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관계정보

Search Result 16,969,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Building a UML class diagram using Java code analysis techniques (Java 코드 분석기법을 이용한 UML 클래스 다이어그램 생성 방법)

  • 한무희;김경수;김현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c
    • /
    • pp.133-135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자바 코드로부터 UML 클래스 다이어그램을 추출하는 역공학방법을 제시하였다. 파서를 이용하여 자바 코드로부터 AST를 생성하고 이를 순회하면서 클래스다이어그램 생성에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였다. 이를 위해 구조정보와 관계정보를 정의하였는데, 구조정보에서는 클래스 몸체를 구성하는 정보를 표현하였다. 관계정보에서는 클래스들 간의 연관관계를 결정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표현하였으며, 얻어진 관계정보를 통해 연관관계를 유추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특히 클래스들간의 연관관계를 추출하기 위한 규칙들을 정의하고, 이를 통해 얻어진 관계정보를 이용하여 연관관계를 유출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 PDF

Temporal Relationship Extraction for Natural Language Texts by Using Deep Bidirectional Language Model (양방향 언어 모델을 활용한 자연어 텍스트의 시간 관계정보 추출 기법)

  • Lim, Chae-Gyun;Choi, Ho-Ji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9.10a
    • /
    • pp.81-84
    • /
    • 2019
  • 자연어 문장으로 작성된 문서들에는 대체적으로 시간에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문서의 전체 내용과 문맥을 이해하기 위해서 이러한 정보를 정확하게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주어진 문서 내에서 시간 정보를 발견하기 위한 작업으로는 시간적인 표현(time expression) 자체를 인식하거나, 시간 표현과 연관성이 있는 사건(event)을 찾거나, 시간 표현 또는 사건 간에서 발생하는 시간적 연관 관계(temporal relationship)를 추출하는 것이 있다. 문서에 사용된 언어에 따라 고유한 언어적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만약 시간 정보에 대한 관계성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주어진 문장들로부터 모든 시간 정보를 추출해내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일이다. 본 논문에서는, 양방향 구조로 학습된 심층 신경망 기반 언어 모델을 활용하여 한국어 입력문장들로부터 시간 정보를 발견하는 작업 중 하나인 시간 관계정보를 추출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은 주어진 단일 문장을 개별 단어 토큰들로 분리하여 임베딩 벡터로 변환하며, 각 토큰들의 잠재적 정보를 고려하여 문장 내에 어떤 유형의 시간 관계정보가 존재하는지를 인식하도록 학습시킨다. 또한, 한국어 시간 정보 주석 말뭉치를 활용한 실험을 수행하여 제안 기법의 시간 관계정보 인식 정확도를 확인한다.

  • PDF

The Interpretation of Noun Sequences Using Semantic Relation and Subcategorization Information (의미관계와 문형정보를 이용한 복합명사 해석)

  • Kim, Do-Wan;Lee, Kyung-Soon;Kim, Gil-Cha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9.10e
    • /
    • pp.310-315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기계가독형사전과 말뭉치로부터 명사의 의미관계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의미관계정보와 명사에서 파생된 용언의 문형정보를 이용하여 복합명사를 해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의미관계정보는 상 하위관계, 목적관계, 위치관계, 시간관계, 소유관계, 원인관계 등 11개에 대해서 정규식 패턴을 정의하여 기계가독형 사전과 말뭉치로부터 추출한다. 복합명사 해석은 한국어 복합명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수식명사 + 핵심명사' 형태를 해석 대상으로 하며, 핵심명사의 특성에 따라 의미관계정보와 문형정보를 이용하여 해석한다.

  • PDF

Multi-task Learning Approach for Deep Neural Networks Using Temporal Relations (시간적 관계정보를 활용한 멀티태스크 심층신경망 모델 학습 기법)

  • Lim, Chae-Gyun;Oh, Kyo-Joong;Choi, Ho-Ji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1.10a
    • /
    • pp.211-214
    • /
    • 2021
  • 다수의 태스크를 처리 가능하면서 일반화된 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모델을 구축하는 자연어 이해 분야의 연구에서는 멀티태스크 학습 기법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또한, 자연어 문장으로 작성된 문서들에는 대체적으로 시간에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문서의 전체 내용과 문맥을 이해하기 위해서 이러한 정보를 정확하게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NLU 분야의 태스크를 더욱 정확하게 수행하려면 모델 내부적으로 시간정보를 반영할 필요가 있으며, 멀티태스크 학습 과정에서 추가적인 태스크로 시간적 관계정보를 추출하여 활용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입력문장의 시간적 맥락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NLU 태스크들의 학습 과정에서 시간관계 추출 태스크를 추가한 멀티태스크 학습 기법을 제안한다. 멀티태스크 학습의 특징을 활용하기 위해서 시간적 관계정보를 추출하는 태스크를 설계하고 기존의 NLU 태스크와 조합하여 학습하도록 모델을 구성한다. 실험에서는 학습 태스크들을 다양하게 조합하여 성능 차이를 분석하며, 기존의 NLU 태스크만 사용했을 경우에 비해 추가된 시간적 관계정보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한다. 실험결과를 통하여 전반적으로 멀티태스크 조합의 성능이 개별 태스크의 성능보다 높은 경향을 확인하며, 특히 개체명 인식에서 시간관계가 반영될 경우에 크게 성능이 향상되는 결과를 볼 수 있다.

  • PDF

A Technique for Improving Relation Extraction Performance using Entity Information in Language Model (언어모델에서 엔티티 정보를 이용한 관계 추출 성능 향상 기법)

  • Hur, Yuna;Oh, Dongsuk;Whang, Taesun;Lee, Seolhwa;Lim, Heuiseo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0.10a
    • /
    • pp.124-127
    • /
    • 2020
  • 관계 추출은 문장에서 두 개의 엔티티가 주어졌을 때 두 개의 엔티티에 대한 의미적 이해를 통해 관계를 분류하는 작업이다. 이와 같이 관계 추출에서 관계를 분류하기 위해서는 두 개의 엔티티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관계 추출을 하기 위해 문장에서 엔티티들의 표현을 다르게하여 관계 추출의 성능을 비교 실험하였다. 첫번째로는 문장에서 [CLS] 토큰(Token)으로 관계를 분류하는 Standard 엔티티 정보 표현과 두번째로는 엔티티의 앞과 뒤에 Special Token을 추가하여 관계를 분류하는 Entity-Markers 엔티티 정보 표현했다. 이를 기반으로 문장의 문맥 정보를 학습한 사전 학습(Pre-trained)모델인 BERT-Large와 ALBERT-Large를 적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Special Token을 추가한 Entity-Markers의 성능이 높았으며, BERT-Large에서 더 높은 성능 결과를 확인하였다.

  • PDF

Design and Implement Index Sequence Relation Information Model Using Pattern-In Repository (패턴정보저장소를 이용한 인덱스 순서관계정보모델 설계 및 구현)

  • Sun, Su-K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597-600
    • /
    • 2004
  • 최근에는 웹 환경에 적합한 개방형과 컴포넌트들을 효율적으로 분류하고 추출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은 개발환경에서 생성되는 산출물들 중 디자인패턴을 통합 관리하고, 추출, 검색하여 관리해 주는 인덱스순서관계정보모델을 설계 구현한다. 이 제안의 장점은 "인덱스 순서관계정보"로 클래스들 사이의 관련된 여러 관계정보를 UML 설계방법에 적응할 수 있는 구조로 변형할 수 있다. 두 번째 장점은 개발자가 인덱스 순서관계 정보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가지고 관계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디자인 패턴을 쉽게 추출함으로서 개발자는 설계정보에 쉽게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검색시간과 추출의 효율성을 입증하기 위해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향상된 기능을 입증하였다. 이 모델은 급변하는 소프트웨어 산업에 능동적으로 대체와 소프트웨어 개발에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현존하는 다양한 디자인 패턴들을 최소한의 코드 수정을 통하여 재설계 함으로써 소프트웨어 개발 경제성을 높이는 데 있다.

  • PDF

Upper Bound of Tabular Method for Korean Spatial Relation Extraction (표 방법을 이용한 한국어 공간 관계 추출의 상한 계산)

  • Min, Tae Hong;Lee, Jae S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8.10a
    • /
    • pp.301-304
    • /
    • 2018
  • 기존의 공간 관계 추출은 관계 속성 추출 후 적합한 개체와의 관계 형성이 불명확한 점과 한 개체가 다중관계에 속할 때 관계 형성이 불확실한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최근 개체명 관계 추출에서 사용하는 표 방법을 공간 관계 추출에 적용하였다. 기존 모델과 제안 모델을 비교하기 위하여 상한 성능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제안 모델이 더 우수함을 보였다.

  • PDF

Identification of Is-a Relation in Ontology based on Thesaurus (시소러스를 이용한 온톨로지의 Is-a 관계 설정)

  • Huang, Jin-Xia;Lee, Sheen-Mok;Nam, Yun-Yeong;Shin, Ji-Ae;Choi, Key-S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b
    • /
    • pp.20-23
    • /
    • 2006
  • 시소러스의 개념과 개념간 계층관계가 온톨로지 구축에 흔히 이용되고 있다. 다만 시소러스 계층관계는 is-a관계 뿐만 아니라 세분화되지 않은 관계도 포함되고 있기 때문에, 온톨로지의 기본 관계인 is-a관계를 분별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개념의 어휘표현 정보를 이용하여 온톨로지의 is-a관계를 설정하는 규칙을 제시하였고, 개념의 정의문 정보를 이용하여 is-a관계를 검수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IT분야 시소러스에 대한 is-a관계 설정 실험결과, 어휘표현 정보를 이용한 규칙 기반 is-a관계 설정은 85.83%의 정확도를 보였고, 정의문 정보를 이용한 is-a관계 판단의 일관성 평가 결과 일치도가 86.44%였다.

  • PDF

Factors Influencing Is Outsourcing Implementation : An Empirical Study from the Interorganizational Relationship Perspective (정보시스템 아웃소싱의 성공요인 분석 : 조직간 관계 관점에서의 실증적 연구)

  • Chung, Young-Soo
    • The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v.6 no.2
    • /
    • pp.51-83
    • /
    • 1997
  • 정보시스템 아웃소싱(outsourcing)의 적용 범위와 그 규모가 증대함에 따라, 아웃 소시은 정보시스템의 관리에서 근본적인 이슈로 등장하게 되었다. 정보시스템 아웃소시의 중요성이 인식되었으나, 그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정보시스템 아웃소싱에 있어 고객회사(client firm)와 서비스 제공업자(vendor)간의 관계의 성공 및 실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 모델은 관 계적 거래이론(relational exchange theory), 커뮤티케이션 행동(communication behavior), 거래비용분석(transaction cost analysis) 등의 조직간 관계(interorganizational relationship) 이론에 기반을 두고 작성되었다. 미국의 207개 회사의 정보시스템 아웃소싱 설문조사에 의 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가 도출되었다. (1) 서비스 제공업자의 능력(vendor capability), 관계결속성(solidarity), 터링(monitoring of the vendor), 참여도(participation) 등이 아웃소 싱 관계의 성공과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2) 역할참여도(role integrity), 자산특이 성(asset specificity) 등은 아웃소싱 관계의 성공과 음의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 결과에 의하면, 비관계적 거래(discrete exchange) 보다는, 관계적거래(relational exchange)에 기반을 두어 아웃소싱 관계를 운영하는 것이 아웃소싱의 성공적인 구현을 위 하여 필수적으로 보여진다. 이 연구 결과를 기초로 하여 아웃소싱 대상 업무의 선택, 서비 스 제공업자의 선택, 그리고 아웃소싱 관계의 지속적인 관리를 위한 지침을 제시하였다.

  • PDF

Performance Improvement of Korean Indicative Summarizer (공기정보를 이용한 한국어 요약 시스템의 성능개선)

  • 박호진;김준홍;김재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349-351
    • /
    • 2001
  • 본 논문은 공기정보를 이용하여 한국어 추출요약 시스템의 성능을 개선한다. 여기서 공기정보는 복합명사와 구문관계를 말하며, 복합명사는 인접한 명사들 사이의 공기관계이고, 구문관계는 인접한 명사와 동사 사이의 공기관계를 말한다. 본 논문에서는 공기관계는 t test를 이용하였다. 공기정보를 이용한 시스템은 기존의 시스템보다 좋은 성능을 보였으나, 커다란 성능 향상을 가져오지 못했다. 복합명사는 거의 모든 환경에서 좋은 결과를 가져왔으나, 구문관계는 그렇지 못했다. 앞으로 공기정보의 추출방법을 좀더 개선한다면 좀더 좋은 성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