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과학 기술과 사회

검색결과 2,853건 처리시간 0.028초

과학의 사회적 역할 1

  • 박성래
    • 과학과기술
    • /
    • 제12권8호통권123호
    • /
    • pp.43-50
    • /
    • 1979
  • 교양이란 지성의 양식이다. 그리고 지성인은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와 사회가 어디에 와서 어디로 가고 있는가에 대해 관심을 갖고 나아가서는 어디로 가야 할 것인가를 제시까지 할 수 있는 사람을 뜻한 것이다. 그렇다면 현대의 원동력인 과학을 사회적 테두리 속에서 이해한다는 것은 지성인이 갖추어야 할 중요한 교양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본지는 과학시대를 만든 과학을 이해하기 위한 한 방안으로 박성래 박사(외대교수ㆍ과학사)의 「과학의 사회적 역할」을 8월호부터 특별연재한다.

  • PDF

복지향상을 위한 과학기술 정책의 방향 (Science & Technology Policy for Welfare)

  • 서지영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12년도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310-319
    • /
    • 2012
  • 향후 한국사회에서는 사회적 소외계층의 생활환경개선과 더불어, 국민 모두의 건강하고 활기찬 생활을 지원할 수 있는 보다 적극적이고 효율적인 복지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사회적 니즈는 우리나라 복지정책이 사회적 취약계층에 대한 시혜적 차원에서의 복지제도개선에 머물 것이 아니라, 사회 경제 문화 등 다양한 영역에서 지식 및 기술의 생산방식을 전환할 것을 요구한다. 복지의 관점으로 과학기술정책을 살펴보고, 변화의 방향을 모색할 시점이다. 본 논문은 과학기술정책이 기존의 성장패러다임에서 벗어나, 진정한 의미에서 복지와 성장의 선순환을 이루는 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는 점을 주장한다. 이를 위해서는 그 문제의 심각성에 비해 연구개발 투자가 저조한 분야에 대한 개선과 더불어 기술공급 위주의 정책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 PDF

글로벌 과학기술사회에 대비한 중등학생들의 과학적 소양 특성에 대한 인식 (Perception Survey on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 Literacy for Global Science-Technology-Society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 유효숙;최경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850-86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21세기에 필요한 과학적 소양에 대한 중 고등학생들의 인식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 소재 중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학생 952명을 대상으로, 21세기 글로벌 과학기술사회에서 중요한 과학적 소양에 대한 인식과 관련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21세기 글로벌 과학기술사회에서 요구되는 과학적 소양에 대해 과학에 대한 태도(Orientation)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학 관련 지식(Scientific knowledge)과 탐구와 문제해결능력(Habits of mind)이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여학생의 경우 다수가 과학에 대한 태도가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한 반면, 남학생들은 과학에 대한 태도만큼이나 과학 지식도 중요한 요소로 꼽았다. 중 고등학생들은 21세기 글로벌 과학기술사회의 특성을 고려하여, 사회적 이슈와 관련된 과학 지식을 알고 타인과의 의사소통능력이나 협동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능력 등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과학 및 기술의 발달로 인한 부작용에 대해 아는 것도 매우 중요 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글로벌 시민으로서의 책임감이나 다양성에 대한 존중, 공동체 의식 등도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중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21세기 글로벌 과학기술사회를 위한 과학적 소양 교육에 더욱 내실화를 기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대학의 과학기술교유 어디로 가나 - 공학교육은 '산업일꾼' 목표로

  • 김영진
    • 과학과기술
    • /
    • 제33권10호통권377호
    • /
    • pp.16-17
    • /
    • 2000
  • 공학의 궁긍적 목표는 과학지식을 활용하여 인간의 생활을 윤택하게 하는 물질, 제품 그리고 시스템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공학교육의 문제점으로 지적된 진로를 무시한 획일적 교육이나 공학을 하나의 순수학문으로 취급하는 그릇된 교육방식은 하루빨리 개선되어야 하겠다. 또한 창출한 기술이 아무리 우수해도 사회에서 받아들이지 않으면 무의미하기 때문에 기술이 사회에 도입되는 과정을 풀어갈 수 있도록 하는 폭넓은 교육이 필요하다.

  • PDF

정보화사회를 슬기롭게 살아가는 지혜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과학과기술
    • /
    • 제29권7호통권326호
    • /
    • pp.47-73
    • /
    • 1996
  • 언제 어디서나 누구와도 음성ㆍ문자ㆍ화상 등 모든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시대가 열리고 있다. 이름하여 정보화사회의 도래이다. 정보화사회가 꽃을 활짝 피우면 장보기에서 학업과 직장일을 안방에서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삶의 모습을 근본적으로 바꿔줄 '정보화사회를 슬기롭게 살아가는 지혜'를 전문가들로부터 알아 보았다.

  • PDF

고령사회 삶의 질 이끄는 '노화과학'

  • 박상철
    • 과학과기술
    • /
    • 2호통권453호
    • /
    • pp.82-85
    • /
    • 2007
  • 65세 이상 총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14% 이상을 고령사회라고 한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이 비율이 8.7%에서 2019년에는 14.4%, 2026년에는 20%를 넘어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초고령 사회에서 노화와 이에 따른 질병은 개인에 있어서는 궁극적인 삶의 질 하락을, 국가에 있어서는 엄청난 재정 부담과 함께 국가 경제력 하락을 초래한다. 그러나 '99세까지 88하자(구구팔팔)'는 질병 없는 행복한 장수는 결코 꿈이 아니다. 지난 수십년간의 연구를 통해 노화의 원인들이 속속 밝혀지고 있기 때문이다. 월간 '과학과 기술'은 '노화'를 주제로 이번 2월호부터 10회에 걸쳐 연재한다.

  • PDF

고등학교 과학 이수 과정에서 학생들의 과학.기술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견해 변화 (The Change of Students' View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Technology and Society during the High School 'Science'Course)

  • 노태희;김희백;김영희;성을선;홍정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650-659
    • /
    • 2003
  • 이 연구에서는 제 7차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과학 이수과정에서 학생들의 과학 기술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견해 변화를 조사했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고등학교 1학년 학생 241명이었다. 검사 도구는 VOSTS에서 선정한 10문항으로 구성했으며, 검사는 학년초와 학년말에 각각 실시했다. 조사 결과, 고등학교 과학 과목은 학생들에게 과학 기술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적절한 이해를 제공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제의 책속으로 - "인간 본성에 대하여"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과학과기술
    • /
    • 제34권3호통권382호
    • /
    • pp.90-91
    • /
    • 2001
  • 인간 본성에 대한 연구는 사회과학 및 인문학과 함께 자연과학의 한 부분으로 다뤄져야 할 당위성이 있다. 오늘날 생물학이 인간의 본성을 푸는 열쇠이기 때문에 사회과학자들은 생물학 원리를 무시할 수 없게 된 것이다.

  • PDF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은 어떻게 수행되는가? (How is the Social Problem-Solving R&D Done?)

  • 송위진;성지은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8권3호
    • /
    • pp.255-289
    • /
    • 2018
  •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은 수월성과 산업적 활용을 지향하는 연구와 비교할 때 그 목표와 과정이 다르다.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며 최종 사용자인 시민사회의 적극적인 참여가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성공적인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로 평가받는 과제를 사례 분석해서 그 특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과학기술부가 시행한 사회문제 해결형 기술개발사업 중에서 최우수 평가를 받은 사례를 중심으로 특성을 살펴보았다. 1) 문제해결을 위한 사회 기술기획 2) 참여형 기술개발 3) 사회적 효과 실현을 위한 법 제도 전달체계 구성 4) 새로운 연구개발방식의 확장이라는 4개의 측면에서 사례를 분석하고 정책방안을 제시했다. 사회 기술기획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데 필요한 도구와 지원 서비스, 전문가와 사용자가 상호작용하면서 의견을 조정하는 리빙랩의 역할, 기술개발만큼이나 중요한 법 제도 개선 활동, 최종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연구자의 변화 등이 사례연구를 통해 파악된 중요한 이슈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