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과학영역

Search Result 4,218,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nalysi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Science Education Research Trends on Play: Focusing on Implications for Research 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놀이에 관한 국내·외 과학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초등과학교육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

  • Na, Jiyeon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
    • v.42 no.1
    • /
    • pp.34-46
    • /
    • 2023
  • To investigate the trends in science education research related to play and derive implications for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research, we analyzed 109 research articles on play in science education published both in Korea and abroad. First, the number of research studies conducted abroad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since 2009, with the highest number targeting middle school students. Conversely, domestic research has the highest number of papers target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quantitative methods were the most commonly used. Third, the use of questionnaires was the most frequently published research method, while the use of observation and products was smaller in number in domestic studies compared to those conducted abroad. Fourth, In the aspects of the contents, more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field of physics than in other areas. In case of research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domestic research was focused on four areas of science. Fifth, among the studies exploring effectiveness, the 'cognitive domain' was the most studied, followed by the 'science-related attitude domain' and the 'inquiry and practice domain'. Sixth, the use of play was high in the following order: online games, video games, virtual play, and games with rules. For domestic researches, studies on analog play were most frequently reported, and the ratio of digital games in abroad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s. Seventh, the highest number of papers used teacher-directed play, and this tendency was more noticeable in domestic studies.

Analysis of Exam Trend of Earth Science Education in the Secondary-school Teacher Employment Test (중등교사임용시험 지구과학 교과교육학 출제동향 및 개선방안 분석)

  • Kwak, Youngs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 /
    • v.11 no.2
    • /
    • pp.78-89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o improve developing exam questions for Earth science education by analyzing exam trend of Earth science education in the secondary-school teacher employment test (TET, hereafter). For this purpose, we developed an analysis framework to analyze items of Earth science education in the secondary-school TET, and this analysis framework covers required courses for 'theory of Earth science education' of 'Earth science teaching certificate courses'. The analysis framework consists of big categories, assessment domains, and assessment components. We divided system changes in secondary-school TET into 4 types, and analyzed exams of 2014-2018 school year, which is the existing exam system. According to the results, 22-24 points out of 80 have been allotted to Earth science education. Among assessment domains, Earth science Teaching & Learning domain has taken the highest percentage of scores and item numbers, followed by Earth science inquiry, history & philosophy of science, etc. For each domain, we analyzed exam tendencies in detail. Based the results, we suggested ways to improve developing exam questions for Earth science education in the secondary-school TET, and ways to improve curriculum for Earth science education in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A Study on the Communication Performance Improvement of the Parallel Finite-Different Time-Domain Simulator by using the MPI Persistent Communication (MPI의 지속 통신 메커니즘을 이용한 병렬 유한차분시간영역 전산모사 프로그램의 통신 성능 향상에 관한 연구)

  • Kim, Huioon;Chun, Kyungwon;Kim, Hyeong-gyu;Hong, Hyunpyo;Chung, Young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04a
    • /
    • pp.942-945
    • /
    • 2009
  • 유한차분시간영역 방법은 전자기파 관련 분야의 전산모사에 많이 사용되는 수치해석기법이다. 이 방법을 이용하여 구현한 전산모사 프로그램은 많은 계산 자원 필요로 하기 때문에 병렬 계산 환경을 이용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병렬 계산 환경에서 전산모사를 수행할 경우, 병렬로 수행되는 각 프로세스 간의 통신 속도와 네트워크의 지연 시간은 계산의 병목 현상을 초래하여 전체적인 성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MPI의 지속 통신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병렬 프로세스 간 동기화 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유한차분시간영역 전산모사 프로그램에서의 MPI 통신 성능의 향상을 꾀하고, 그 결과를 그래프로 도시하였다. 또한 기존의 양방향 통신과 단방향 통신 메커니즘을 사용했을 때의 성능과 비교/분석하여, 병렬 유한차분시간영역 전산모사 프로그램에 있어서 지속 통신 메커니즘의 장/단점을 제시하고, 그 효용성에 관해 논의한다.

Shot Detection robust to object movement and brightness changes (객체이동 및 밝기변화를 고려한 샷 전환 탐지 알고리즘)

  • Lee, Joon-Goo;Han, Ki-Sun;You, Byoung-Moon;Hwang, Doo-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531-534
    • /
    • 2012
  • 기존의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샷 전환 탐지 방법은 연속적인 두 프레임의 전체 또는 대응되는 동일한 크기의 소 영역의 히스토그램을 사용하며, 객체의 이동이나, 프레임의 밝기 변화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속적인 두 프레임(현재와 참조 프레임)을 소영역으로 분할한 후, 현재 프레임의 소 영역과 두 프레임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객체의 이동을 고려한 참조 프레임에서의 소 영역의 비교, 그리고 참조 프레임의 소 영역에서 얻은 화소 밝기 히스토그램에 밝기 변화를 보상한 후, 현재 프레임의 소 영역에서 얻은 화소 밝기 히스토그램과 비교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영화와 뉴스 같은 비디오 데이터에 좋은 결과를 보였다.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Items for Science Subject: With a Focus on Optics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과학 문항 특성 분석 : 광학 내용을 중심으로)

  • Lee, Bongwoo;Lee, In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5 no.3
    • /
    • pp.465-475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ults of physics (optics) in nationwide standardized assessment and to investigate middle-school students' characteristics of achievement by using an option response rate distribution curve.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10 optics problems from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items for middle school science subject conducted in 2010-2013.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showed a little higher achievement in optics than classical mechanics and electromagnetism. Second, students achieved significantly worse in 'formation of image' in 'light' part and 'variation of phase in propagation of wave' in 'wave' part. Third, students showed a context-dependent problem solving strategy and result. Additionally, we suggested some implications about the readjustment of some optics concepts level of national science curriculum, the need for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for basic level students, and the need for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focused on the realistic context.

An Analysis of the Result of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Science at Grade 9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 나타난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과학 성취도 분석)

  • Kim, Hyun-Kyung;Jeong, Jin-Su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
    • v.36 no.2
    • /
    • pp.394-407
    • /
    • 2012
  • This study analyzed the result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in a Grade 9 Science class. The study first found that the ratio of below basic achievement was 8.1 percent. This means that a large number of middle school students have not reached basic scientific literacy. Second, the ratio of male students in the below basic level was 10.4 percent, which was double the ratio of female students at 5.5 percent. Thir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achievement by gender, female students outperformed male students. In addition, the female students' standard deviation was smaller than that of the male students, and their scaled scores were distributed nearer the average than that of the male students. Furthermore, analysis of achievement by content domains indicated that females outperformed in all content domains including motion and energy, materials, life, and earth sciences. Showing a similar tendency in the behavior domains, females outperformed males in all behavior domains except the understanding domain. Last, for achievement by living area, students living in the middle and small cities showed the highest scaled score, 196.81. Whereas the average scaled score of the students living in the big cities was 196.15; that of the students living in rural areas was 194.86. With respect to the standard deviation, big cities had the largest, 33.73. That of middle and small cities was 33.70, and of rural areas was 32.92. Although students in cities showed higher achievement in science compared to students in rural areas, they had a bigger gap in academic achievement.

  • PDF

자율운항선박의 비상상황인식을 위한 경로예측 기반의 충돌위험영역 식별 기술의 기초 연구

  • 최진우;박정홍;김혜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133-134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자율운항선박의 육상 관제 및 원격제어를 위해, 자율운항선박의 비상상황인식 기술 개발에 대한 기초연구를 수행한다. 자율운항선박 주변의 타선들의 이동 경로를 예측하고 이에 따라 자선의 이동경로와 비교하여, 충돌위험 영역을 식별함으로써 비상상황 인식이 가능하도록 한다. 먼저, 타선의 이동경로 예측을 위해서는 선박자동식별시스템 AIS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해역에서의 통항패턴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타선의 특정 시간 동안의 이동 경로를 예측한다. 예측된 타선의 이동경로와 함께 자선의 이동경로를 비교 분석함으로, 최근 접점 및 최근접점 거리 정보 기반의 충돌위험영역을 식별한다. 식별된 충돌위험영역의 위험도에 따라 육상 관제센터에서는 원격 제어를 통한 위험상황 회피가 가능하도록 활용할 수 있다. 제안된 방법은 AIS에서 얻어지는 실제 항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초기 결과를 검증하였다.

  • PDF

AIS 항적 데이터 기반 선박의 충돌 위험 영역 예측에 관한 기초 연구

  • 박정홍;최진우;김혜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1.11a
    • /
    • pp.181-18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자율운항선박의 원격 관제 및 제어하는 과정에서 원격 운항자에게 사전 충돌 위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선박자동식별시스템(AIS,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의 항적 정보를 토대로 자율운항선박의 운항 경로 상에 잠재된 충돌 위험 영역을 예측하기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율운항선박의 운항 경로 상에 근접한 타선의 AIS 정보에는 기본적으로 선박의 위치, 속도, 침로에 대한 정보가 반영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정보를 토대로 일정 시간 동안 운항 경로를 예측할 수 있다. 그리고 예측한 정보를 기반으로 대표적 충돌 위험 지수인 최근접점(CPA, Closest Point of Approach)과 최근접점 거리(DCPA, Distance to CPA) 정보를 활용하여 충돌 위험 영역을 2차원 공간상에서 예측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실제 AIS 항적 데이터를 활용한 수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초기 결과를 검증하였다.

  • PDF

Examining the interdisciplinary structure of Korean cognitive science through analyzing author affiliations and title words (연구자 소속과 표제어 분석을 통한 국내 인지과학 분야의 학제적 구조 파악)

  • Lee Jae-Yun;Jung Ju-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06.08a
    • /
    • pp.127-134
    • /
    • 2006
  • 이 연구에서는 국내 인지과학 분야의 연구자 소속 정보와 논문의 표제어 분석을 통해 학제적 구조 파악을 시도해 보았다. 연구 결과 국내 인지과학 분야에서 대표되는 학문 영역은 컴퓨터과학, 심리학, 언어학, 인지과학, 철학, 교육학, 의학, 경영학이었다. 두 시기(1기: 1989-1998, 2기: 1999-2003)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국내 인지과학 분야는 1기에서는 컴퓨터과학, 심리학, 언어학 순으로 우세한 학문분야가 나타났다. 이와 달리 2기에서는 심리학, 컴퓨터과학, 인지과학, 언어학의 순이었다. 이 같은 결과는 컴퓨터과학의 비중이 초기에 가장 높다가 감소했다는 점에서 외국의 사례와 유사하지만, 외국에 비해서 언어학 분야 연구자의 비중이 다소 높은 것이 국내 인지과학 연구의 특징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자가 사용한 표제어를 분석한 결과 두 시기에서 모두 컴퓨터과학과 심리학은 인지과학분야에서 융합되기 보다는 독자적인 연구영역을 형성하였다. 또한 시기별 표제어 분석을 통해서 컴퓨터과학이나 심리학 소속 인지과학 연구자들의 관심사가 1기에서 2기로 넘어가면서 변화한 부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정부 R&D 사업 유사연구영역 분석

  • Jeong, Jae-Ung;Han, Yu-Ri;Gang, In-Je;Choe, San;Jeong, Jae-Yeon;Park, Hyeon-U;Jeon, Seung-Pyo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05a
    • /
    • pp.559-570
    • /
    • 2017
  • 우리나라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미래 성장동력 육성을 목표로 정부주도하에 국가 R&D 투자를 점진적으로 늘려왔다. 그 결과, 최근에는 GDP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이 세계 최고 수준에 이르렀다. 이렇게 연구개발 예산의 양적인 확대와 함께 연구개발 예산의 효율적 활용은 더욱 중요한 과학기술 분야의 정책적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연구개발 예산의 효율적인 집행을 위해서는 R&D 사업의 유사 중복성의 검토가 필수적이지만, 대부분의 유사 중복성 검토는 전문가의 직관적인 판단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왔다. 하지만, 전문가의 직관에만 의지한 판단은 때로는 불명확하거나 잘못된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정부 R&D 사업의 유사 중복성을 체계적으로 검토하기 위한 데이터기반의 방법론을 제안하여 전문가의 직관에 의한 유사 중복성 검토를 보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정부 R&D사업 유사영역의 전체적인 구조 및 형태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소속 25개 정부출연연구기관 R&D사업의 유사영역의 전반적인 형태를 시각화하여 유사영역을 파악하고 직관적인 판단과 선택을 할 수 있는 의사결정 정보를 제공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NTIS의 2015년 데이터를 사용하여 과제 키워드 기반으로 동시단어출현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분석을 통해 25개 기관의 세부적인 유사연구영역 형태를 제시하였으며, 국내의 과학기술정책적 또는 과학기술학적인 현상들을 시각화하였다. 그 결과, 국내 출연연 R&D사업이 기관별 고유영역이 확고히 보이는 Mode 1적인 형태와 사회경제적인 맥락과 필요 및 유망성을 따르고, 다학제적, 적용중심적이며 과제별로 다양한 과제수행기관들이 과제들을 동시에 수행하는 Mode 2적인 형태가 출연연의 R&D사업 내에 공존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