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과학잡지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25초

과학잡지의 미래 : 과거로부터 교훈 (The Future of Scientific Journals : Lessons from the Past)

  • Schaffer, Ann C.
    • 정보관리연구
    • /
    • 제26권2호
    • /
    • pp.111-130
    • /
    • 1995
  • 새로운 기술로 말미암아 과학 커뮤니케이션(scientific communication) 과정에 근본적인 변화가 곧 도래할 것이다. 향후 이러한 변화자정을 이해하기 위해 과거를 주의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과학 커뮤니케이션의 역사를 고찰함으로써 새로운 기술이 커뮤니케이션 형태에 어떤 변화를 일으킬지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잡지가 전통적으로 수행해 온 다양한 기능을 살펴봄으로써 잡지가 이러한 신기술을 어떻게 이용할 수 있는지, 그리고 언제 그 시기가 올지에 관해 더 잘 알 수 있다. 이러한 모델들을 통하여, 전자잡지는 책자형 잡지가 제공했던 기본적 요구를 충족시켜야 하고, 기존의 책자형 잡지가 지니는 특징들을 많이 지녀야 하며, 외적인 힘에 의해 책자형 잡지에서 전자잡지로 변형될 것임은 물론, 전자잡지가 지니는 모든 잠재력을 점차적으로 발휘할 것임을 예상할 수 있다.

  • PDF

인용문헌 분석을 이용한 외국학술잡지 이용행태 분석 (Analysis on the Foreign Journals Seeking Behaviors through Citation Analysis)

  • 고성순;최상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441-457
    • /
    • 2005
  • 외국학술잡지의 인용 분석을 통하여 이용행태를 파악하였다. 인용 분석은 J시 소재 J대학교에 재직 중인 교수들이 2002년부터 2003년까지 2년 동안 국내학술잡지에 게재한 논문 258편에서 인용된 외국학술잡지 총4.749건 중 공학 1,030건, 자연과학 741건. 사회과학 2,286건, 인문과학 636건, 예체능 56건이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를 보면 공학, 자연과학, 사회과학 분야는 단행본보다 학술잡지를 많이 인용하고 있었고 $68.2\%$가 SCI급에 등재된 학술잡지를 인용하고 있었으며, 발행연도가 6-10년 이내의 학술잡지를 가장 많이 인용하였다.

  • PDF

외국학술잡지종합목록데이터베이스 현황분석 (An Analytical Study on Union Catalog of Foreign Journals)

  • 산업기술정보원 정보자료실
    • 정보관리연구
    • /
    • 제26권3호
    • /
    • pp.54-62
    • /
    • 1995
  • 본고는 1995년 개정 보완된 $\ulcorner$외국학술잡지종합목록:과학기술편$\lrcorner$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한 것이다. 본 데이터베이스는 국내 253개 기관에 소장되어 있는 외국과학기술잡지 13,449종의 서지정보와 소장정보를 수록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들 수록자료의 발행국, 발행언어, 발행빈도, 주제분야별 분포 현황, 그리고 중복소장 현황등이 분석되었다.

  • PDF

세미나 - 한국잡지학회 창립 기념 세미나

  • 임남숙
    • 프린팅코리아
    • /
    • 제12권10호
    • /
    • pp.110-111
    • /
    • 2013
  • 잡지는 4대 언론매체의 하나로, 다른 언론매체보다 사회현실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해설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이에 잡지를 학문적으로 체계화하고 과학화하기 위한 한국잡지학회가 설립, 지난 8월 30일 프레스센터 20층 국제회의장에서 한국잡지연구소와 공동으로 '미디어 융합시대, 잡지학의 재발견' 이라는 주제로 창립총회 및 기념세미나를 개최했다.

  • PDF

우리나라 학술잡지의 발달과정에 관한 계량적 연구 (A Study on the growth of Scientific Journal)

  • 한복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40-49
    • /
    • 1986
  • 17세기이래로 학술잡지는 연구자들에게 새로운 정보를 얻는 주요한 정보원이 되었다. 학술잡지의 기능과 특성을 알아보고 우리나라 과학의 발달지표로서 과학인력과 학습잡지의 증가를 조사하였는데 이들은 과학의 일반적인 성장곡선(logistic curve)을 따르고 있었다.

  • PDF

전자잡지 관리에 관한 고찰 (Electronic Journal Collection Management Issues)

  • 노경란
    • 정보관리연구
    • /
    • 제28권4호
    • /
    • pp.59-75
    • /
    • 1997
  • 이 글은 전자잡지의 선정, 예산, 정책결정, 장서평가, 보존 등 전자잡지에 관한 장서관리문제를 소개 분석하고 있다. 전자잡지와 관련한 직원과 예산이 주제별 접근방식이나 형태별 접근방식에 따라, 또는 이 두 접근방식을 병행하여 조직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전자잡지는 인쇄형태 잡지와 마찬가지로 자료식별, 평가, 선정이라는 3단계과정을 거쳐 선정된다. 전자잡지는 인쇄형태잡지에 적용되는 전통적 기준뿐만 아니라 또 다른 기준이 추가로 적용된다. 이 글은 전자잡지의 구독취소와 제적을 언급하고 있지 않지만, 그 중요성은 증가할 것이다. 잡지의 소유권보다는 이용가능성과 접근가능성에 중점을 둔 새로운 이용자위주 평가 방법기법에 대한 요구가 일고 있다.

  • PDF

과학 잡지 프로젝트를 통한 중학생의 학습 변화 탐색: 참여의 관점을 중심으로 (Exploring Middle School Students' Learning Development through Science Magazine Project with Focus on the Perspective of Participation)

  • 이민주;김희백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56-270
    • /
    • 2011
  • 이 연구는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비교과 동아리 활동인 과학 잡지 제작 활동을 통해 다양한 학습자의 참여 형태가 어떻게 변화하며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화기술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14개월 동안 수행되었으며, 연구 참여자는 과학 잡지 편집부에 자원한 중학생 24명과 연구자인 지도교사로, 학생들은 학교 주변의 동식물 관찰, 궁금했던 과학현상 탐구, 과학자 만나보기 등을 기반으로, 편집부 웹 사이트 운영 및 과학 잡지 기사쓰기 활동을 수행하였다.연구 결과 학습자의 참여는 과학 잡지 편집부라는 실행 공동체에 대한 참여의 정도에 따라 주변적 참여,이행기의 참여, 완전한 참여라고 하는 3단계를 거쳐 발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완전한 참여로 발달해감에 따라 과학 잡지 제작 활동에 대한 개인적 흥미발생, 가치 부여와 함께, 메타 인지적 글쓰기와 자발적 학습 증진, 과학 잡지 기자로서의 정체성 형성 등을 보였다. 학습자의 참여 발달에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는 학습 환경 요인으로 제공된 과학 잡지 글쓰기의 속성, 교사 요인으로 제공된 스캐폴딩, 그리고 가장 중요한 학습자 요인으로 탐구와 글쓰기를 즐기고 가치를 부여하는 과정 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흥미, 호기심을 가진 학생들이 과학 잡지 글쓰기를 통해 과학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형성하고, 반성적, 메타 인지적 사고를 경험하며 자발적 학습으로 이행하게 된다는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학습자의 과학적 소양을 함양시키는 것과 함께, 평생 학습 사회를 살게 될 학습자들을 위한 자발적 공동체 구성, 참여, 실행의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학습자 정체성에 입각한 진정한 학습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일차잡지:과거, 현재 및 미래

  • 김석영
    • 도서관문화
    • /
    • 제12권11호
    • /
    • pp.12-15
    • /
    • 1971
  • 1차 잡지는 과학정보 전달의 모체로서 또 과학의 한 사회제도(Social institution)로서 그 역사적 역할을 수행하여 왔음을 비롯하여, 여기서는 특히 공간되는 학술기록으로서의 기능, 또 연구달성을 공표해주는 최고기구로서의 기능에 중점을 두어 이를 고찰한다. 따라서 일차잡지의 역할에 대한 각종의 개혁론이 종래의 전통적 기능에 반하여 충격적으로 논해지고, 아울러 고도로 전자계산기화한사회에 임하여, 그 가능한 미래상을 예측해 본다.

  • PDF

JContents:E-Mail을 활용한 학술 잡지 목차 서비스 시스템

  • 한국도서관협회
    • 도서관문화
    • /
    • 제37권3호통권298호
    • /
    • pp.4-16
    • /
    • 1996
  • 학술 연구 활동에 있어서 관련 정보의 수집은 중요한 연구 활동 중의 하나이다. 특히 첨단 과학기술 분야의 연구에 있어서 최신의 학술 잡지에 게재된 논문에 대한 정보들은 더욱 중요성을 같는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과학기술원에서 교수, 학생, 연구원에게 학술 잡지 정보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제공하기 위해 개발된 학술 잡지 목차 서비스 시스템 (Journal Current Contents Service System, JContents)을 소개하기로 한다. JContents 시스템은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를 바탕으로 GUI(Graphic User Interface) 환경을 제공한다. 특히 캠퍼스 정보 시스템과 연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E-Mail을 통해서 도서관에서 자료 입수 즉시 사용자에게 보낼 수 있도록 하여, 학술 정보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제공함으로써 연구 생산성을 높이는데 기여한다.

  • PDF

'과학동아' 지구과학 기사의 언어적 특성으로 본 과학 잡지의 과학 대중화 기제 (Science Popularizing Mechanism of a Science Magazine in terms of the Linguistic Features of Earth Science Articles in 'Science Donga')

  • 함석진;맹승호;김찬종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51-62
    • /
    • 2010
  • 과학 잡지가 과학자와 일반인 사이의 접점 역할을 수행하며 과학의 대중화에 기여할 수 있게 해 주는 기제를 과학 잡지 텍스트의 언어적 특성에서 찾기 위하여 과학 동아에 수록된 지구과학 관련 기사 12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과학 잡지 텍스트의 언어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레지스터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1) 기자가 쓴 글은 과학자의 사유와 대화를 표현하는 인식적 술어와 발화적 술어의 비율이 높았다. 2) 기자의 글에는 문장의 주체가 사람으로 드러나는 비율이 높지만 과학자의 글에는 사람은 거의 드러나지 않으며 주체가 생략된 경우도 많았다. 3) 과학자의 글은 대부분 평서형 서법을 사용하지만, 기자가 쓴 글에서는 의문형과 청유형 서법, 생략 등의 비평서형 문장이 많았다. 4) 문장 속에 포함된 절의 밀도는 기자의 글이나 과학자의 글 모두 비슷하였다. 5) 정보의 구조 또한, 기자의 글은 단순한 정보의 발전 형태를 띠었고, 과학자의 글은 그에 비해 다소 복잡한 정보 구조를 나타내었다. 과학 잡지 텍스트의 언어적 특징을 통해 과학 잡지는 기자의 글을 통해 어려운 과학 내용을 쉽고 친숙한 텍스트로 제시함으로써 과학의 대중화에 기여할 뿐 아니라, 과학자가 쓴 순화된 과학 텍스트를 통해 일반인들을 과학의 언어라는 과학의 문화에 친숙하게 함으로써 과학의 대중화에 기여하게 됨을 밝혀 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