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관계성 분석

Search Result 20,084, Processing Time 0.067 seconds

A Study on The Causes and Outcomes of Relationship-Orientedness between Businesses (관계지향성의 구성요인 및 원인과 성과에 관한 연구)

  • 최낙환;김영아;이호정
    • Asia Marketing Journal
    • /
    • v.3 no.3
    • /
    • pp.1-24
    • /
    • 2001
  • 본 연구는 자원의존이론, 거래비용이론, 관계계약이론 등의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관계지향성의 원인과 성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먼저 구매기업과 공급기업간의 행동적 관계지향요인과 관계지향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행동적 관계지향요인으로는 정보교환, 조화노력, 행동적 규범, 업무결속을 들고, 관계지향성 분석을 위해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표본에는 C지역의 전문건설업체를 대상으로 500부의 설문지를 배포, 그 중 185부를 회수하여, 적합한 설문 140부가 사용되었다. 군집분석결과 관계지향성 집단은 정보교환, 조화 노력, 협동규범 수용, 업무결속이 모두 높게 나타났고, 비관계지향성 집단은 정보교환, 조화노력, 협동규범 수용, 업무결속이 모두 낮게 나타나 기업간의 관계지향성을 의미있는 2개의 집단으로 나눌 수 있었다. 둘째, 기업간 관계지향성의 영향요인으로 환경의 역동성, 대안의 이용가능성, 공급의 중요성, 상호호혜전략, 신뢰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관계지향성에 대한 영향요인들이 관계지향집단과 비관계지향집단으로 분류하는데 얼마나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관계지향집단과 비관계지향집단의 분류에 환경의 역동성, 대안의 이용가능성, 공급의 중요성은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호혜전략, 신뢰성은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간 관계지향성의 성과로서 실현경쟁우위와 관계유지의도를 검토하였다. 관계지향성이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기 위해 MANOVA(multivariatee analysis of variance)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 결과, 관계 정도가 높은 집단이 관계 정도가 낮은 집단보다 실현 경쟁우위수준을 높게 지각하고 관계를 유지하려는 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Forest Fire Distribution and Topographic, Geographic, and Climatic Factors (산불 발생 분포와 지형, 지리, 기상 인자간의 관계 분석)

  • Kwak, Han-Bin;Lee, Woo-Kyun;Lee, Si-Young;Won, Myoung-Soo;Lee, Myoung-Bo;Koo, Kyo-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06a
    • /
    • pp.465-470
    • /
    • 2008
  • 우리나라는 산림은 단순림이 많고 밀도가 높기 때문에 산불이 한번 발생하면 대형 산불로 확산될 우려가 크다. 이 때문에 산불 발생을 미리 예측하여 대응할 필요가 있다. 산불 발생예측을 위해서는 산불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와 산불 발생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1997년부터 2006년까지 발생한 전국에서 발생한 산불의 point data를 이용하였다. 산불 발생 지점의 지형인자와 지리인자, 그리고 산불 발생 당시의 기상인자로 DB를 구축하고 산불 발생과의 관계를 구명하였다. 지형인자 분석은 고도, 방위, 경사에 따른 산불 발생 빈도를 분석하였고, 그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지리인자 분석에서는 인구밀도, 산불 발생지역의 접근성(도로에 따른 접근성, 대도시와의 거리에 따른 접근성)에 대한 산불 발생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기상인자와 산불 발생의 관계는 전국 76개소에서 관측된 온습도 데이터를 보간한 자료와 산불 발생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기상인자 분석은 산불이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3월 하순, 4월 초순, 4월 중순 자료를 평균하여 산불 발생 빈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산불 발생 위험지역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각 인자와 산불 발생의 관계를 분석해보았다. 하지만 각 인자간의 관계를 분석하지 못한 것이 한계점이라고 할 수 있다. 차후 연구에서는 각 인자간의 관련성을 분석하고 산불 발생의 원인과 인자간의 구체적인 인과관계를 밝히는 것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PDF

Spatial Relationships between Public Libraries and Other Facilities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소셜 네트워크분석을 이용한 공공도서관과 다른 기관과의 공간적 관련성 연구)

  • Park, Su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2.08a
    • /
    • pp.3-6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 이용자들의 일상생활에서 공간들이 어떠한 관계성을 가지고 이용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관계성을 파악하기 위한 데이터로 미국 Puget Sound Region Transportation Department에서 수집한 Household Travel Survey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데이터 분석을 위한 도구로 소셜 네트워크 분석도구 중의 하나인 NodeXL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선행연구에서와 유사하게 슈퍼마켓, 레스토랑, 쇼핑몰 등이 도서관 이용과 공간적으로 연관성이 있음이 나타났다. 또한 전체 이용자의 분석결과와 비교하여 도서관 이용자만이 가지고 사회적 공간이용의 특성을 발견되었고 도서관 정책개발에 이러한 특성이 반영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 PDF

Uncertainty Analysis of Stage-Discharge Curve Using Bayesian and Bootstrap Method (Bayesian과 Bootstrap 방법을 이용한 수위-유량 관계곡선의 불확실성 분석)

  • Kwon, Hyung Soo;Kim, Yon Soo;Kim, Ci Young;Kim, Sam Eun;Kim, H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52-452
    • /
    • 2015
  • 수문학 분야에서 하천유량은 중요한 요소이므로 신뢰성을 바탕으로 지속적이고 정확한 관측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수위나 강우량의 경우 지속적이고, 자동적인 측정으로 비교적 정확한 관측이 가능하다. 하지만, 기술적인 한계와 경제적인 면에서 연속적인 유량측정이 어렵기 때문에 수위-유량 관계곡선을 이용하여 유량을 산정하고 있다. 수위-유량 관계를 통해 유량을 산정할 경우 계산방법과 분석과정에서 오차가 발생되고 산정된 유량의 오차로 이어지게 된다. 따라서, 신뢰성있는 유량 산정을 위해서는 수위-유량 관계곡선의 불확실성을 감소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Bayesian 회귀분석 및 Bootstrap 방법을 이용하여 수위-유량 관계 곡선식의 매개변수를 추정하였다. 또한 앞의 2가지 방법의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기존 방법인 최소자승법에 의한 매개변수 추정치 결과의 신뢰구간을 비교분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양한 통계학적 방법을 이용한 결과로부터 수위-유량 관계곡선의 불확실성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방법을 찾고자 한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the Catchment Characteristics and the Discharge-Sediment Discharge Correlations (유역 특성인자와 지점 유량-유사량 관계식의 상관성 분석)

  • Youn, Sunghyun;Paik, Kyungrock;Yoo, Chul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411-41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유역 특성 인자와 지점 유량-유사량 관계식의 상관성 분석을 하였다. 대상 지점은 군남, 청미(이상 한강 유역), 향석, 동문, 선산, 동촌, 개진2(이상 낙동강 유역), 회덕, 합강(이상 금강 유역), 선암, 남평(이상 영산강 유역)을 선정하였다. 대상 지점의 상류에 댐이 있을 경우 유량-유사량 관계식이 왜곡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상 지점은 상류에 댐이 없는 곳으로 선정되었다. 이들 지점을 출구로 하는 유역을 정의하고 각 유역의 형상계수, 수면 폭, 단면적, 하천 총 길이 등을 조사하여 유량-유사량 관계식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수면 폭, 단면적, 하천 총 길이가 증가할수록 관계식의 계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지수는 증가하는 형태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형상계수는 뚜렷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유량-유사량의 경향성을 파악하기 위해 기존의 측정성과와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비교 분석한 결과 대부분 유사한 특성과 경향성을 나타내었으나 일부 다른 특성을 보인 지점도 존재하였다. 본 연구는 특정 지점의 유량-유사량 관계가 유역의 지형 특성에 영향을 받는 다는 것을 시사하는 초기 연구로 향후 추가 연구를 통해 그 영향을 규명할 필요성을 보여준다.

  • PDF

Content Analysis of Smartphone Addiction Management Applications: Self-Determination Theory Perspective (스마트폰 중독방지 앱의 자기결정적 동기화 속성에 관한 내용분석: 자기결정성 이론을 중심으로)

  • Lee, Sook-J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4
    • /
    • pp.12-22
    • /
    • 2016
  • The present study aims to evaluate the self-determined motivational features of smartphone addiction management apps. This study analyzed whether smartphone addiction management apps have features to support adolescent users' basic needs, that is,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26 apps were analyzed. Among them, 8 apps were parental management apps installed on a parent's phone and a child's phone, and 18 apps were self-management apps installed on a child's phone. According to a content analysis, only 3 of 26 apps addressed all three basic needs. Overall, the functions to support users' competence and relatedness were rarely found. Particularly, parental management apps had a high level of controlingnes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addiction management apps have limitations in stimulating adolescent users' self-determined motivation to manage their phone use.

An Analysis on Major Keyword & Relationship in the Studies of Superintendent (교육감 관련 연구들의 주요 핵심어와 그들 간의 관계성 분석)

  • Kwon, Choo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7a
    • /
    • pp.177-178
    • /
    • 2019
  • 본 연구는 지방교육자치의 가장 핵심인 '교육감' 관련 연구들의 주요 핵심어들과 그들 간의 관계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09년부터 2018년까지(10년간)의 '교육감' 관련 선행연구 총 93건을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을 활용하여, 주요 핵심어 추출 및 워드 클라우드 제시, 주요 핵심어들 간의 관계성(의미망 네트워크) 분석 등을 진행하였다. 최근 10년간 국내 '교육감' 관련 연구들의 주요 핵심어들은 교육감선거, 주민직선제, 선출제도, 개선방안, 비교연구, 교육자치, 문제점, 지방자치, 교육부장관, 교육위원 등 이었다. 주요 핵심어들(상위 출현빈도)은 높은 밀도와 연결정도를 가지고 상호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진행될 '교육감' 관련 후속연구들의 새로운 연구주제 선정 및 다양한 방향 설정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The Effects of Individuality, Relatednes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in New Employees (신입사원의 개별성과 관계성이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Kim, Hyun-Soo;Kim, Su-Jeong
    • Journal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
    • v.7 no.1
    • /
    • pp.39-45
    • /
    • 2015
  • This research is about the effects of individuality, relatednes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This research analyzed 140 new employees. We used four tools to assess the new employees: individuality scale, relatedness scale, organizational commitment scale and job satisfaction scale. The research was based on two questions. Question 1. Does individuality have any relation to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Question 2. does relatedness have any relation to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results indicat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dividual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Results also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related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the group which scored individuality and relatedness scoreabove the mean value best reflected the qualitie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The Relation between Romantic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Romantic Competence (대학생의 낭만적 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연인관계 유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Kim, Kyoung-Mi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6
    • /
    • pp.135-147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romantic competence on the relation between romantic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 sample of 206 college students was employ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s and hierarchical regression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omantic attachment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and romantic competence. Also, romantic competenc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there was partial mediating effect of romantic competence on the relation between romantic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study explored the direct effect of romantic attachment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indirect effect of romantic attachment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romantic competence. The results imply that personal relationship skills should be considered to enhance psychological well-being when planning programs or counseling for college student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Relationship Analysis Tool for Consistent Verification within Object-Oriented Model (객체 지향 모델에서 일관성 검증을 위한 관계성 분석 도구 설계 및 구현)

  • 이소영;조영석;허계범;최영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a
    • /
    • pp.481-483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개발 생명주기에서 생성된 객체 모델들간의 일관성 유지를 위한 관계성 분석 도구 설계 방법을 제시한다. 이 방법에서는 객체 지향 모델의 산출물들간의 관계성을 분석하여 소프트웨어가 개발됨과 동시에 부품화 되어 저장된다. 그리고 소프트웨어 유지 보수 및 재사용이 가능한 검색 시스템으로 되어 있으며, 객체 지향 CASE 시스템의 정보 저장소 기능을 부분적으로 지원한다. 따라서 시스템 분석가 및 설계자에게 유용한 지침을 제공하고, 개발자에게 산출물들간의 일관성 검증을 쉽게 하도록 하여 소프트웨어 재사용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