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과학 박물관

Search Result 548, Processing Time 0.047 seconds

국내 자연사박물관 전시특성의 과학교육적 분석

  • Ryu Chun-Ryeol;Sin Myeong Gyeong;Lee Chang-Jin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148-152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교육적인 관점에서 국내 자연사박물관의 전시특성을 조사하는데 있다. 이 연구를 위해 국내의 대표적인 네 곳의 자연사박물관에서 244 종류의 자연사 관련 전시물을 대상으로 조사를 하였다. 조사를 위해 본 연구는 7개 항목으로 구성된 체크리스트를 사용했는데 각 항목들은 과학관과 자연사 박물관의 전시특성을 다루었던 기존의 문헌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또한 과학교육적인 측면은 Hein(1995)의 연구를 기초로 하였다. 국내 자연사 박물관에 대한 조사 결과는 각기 특성있고 긍정적인 결과를 얻었으나, 국외의 유명한 자연사박물관에 비교할 때 보다 많은 과학교육적 전시특성의 개발이 필요하다.

  • PDF

Exploring the Educational Potential of the Exhibits in Natural History Museums as Socioscientific Learning Materials in the Context of Proposing Science Inquiry Communities: Earthquake Topic (과학탐구공동체 제안을 위한 사회과학적 학습 자료로서 자연사박물관 전시의 교육적 잠재성 탐색: 지진 주제를 중심으로)

  • Lee, Sun-Kyung;Shin, Myeong-Kyeong;Kim, Chan-Jong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9 no.6
    • /
    • pp.506-519
    • /
    • 2008
  • This article explores the potential learning materials and methods of science practice from exhibits, and how those are presented in natural history museums as a feasible science inquiry community. The idea of science inquiry community was offered as a form of science practice that ended with science learning. A grasp of 'scientific practice to learning' is understood as a way to conceive scientific methods as well as facts and understanding knowledge. To get educational implications on the scientific practice of 'earthquake' as a socioscientific topic in the communities, we analyzed 1) the relationship between earth science curriculum and exhibits related to 'earthquake', 2) the educational goals and intentions of educators, and 3)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hibits in the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and in the Smithsonian National Museum of Natural Hist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ose museums presented the exhibits consisting of various and practical cases and events of 'earthquakes' as a socioscientific topic related to their curriculum. At the target museum, it was clearly stated that the pursuing educational goals focused on relations with local interests and socioscientific issues. For making earthquakes relevant to visitors, delivering lived experiences with raw data and interactive media was emphasized in exhibit characteristics.

과학관 탐방 - 캐나다 과학기술박물관

  • Lee, Jeong-Gu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5 no.8 s.399
    • /
    • pp.22-23
    • /
    • 2002
  • 캐나다 수도 오타와에 있는 캐나다 과학기술박물관은 3개의 수장고에 7만5천여점의 과학기술사물을 소장하고 있는데 이중 10%만이 전시되고 있다. 매년 1백20만여명이 관람하고 있는 이 박물관은 선박, 자동차, 소리와 통신, 우주, 전기코너 등으로 나누어 진열되어 있다.

  • PDF

과학관 탐방 - 독일 도이체스박물관

  • Lee, Jeong-Gu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5 no.7 s.398
    • /
    • pp.28-29
    • /
    • 2002
  • 1925년에 개관한 독일 뮌헨의 도이체스박물관은 현재 6만여점의 희귀 과학기술사물과 85만권 이상의 도서를 소장하고 있으며 연간 1백30여만명의 관람객이 찾는 대규모 과학관이다. 이 박물관은 짧은 시간내에 대표적 전시물을 관람할 수 있도록 명작코너도 운영하고 있다.

  • PDF

Development of Web-based Natural History Museum Multimedia Contents (웹 기반 자연사 박물관 멀티미디어 컨텐츠 구축)

  • 임성은;용환승;송준임;노분조;서수연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382-385
    • /
    • 2000
  • 자연사박물관은 과학박물관 중 자연계를 구성하고 있는 자료 및 현상, 자연의 역사에 관한 자료를 자연사과학 및 자연교육의 입장에서 다루는 박물관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자연사박물관의 컨텐츠 자료 중 특히 천연기념물, 멸종위기종, 보호대상종 및 희귀야생종, 특산종, 신종을 중심으로 웹에 기반한 자연사박물관 컨텐츠 구축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컨텐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저장하고, 저장된 자료를 웹 상에서 효과적으로 서비스 할 수 있는 검색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 PDF

A study on specializing the University Museum in the Perspective of Culture, Arts, and Science (문화.예술.과학의 관점에서 대학박물관의 특성화를 위한 기초연구)

  • Choe, Jong-Ho
    • KOMUNHWA
    • /
    • no.68
    • /
    • pp.25-39
    • /
    • 2006
  • This article attempts to define identity, role and functions of a university museum and to suggest specialization of the university museum in the perspective of culture, arts, and science. A university museum is defined as a center for the service of the university community and its development which acquires, researches, communicates, exhibits and educates, for purposes of eduinfotainment,29 material evidence of people and their environment. The target user of the today's university museum are not only professors, students, university workers, but also university neighbourhood such as the related professionals, patrons, parents, school children and villagers. A multi-dimensional and multi-purpose university museum can be established and managed in a real world and / or a cyber world in the perspective of culture, arts, and science. Based on a ubiquitous system30 in a cyber world vis-a-vie a real world, the university museum can be easily utilized by users anywhere, anytime and any device. In order to specialize the university museum in the perspective of culture, arts and science, it is desirable that the university museum director with the CEO of the university community promote the specialization of the university museum based on philosophy and strategies of university community management after they definitely evaluate the components and resources of the university museum such as human powers, museum collections, organizational, technological, capital, spacial and symbolic resources, The specialization of the university museum should be projected and executed in the direction of maintaining the typical scope of museum activities and managing the effective museum management. Specializing the university museum in the perspective of culture, arts, and science can contribute not only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university community and to perform role and functions of the university museum but also to encourage academic development, to revaluate the brand of the university community and to promote the marketing for the university.

  • PDF

과학관 탐방 - 몽골 자연사박물관(Natural History Museum of Mongolia)

  • Lee, Jeong-Gu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5 no.10 s.401
    • /
    • pp.16-17
    • /
    • 2002
  • 몽골의 수도 울란바토르의 중심부에 위치한 몽골 자연사박물관은 1924년 국립박물관으로 개관한 후 1954년 현재의 건물로 이전하여 공룡화석을 비롯한 희귀한 자연사 표본들이 전시되고 있다. 1층에는 다양한 광물 및 암석표본이, 2층에는 7천만년 전의 각종 실물 공룡화석 등이 눈길을 끈다. 또 3층에는 몽골에서 서식하는 사슴ㆍ낙타ㆍ곰 등이 전시되고 있다.

  • PDF

A Study on Design Element of Regional Museum Space-Marketing (공간마케팅 관점에서 본 지역박물관의 디자인 요소에 관한 연구)

  • Kim, Jin-Hyu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05b
    • /
    • pp.547-549
    • /
    • 2011
  • 지역 박물관은 대도시의 대규모 박물관에 비하여 전시물의 양과 질 그리고 관람객의 접근성에 있어서 열세에 있다. 이러한 가운데 최근 과학기술 문화사업 시행계획에 의한 중점 추진 전략으로써 지방테마 과학관 지원사업이 실행되고 있다. 지역 박물관중 특히 과학관은 어린이와 청소년층의 교육에 크게 도움이 되는 전시를 특징으로 하며 현재 세계 각국에서 다양한 주제로 관람객의 방문을 유도하고 있다. 이러한 기초 조사를 통해 지역의 문화유산을 보다 잘 보존하고 지역 문화 발전과 지역경제에 이바지하는 시설로 자리 잡는데 필요한 마케팅의 디자인 요소를 분석하고 살펴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