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과학기술정책과

Search Result 3,760,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과학기술정책 형성 과정에서의 여론 반영 - 19대 대선 과학기술 공약과 동아사이언스 및 ESC의 사례를 중심으로

  • Han, Won-Seok;NamGung, Hye-Ri;Gang, Seon-Jun;Won, Yu-H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05a
    • /
    • pp.473-487
    • /
    • 2017
  • 본 논문은 대한민국의 제19대 대통령 선거와 관련하여 각 후보들의 과학기술정책 공약이 과학자들의 여론을 반영하였는지 알아본다. 이를 위해서, 주요 정당(더불어민주당, 국민의당, 바른정당, 정의당)의 후보들이 과학 언론인 동아사이언스로부터 받은 과학기술정책 공약에 대한 문의에 대해 답변한 내용과 사단법인 과학자 단체인 '변화를 꿈꾸는 과학기술인 네트워크(ESC)'가 발간한 '2017 대선 과학기술지원정책 타운미팅 - 우리는 대통령 후보에게 무엇을 묻고 요구할 것인가'라는 자료집에 대해 답변한 내용을 중심으로 하였다. ESC의 해당 자료집은 ESC 소속 회원들이 주관한 타운미팅에서 참가자들이 소속 및 직위에 의한 제한 없이 반대 의견에 부딪히지 않고 자유롭게 의견을 개진함으로써 발간된 것이기 때문에, 과학기술계의 여론을 가감 없이 반영했다고 볼 수 있다. 분석을 해본 결과,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의 과학기술정책 공약이 과학기술계 여론을 가장 많이 반영하였으나, 과학기술 일자리 확충 및 과학기술인재 등용과 관련해서는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대통령이, 과학문화 정책과 관련해서는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 및 정의당 심상정 후보가 과학기술계 여론을 잘 반영한 것으로 나타났기에, 문재인 대통령이 세부 정책별로 다른 후보의 공약을 참고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

STEPI 연구 소개

  • Science & Technology Policy Insisute
    • Science & Technology Policy
    • /
    • v.1 no.1 s.1
    • /
    • pp.17-17
    • /
    • 1991
  • STEPI(과학 기술 정책 연구소)는 1987년 창설 이래 정책 연구 과제 17건과 기본 연구 과제 6건 등을 당 연구소 연구 팀 및 외부 전문가를 활용 수행하였으며, `91년 현재 완료된 중요 연구 과제와 수행중인 연구 과제는 아래와 같다.

  • PDF

기술의 세계화

  • Science & Technology Policy Insisute
    • Science & Technology Policy
    • /
    • v.1 no.10 s.10
    • /
    • pp.17-18
    • /
    • 1991
  • PDF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 Korea (한국 과학기술정책의 특성에 관한 시론적 고찰)

  • Song Sung-Soo
    •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 /
    • v.2 no.1 s.3
    • /
    • pp.63-83
    • /
    • 2002
  • This article examines the historical 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 Korea. Historical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through formation period, growth period, and transition period. Korea institutional sis for the promo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was made from the initial stage of industrialization. As national R&D programs were launched, technological activities in the private sector were rapidly increased from the 1980s. Korea pursued new directions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with the formation of related laws and Plans from the late 1990s. General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by the concept of 'policy regime'. The prime policy goal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 Korea has been related to industrial development so far. In the policy means, input element has been increased focusing on the external aspects. Bureaucratic policy culture has dominated other cultures including economic culture, academic culture, and civic cult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