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관광동굴

검색결과 177건 처리시간 0.022초

한국동굴의 환경파괴

  • 홍시환
    • 동굴
    • /
    • 제16권17호
    • /
    • pp.109-120
    • /
    • 1988
  • 동굴환경의 파괴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우선 동굴이 관광화되기 이전에 동네주민들이 호기심에 들어갔다가 석주ㆍ석순과 같은 형상이 좋은 퇴적물을 파괴하여 집에 가져오는 경우도 있고, 관광지도 개발된후 동굴내의 조명등에 의해서 새로운 형태의 녹색공해 즉 하등식물등이 자라거나, 관광객의 빈번한 출입에 의해서 동굴내부의 온도가 올라가 표피가 박리현상을 일으켜 탈피되거나 관광시설을 설치할때에 파괴되거나, 자연적으로 홍수때 오염된 물이 지하에 유입되어 동굴생물을 파괴시키는 경우등 그 원인이 여러 가지 있을 수 있겠다.(중략)

  • PDF

고수동굴의 교통 및 관광특성에 관한 연구

  • 홍현철;유영준;김일봉
    • 동굴
    • /
    • 제32권33호
    • /
    • pp.47-62
    • /
    • 1993
  • 충주댐은 1978년에 착공하여 1985년에 완공된 것으로 유역면적은 6,664$\textrm{km}^2$이고, 총저수량은 27억 5천만㎥에 달한다(건설부, 1987). 고수동굴은 이러한 충주호 주변에 위치하고 있으며, 현재 충주호권 내에 속하고 있다. 특히 이 주변지역은 충주댐의 건설로 인한 주변지역의 교통과 관광적 측면에서 많은 환경변화를 초래한 지역으로 고수동굴도 이러한 지역 환경의 변화에 따라 교통과 관광측면에서 많은 변화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렇게 극심한 환경변화와 더불어 관광지로서 급성장된 고수동굴과 주변지역의 교통과 관광 특성을 밝히는 것에 중점을 둔다.(중략)

  • PDF

울진 성류굴의 관광적 특성 (A study on the tourist character of Seongryu Cave in Uljin)

  • 유영준
    • 동굴
    • /
    • 제53호
    • /
    • pp.15-24
    • /
    • 1998
  • 여가 및 레저에 대한 의식구조의 변화와 가족 중심의 여가활동의 비중이 증가하면서 자연학습장으로서, 지구과학 전시관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는 동굴이 이동을 전제로 한 가족 단위 관광객들의 관광 대상지로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광자원으로서의 동굴의 특성을 살펴보고, 그 중에서도 개발 역사가 오랜 성류굴의 관광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동굴은 지형 ·지질작용과 관계가 깊은 자원이지만 지하의 신비적 경관이 관광자원으로 활용되고, 그 구조의 특성에 따라 산업적 ·군사적 또는 학술적 연구의 이용에 크게 기여하는 등 다기능적 복합성을 띠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동굴을 ‘복합 관광자원’이라 분류한다. 이런 동굴 중에서 성류굴은 오랜 역사를 지닌 관광자원으로서 구전 전설의 주인공이라는 ‘문화 · 역사적인 특성’,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는 ‘지형적인 특성’, 도로와 철도를 이용한 ‘교통접근성’ 등의 관광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 PDF

주변의 인문.관광 환경에 따른 개방동굴의 관광적 가치 (The Tourist Value according to Human and Tourism Environment around Tourist - cave)

  • 김성길
    • 동굴
    • /
    • 제49호
    • /
    • pp.45-65
    • /
    • 1997
  • 관광과 여가에 관한 국민의 관심이 증가하면서 동굴은 하나의 관광자원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방동굴을 중심으로 하여 관광적 가치를 내부의 관광자원, 대도시로부터의 접근성, 주변 관광지의 분포와 연계성을 고려하여 동굴마다의 그 가치는 재분류하여 보았다. 첫째, 내부경관의 특색에 따라 대부분의 개방동굴은 수려한 지형지물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상대적 희소성이나 특이성을 고려해 볼 때, 천동굴ㆍ천곡굴ㆍ협재굴은 희소성과 학술성이 뛰어나며 만장굴ㆍ고수굴ㆍ고씨굴 등은 규모나 화려함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뛰어나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주변의 도시 분포와 접근성에 있어서는 고수굴ㆍ천곡굴ㆍ 만장굴ㆍ 협재굴이, 주변 관광지들의 분포 및 연계성에 있어서는 만장굴ㆍ협재굴ㆍ고수굴ㆍ노동굴ㆍ천동굴ㆍ천곡굴ㆍ성류굴이 탁월하다고 할 수 있다.

  • PDF

동굴탐사와 안전관리 (A Study on the Cave Survey and the Management of Security)

  • 변태근;신대봉
    • 동굴
    • /
    • 제67호
    • /
    • pp.65-72
    • /
    • 2005
  • 중국동북지역에 위치해있는 본계수동굴(本溪水洞), 천용동굴(天龍洞), 환인망천동굴(桓仁望天洞) 등 3곳의 자연동굴과 주변 고유문화재를 탐사하기위하여 필요한 동굴탐사와 안전관리에 관한 사전지식 내용을 알아보고, 시설설비와 자연환경의 안전 측면에서, 그리고 관람객과 탐사대원의 안전에 최우선의 관점에서 상기한 동굴들의 관리환경과 보존실태 및 관광동굴로써의 안전관리 수칙과 요령들을 살펴본다.

문화재동굴의 생태환경보전조사의 요령 (The Principle of Ecological Investigation of Environmental Protection about Cultural Asset Cave)

  • 홍시환
    • 동굴
    • /
    • 제52호
    • /
    • pp.3-10
    • /
    • 1997
  • 문화재동굴이란 문화재적 가치가 있는 동굴로 그 희귀성과 학술문화적 가치에 따라 천연기념물 동굴과 지방기념물 동굴들로 나뉜다. 우리나라에는 천연기념물동굴로는 16개소, 지방기념물동굴로는 20개소가 지정되고 있다. 이들 중에는 필요에 따라 이미 관광동굴로 공개되고 있는 것도 있고 아직 비공개동굴로 보전 관리되고있는 것도 있다.(중략)

  • PDF

스포츠 활동 장소로서 동굴 (Caves as Sport Tourism Resouces)

  • 최방호
    • 동굴
    • /
    • 제90호
    • /
    • pp.27-33
    • /
    • 2009
  • 천연동굴의 스포츠관광자원으로의 활용방안에 대하여 모색하였다. 천연동굴의 활용에서 심신수양과 스포츠활동의 장소로서의 가치는 충분히 논의된 바가 있다. 이에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는 다양한 천연동굴의 발굴과 환경보전을 전제로 한 스포츠관광자원으로서의 활용이 기대된다.

동굴의 국내 연구 동향 (The Trend of Study about the Cave in Korea)

  • 홍시환;유영준;홍충렬
    • 동굴
    • /
    • 제49호
    • /
    • pp.9-30
    • /
    • 1997
  • 본 연구는 점차 종합과학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는 동굴학의 특성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에서 행해진 동굴학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첫째, 동굴은 지형학ㆍ지질학ㆍ 생물학ㆍ 기상학 그리고 화학ㆍ물리학 분야에 이르기까지 관련되고 있는 분야이므로 이들의 종합적인 상호 관련에서 나타난 환경과 특성들의 연구가 동굴학을 종합과학으로 분류한다. 둘째, 총 174편 중 1990년대에 발표된 연구가 107편으로 61.5%의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런 현상은 1991년부터 동굴학회지가 분기별로 출판되면서 논문이 많이 게재되었다는 점, 레저와 관광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면서 새로운 관광자원으로서 동굴의 비중이 높아졌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셋째, 1990년대에는 환경학 뿐만 아니라 지형학(지질학) 분야와 개발(안전) 및 동굴학과 관광학 분야가 전체 연구 중 10% 이상의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보아 시간이 지나면서 동굴 연구의 흐름이 지형학을 중심으로 한 자연 연구로부터 관광학과 지역개발을 중심으로 한 인문 연구의 비중이 늘어나는 현상으로 변화하고 있다.

  • PDF

노동굴의 환경실태에 관한 연구

  • 홍현철;김병우
    • 동굴
    • /
    • 제23권24호
    • /
    • pp.73-106
    • /
    • 1990
  • 노동굴은 1979년 6월 18일에 우리나라 천연기념물 제262호로 지정된 석회동굴이다. 노동(제일)동굴로 불리우는 이 동굴은 석회동굴의 보고지대인 충북단양에서 우리나라에서는 손꼽는 자연경관을 자랑하는 관광동굴로 공개되고 있다. 이제 이와같이 소중한 자연자원의 보고인 이 노동굴의 환경을 조사하고 이 동굴이 지니고 있는 동굴환경실태에 따른 적절한 환경보전 대책의 방안을 제시하여 앞으로의 노동굴의 영원한 관리유지를 위한 자료로 제공하고자 하는 바이다.(중략)

  • PDF

관광동굴의 이용

  • 홍충렬
    • 한국동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굴학회 1995년도 관광동굴의 관리운영 워크숍
    • /
    • pp.53-55
    • /
    • 1995
  • 동굴은 그 증류도 다양하지만 대체로 종유굴이라 불리어온 석회동굴과 제주도의 화산동굴, 그리고 해안에서 보는 해식동굴들이 주종을 이룬다. 이와 같은 동굴은 우리 인간들이 태어나기 훨씬 이전에 벌써 땅 속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종유굴은 석회암지역에서 땅 표면으로부터 지표수가 스며들어 땅속에서 지하수류가 흘러 나간 자리가 이 종류굴인데, 동굴 천정에서 종과 같이 젖과 같이 2차적으로 석회질의 돌가루 퇴적물들이 고드름같이 매달려 있어서 종유굴이라 불리어 왔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