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과학기술위성 3호

Search Result 146,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Space Telescope Pre-study of KASI for the Next Decades (2030년대 우주망원경 운영을 대비한 한국천문연구원의 우주망원경 사전 연구)

  • Moon, Bongkon;Lee, Dae-Hee;Choi, Young-Jun;Han, Wonyong;Nam, Ukwon;Park, Youngsik;Park, Won-Kee;Lee, Duk-hang;Kim, Woojin;Han, Jeong-Yeol;Choi, Seonghwan;Kim, Jihun;Ko, Jongwan;Kim, Il-joong;Moon, Hong-Kyu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6 no.2
    • /
    • pp.77.1-77.1
    • /
    • 2021
  • 한국천문연구원은 천문우주분야의 과학임무 탑재체 개발을 주도적으로 수행해오고 있다. 과학기술위성1호 주탑재체 원자외선영상분광기 FIMS 개발, 과학기술위성3호 주탑재체 다목적적외선영상시스템 MIRIS 개발, 차세대소 형위성1호 주탑재체 근적외선영상분광기 NISS 개발을 수행하였고, 현재는 NASA와 국제협력으로 SPHEREx 우주 망원경을 개발하고 있다. 이러한 개발 과정을 거치면서 주경 20cm 이하의 소형 탑재체 과학임무 한계와 더불어 연구 현장에서 더 큰 우주망원경의 수요가 제기되었고, 현재의 국가우주개발 중장기계획에도 2030년대 한국형 우주망원경을 포함하게 되었다. 이러한 일정에 발맞추어 한국천문연구원은 2030년대 한국형 우주망원경 독자 운영을 대비하기 위해서 2020년 1월부터 주요 사업으로 한국형 우주망원경 개발을 위한 기획연구를 시작하였다. 이 기획연구는 2021년 말까지 2년 동안 수행하고 있으며, 이 기획연구를 통해서 학계의 과학임무 요구사항을 종합 수렴하였고, 관련 컨설팅 업체와 협업하여 사전 기획연구 활동들을 수행하였으며, 향후 우주망원경 개발에 대한 전략을 제안하고 보고서를 마무리하는 단계에 와 있다. 이 발표에서는 이러한 기획연구의 세부 활동을 공유하고 보고하고자 한다.

  • PDF

The design and performance analysis of RS(255,223) code for X-band downlink of STSAT-3 (과학기술위성3호의 X-대역 하향링크를 위한 RS(255,223) 코드 설계 및 성능 분석)

  • Seo, In-Ho;Kim, Byung-Jun;Lee, Jong-Ju;Kwak, Seong-W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8 no.2
    • /
    • pp.195-199
    • /
    • 2010
  • (255,223) RS(Reed-Solomon) code which is the CCSDS(Consultative Committee for Space Data Systems) standard was used in the STSAT-3 to correct errors during the downlink of payload data. The RS encoder developed by VHDL was implemented in MMU(Mass Memory Unit). Moreover, the RS decoder developed by C-language was implemented in the DRS(Data Receiving System) of ground station. In this paper, we reported the design and analysis results of RS(255,223) for STSAT-3. The BER(Bit Error Rate) performance from MMU to DRS was confirmed through the downlink test at 16 Mbps. Also, the error correction performance and capability of RS(255,223) was tested by the manual attenuation of the RF(Radio Frequency) signal in the X-band transmitter resulting in putting some errors in the communication line.

Application of AI technology for various disaster analysis (다양한 재해분석을 위한 AI 기술적용 사례 소개)

  • Giha Lee;Xuan-Hien Le;Van-Giang Nguyen;Van-Linh Ngyen;Sungho 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97-97
    • /
    • 2023
  • 최근 재해분야에서 인공신경망(ANN), 기계학습(ML), 딥러닝(DL) 등 AI 기술이 활용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센싱정보와 연계한 시설물 안전관리, 원격탐사와 연계한 재해감시(녹조, 산사태, 산불 등), 수문시계열(수위, 유량 등) 예측, 레이더·위성강수 자료의 보정과 예측, 상하수도 관망누수예측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 기술이 적용되고 그 활용성이 검증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ML, DL, 물리기반신경망(Pysics-informed Neural Networks, PINNs)을 이용한 다양한 재해분석 사례를 소개하고, 그 활용성과 한계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주요사례로는 (1) SAR영상과 기계학습을 이용한 재해피해지역(울진 산불) 감지, (2) 국가 디지털 정보를 이용한 산사태 위험지역 판별(인제 산사태) (3) 기계학습 및 딥러닝 기법을 이용한 위성강수 자료의 보정·예측 및 유출해석, (4) 수리해석을 위한 수치해석분야에서의 PINNs의 적용성(1차원 Saint-Venant 식 해석) 평가 연구결과를 공유한다. 특히, 자료의 입·출력 자료만으로 학습된 인공신경망 모형 대신 지배방정식(물리방정식)을 만족하도록 강제한 PINNs의 경우, 인공신경망 모형보다 우수한 모의능력을 보여주었으며, 향후 복잡한 수리모델링 등 수치해석분야에서 그 활용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A FLUXGATE MAGNETOMETER FOR THE KITSAT-3 SATELLITE (과학위성용 자력계 탑재체 개발에 관한 연구)

  • ;;;;;;Onishi Nobugito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v.14 no.2
    • /
    • pp.312-319
    • /
    • 1997
  • The magnetometer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ayloads for scientific satellite to monitor the near-earth space environment. The electromagnetic variations of the space environment can be observed with the electric and magnetic field measurements. In practice, it is well known that the measurement of magnetic fields needs less technical complexities than that of electric fields in space. Therefore the magnetometer has long been recognized as one of the basic payloads for the scientific satellites.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scientific fluxgate magnetometer which will be on board the KITSAT-3. The main circuit design of the present magnetometer is based on that of KITSAT-1 and -2 but its facilities have been re-designed to improve the resolution to about 5nT for scientific purpose. The calibration and noise level test of this circuit have been performed at the laboratory of the Tierra Tecnica company in Japa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