 환경은 측량을 위한 시야 확보가 필요하기 때문에 삼각점의 경우 산 정상이나 인근 기준점과 시통이 가능한 위치에 설치하며, 수준점의 경우 도로변이나 하천변에 설치한다. 국가기준점은 화강암으로 된 표석 형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이렇게 외부환경에 노출될 경우 자연 풍화, 인위적인 훼손, 파손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현황 파악을 위하여 주기적인 방문관리가 필요하다. 그러나 전국적으로 약 22,000개 가량 설치되어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기준점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고 기준점 정책 수립을 위한 통계자료수집을 위한 국가기준점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였다.본 시스템은RFID가 부착된 국가기준점을 사용할 경우 RFID를 인식하는 단말기는 실시간으로 CDMA 망을 이용하여 모니터링 시스템에 정보를 전송하고, 웹 시스템 상에서 실시간으로 현재 사용중인 기준점이 표시된다. 사용중인 기준점의 사용용도 및 사용자의 현황도 화면에 표시된다. 이러한 정보는 이력관리가 되며, 사용 및 관리에 관한 이력정보 보고서, 기준점별 사용 빈도 및 사용 목적별 빈도 등이 저장되어 기준점 설치, 관리 대상 기준점 선정 등을 위한 기준점 정책 수립을 위한 통계자료를 생산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 개발을 통하여 실시간 기준점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관리대상 기준점 선정, 전산화된 이력관리 구현 등으로 인하여 관리비용을 절감하고, 관리인력을 최소화 하는 효율적인 기준점 관리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records management criteria (기록관리기준 조사 및 작성에 관한 연구)

  • Lee, Mi-young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
    • no.15
    • /
    • pp.185-218
    • /
    • 2007
  • With the reform of records management law, the organization should manage a new criteria scheme of record management based on business task and process. The new criteria scheme includes business explanation, preservation period, cause of setting up preservation period and opening information, access authority, keeping records or not. In the past, there were also some regulations and criteria but, records management criteria should be managed systematically and rationally than past in electronic environment. In this study, some previous cases about records management criteria constructing and operating were introduced first. And various characters about records management criteria were reviewed after that, process sample and methodology were proposed for construction of each criteria. If the records management criteria were constructed properly according to goals and objectives of records management and the results were managed through electronic system, the consistency of records management will be kept well and value changes of business and records will be reflected dynamically.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Resident' Evacuation Management Standard In Rapid Slope Areas Reflecting Rainfall Characteristics (강우특성을 반영한 급경사지 주민대피관리 기준 개선에 관한 연구)

  • Park, Ki Bum;Kim, Kyo Sik;Yang, Jun 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57-257
    • /
    • 2021
  • 2007년 급경사지 재해 예방에 관한 법률 제정 이후, 급경사지에 대한 여러 가지 대책과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2020년 발생한 최장기간의 장마에 안전한 것으로 판단되는 A-C등급의 급경사지 붕괴에 의해 많은 피해가 발생하였다. 특히 2020년에는 A-C등급의 급경사지 붕괴건수가 185건이나 발생하여 급경사지 평가기준에 대한 개선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 급경사지 주변 지역의 주민대피 관리기준의 강우특성이 과거 2009년에서 2014년 피해자료를 기반으로 산정된 강우기준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초과 강수량과 분석강우의 신뢰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발생된 강우특성이 반영되지 못한 현행 급경사지 주민대피 관리기준의 강우기준에 대한 개선을 위해 강우자료의 30년 이상의 강우분석을 반영하고 최근의 기후변화 특성에 따른 강우분석자료를 검토하여 주민대피 관리기준에서의 강우기준 개선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efficient management plan of National control points (효율적인 국가기준점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 전자표지석 시스템 개발을 중심으로 -)

  • 이재원;조흥묵;조범래;이석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3.10a
    • /
    • pp.55-60
    • /
    • 2003
  • 본 연구는 건설교통기술혁신 사업의 일환으로 "국가기준점의 관리 및 위치정보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자표지석개발" 과제에 관한 연구내용 및 결과를 중심으로 하고 있으며, 주 내용은 1차년도 연구에서 수행한 전자표지석 개발에 관한 것이다. 국가기준점의 가장 중요한 기능이 측량을 수행하기 위하여 기준이 되는 정확한 위치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중요성을 감안하여 기준점의 관리 및 보호에 관한 법적인 규제가 마련되어 있으나 현실적으로는 관리에 어려움이 많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요한 국가기준점을 관리하는데 있어 효율적인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세부적으로 전자표지석 시스템을 개발하여 기준점 관리에 적용하기 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전파를 이용하여 기준점의 현황을 모니터링 가능하도록 기준점의 움직임을 파악할수 있는 센서를 부착한 전자표지석을 설계 및 시제품을 제작하였으며, 테스트 결과 목적했던 성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보완연구가 완료된다면 기준점 관리에 있어 실제 적용 가능한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PDF

법규 및 정책동향 - 자동차 평균에너지소비효율기준.온실가스 배출허용기준 및 기준의 적용 관리 등에 관한 고시(안) 입안예고

  • 한국LP가스공업협회
    • LP가스
    • /
    • v.22 no.6
    • /
    • pp.16-18
    • /
    • 2010
  • 환경부는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제47조 및 시행령 제37조에 따라 위임된 자동차 평균에너지소비효율 및 온실가스 배출허용기준과 해당 기준의 적용관리에 관한 사항을 정하기 위해 자동차평균에너지소비효율기준 온실가스 배출허용기준 및 기준의 적용관리 등에 관한 고시(안)을 입안예고했다. LPG자동차 관련 내용을 발췌 게재한다.

  • PDF

Management System Analysis of National Control Points (국가기준점 관리시스템 분석에 관한 연구)

  • Kwon, Chan-O;Song, Jun-Ho;Cho, Hyeon-Koo;Lee, Yo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354-355
    • /
    • 2008
  • 국가기준점은 국가의 주요 인프라시설로서 시설 및 데이터를 일관된 체계를 갖고 유지, 관리되어야 하며 각종 표석기준점 데이터 및 GPS상시관측망 데이터의 체계적인 관리 및 효율적인 활용을 위하여 연계, 통합하고 유지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상시관리 서비스를 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본 연구는 기존의 국가기준점 관리시스템을 분석하고 새로운 국가기준점 관리시스템 구축의 방향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 PDF

Comparative Study of Foreign Countries on Management Rules on Rail Defects (각국의 레일결함 관리 기준 비교)

  • Yun, Kyung Min;Song, Myeong Gyu;Lee, Chin Ok;Lim, Nam Hyoung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84-184
    • /
    • 2011
  • 선로의 레일은 재료적인 특성과 현장의 많은 주변 요소에 의한 불확실성이 매우 높은 시스템으로 결함의 위험이 상존한다. 결함 발생과 조치에 따라 영업손실로 이어지므로 레일 결함 발생과 동시에 적절한 조치가 요구된다. 따라서 레일결함 발생 시 레일교환시기를 파악하는 것이 선로관리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레일교환에 대한 신속한 판단을 위함 관리기준을 정립하는 것이 요구된다. 현재 국내에서 고속선의 경우 관리 기준이 있으나, 일반철도는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차후 일반철도 180km/h 속도상승을 계획하고 있는 현 시점에 국외 관리기준을 분석하여 결함관리기준을 정립에 기여하고자 한다. 국내의 경우, 2004. 4. 1 프랑스 기술을 전수받아 개통한 고속선은 프랑스 레일관리기준을 적용한 "레일손상 등급별 관리기준"을 제정하여 레일관리를 시행하고 있다. 국외의 경우, INNOTRACK프로젝트 안에서 관련된 다른 IM(Infrastructure Managers, 사회기반시설 관리자들)에게 최근의 활동과 변화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선택된 결함들의 최소조치들의 조사가 Network Rail, OBB, Prorail, Banverket 그리고 DB에서 수행되고 있으며 UIC 지침에도 포함되고 있다. 모든 최소조치 원칙은 초음파나 육안에 의해 발견된 길이나 초음파 또는 와류탐상기(eddy current system)를 이용한 깊이에 대한 제한(limits)을 준다. 또한 침목과 이음매 또는 용접부에 관한 위치에 관한 결함의 제한이 있다. 명시된 기간은 즉각적일 수도 있으며, 보통 속도 제한이나 비상 죔쇠(Clamps)같은 경감시키는 수단에 적용될 수 있으며, 또는 더 긴 기간이 될 수도 있다. 더 긴 기간들은 수리나 레일 교체를 통하여 선로로부터 결함이 제거되어야 하는 최대의 시간이다. 본 연구에서는 Transverse Breaks, Squats, Head Checks 3가지 결함 유형에 대해 각 국에서 사용하는 최소 조치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유럽에서는 레일결함에 대하여 깊이 있는 연구를 통하여 관리기준을 정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상세하고 구체적인 레일 관리가 가능하므로 효율적이며 안전성이 제고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차후 일반철도의 180km/h 속도상승을 계획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국내철도 일반선 여건에 적합한 레일결함관리기준을 정립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Management Criteria for Underwater Noise (수중소음 관리 기준 설정을 위한 소고)

  • Lim, Dae-Kyu;Shin, Young-Cheol;Jun, Yang-Bae
    • Explosives and Blasting
    • /
    • v.28 no.2
    • /
    • pp.119-132
    • /
    • 2010
  • There are many dispute with a construction due to such environment problem as vibration and noise. Generally, we have a standard for acceptance level in land. But we have not a sufficient standard for acceptance level or guide line in underwater sound. In other countries, a acceptance level or guide line in underwater sound has been suggested. Especially the management criterion of underwater noise for fish has bee suggested using the measurement data (peak pressure, rms, energy and SEL) by a hydrophone. In Korea, there is no management criterion of underwater noise for fish. This study suggested the management criteria of underwater noise for fish based on the measured data by a hydrophone.

A Study on Activating Disaster Management Standard Implementation (재난관리기준 이행 활성화 연구)

  • Lee, Young Jai;Jo, In S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5 no.2
    • /
    • pp.21-26
    • /
    • 2012
  • Disaster management standard has not been invigorated because it usually has documented qualities. Since its enactment and notification, there has been a lack of continual education and publicity that lead to poor awareness on disaster manag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nvestigates on activating the use of disaster management standards by disaster related agencies and organization during their work. It proposes details on how to distribute and promote disaster management standards, develop textbook, evaluation and feedback. Furthermore, it also developed an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legal framework as measure for disaster management.

Development of Automated Calibration Algorithm for Reference Values of Hydrological Data Quality Management (수문자료 자동점검기준의 보정 자동화 알고리즘 개발)

  • Park, Hee-Seong;Cho, Herin;Kim, Hyoung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06-506
    • /
    • 2015
  • 수문자료는 국가적으로 중요한 자료로서 이에 대한 품질관리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우리나라 국토교통부에서는 국가 수문자료 품질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수문자료의 품질을 관리하고 있다. 국가 수문자료 품질관리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수문자료 자동점검기준은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수문자료의 상태를 구분하기 위한 점검방법에서 설정한 기준 값을 말하며, 특히 수문자료의 오류 추출을 자동화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값이다. 해당 값은 점검 방법에 따라 다른 형태를 갖고 있으며, 관측소의 관측특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어 실무에서는 기존 관측자료의 통계적인 특성을 이용해 초기값을 추정하고 이후 관측자료들에 대한 실제 품질 판정을 기준으로 실제 상황을 고려하여 주기적으로 관리자가 수작업에 의해 시행착오법으로 보정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국가 수문자료 품질관리시스템에서 활용하고 있는 수문자료 자동점검기준을 대상으로 기존에 수작업으로 진행되던 자동점검기준의 보정을 자동화할 수 있는 평가지표와 평가 알고리즘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실제 자료에 적용하였다. 개발된 알고리즘은 그림1과 같은 추정 이상치 집합과 실제 이상치 집합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두 집합의 교집합인 A를 증가시키는 구조이다. 이를 이용해 자동점검기준의 적중률을 향상시킬 수 있었으며, 향후 실무에 적용될 경우 수문자료 자동점검기준을 신속하고 적절하게 보정함으로써 수문자료 품질관리업무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