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xploration of Compensation Satisfaction Determinants and Influence Analysis on Job Commitment for S&T Manpower

과학기술인력 보상 만족도 결정요인 탐색과 근속에 대한 영향 분석

  • Received : 2010.06.07
  • Accepted : 2010.06.23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It is well known that compensation satisfaction of employees is closely related to work attitude, job commitment, and employees'intentions to stay on the job. These known facts can also be applied to the professionals engaged in science & technology as well. Many studies have concluded that the Korea's losing competitiveness in the area of science & technology was mainly attributed to the distorted compensation system. In this vein, this paper identifies the potential determinants that affect the compensation satisfaction of S&T professionals, and to empirically examines the determinants influences on job commitment and intention to stay. This was done by acquiring data from S&T professionals currently being employed in firms, universities, and institutions. Consequently, for professionals engaged in science & technology, the compensation satisfaction was demonstrated to be largely influenced by job accomplishment, monetary compensation, and social compensation in order. In conclusion, to improve compensation system for S&T professionals, firstly, it is recommended to enhance job accomplishment by endowing more discretionary authority to conduct research. Secondly, the relatively lower-valued labor forces in S&T area will necessitate more economic support and compensation. Finally, the social compensation should be strengthened by not only ameliorating social status, but also improving labor liquidity and job security.

보상만족도는 직무성과, 직무몰입, 그리고 근속 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과학기술인력의 보상만족도도 이와 유사하며, 많은 선행 연구들은 현재의 과학기술 경쟁력 저하 및 인력 수급의 애로와 관련된 많은 문제에 대해 과학기술인력에 대한 왜곡된 보상체계를 근본적인 원인으로 꼽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산학연 연구기관에 현재 근무하고 있는 과학기술분야 연구 인력을 대상으로 과학기술인력들이 인지하는 보상만족도의 결정요인과 이들의 영향 정도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연구하였다. 또한 이러한 보상만족도가 실제로 근속과 어떠한 영향 관계를 미치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과학기술인력의 보상만족도는 직무성취도, 경제적 보상, 사회적 보상의 순서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인프라를 포함한 연구 환경은 보상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다시 말해 과학기술인력들은 생활인적 속성을 가지고 있는 동시에, 고도화된 지식전문인으로서 지적호기심과 지적탐구욕의 충족과 같은 비경제적 보상에 민감한 지식인적 속성을 함께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과학기술인력 보상체계 개선을 위해서는 첫째, 연구자율성 확대와 연구결과에 입각한 평가 등을 보완하여 직무성취도 향상을 도모해야 할 것이고 둘째, 상대적 열위에 있는 과학기술인력의 경제적 보상을 확대하여야 할 것이며 셋째, 인력유동성과 직업안정성 향상 및 사회적 지위 개선과 같은 사회적 보상을 확대하여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