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과학교육정책

Search Result 550,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The Evolution of the Science Education Policy for the Gifted, 1968-2012: The Interaction of the Policy of Human Resource in Science and Technology and Education Policy for the Gifted (과학영재교육정책의 진화, 1968-2012: 과학기술인력정책과 영재교육정책의 상호작용)

  • Woo, Saimi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25 no.2
    • /
    • pp.279-298
    • /
    • 2015
  • This study analyzes the interaction of the policy of human resource in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policy of education for the gifted. In Korea, the goals of gifted education seem to have gravitated more toward serving the national perspective of creating a pool of high-quality scientists for economic development, rather than toward helping individuals achieve their educational aspirations and promote their talents. The science education policy for the gifted can be categorized into two: one primarily by the Ministry of Science (MOST) and another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MOE). So far, the policy of science education for the gifted has been written by MOE. Such an imbalance has been created because the two ministries differed in their values and priorities. MOST has designed the science education policy in order to foster the gifted as high-quality human resources in science and technology that can help contribute to economic development. On the other hand, MOE has designed the policy for the gifted with educational equity in mind. Although the policy by MOST had have more influence in implementing overall policies of educating the gifted, the two ministries have interacted and formulated the educational system of gifted in Korea.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process that MOST has legitimized their science education policy for the gifted by designing it in line with the national and social goals, and has formulated a basis on which the gifted can contribute to R&D for economic development.

21세기 대비 교육정책의 방향

  • 신현석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1998.05a
    • /
    • pp.7-7
    • /
    • 1998
  • 새로운 밀레니엄을 불과 몇 년 앞둔 지금 우리는 정치.경제.사회.문화.과학기술 등 전 분야에 걸쳐 전개되고 있는 역동적인 변화를 몸소 체험하고 있다. 냉전시대의 종식 이후 세계의 정치 구도는 경제패권을 둘러싼 지역화.블럭화의 경향을 보여주고, 플랜트와 하드웨어 중심의 규모의 경제가 기술중심의 소규모화 된 현장중심의 범인의 경제로 전환되는 와중에 있다. 사회.문화적 측면에도 오늘날 우리는 국제화, 다원화, 지방화의 무드 속에서 조직구조의 변화는 물론 이에 따른 인간의 가치관과 생활양식의 변화를 때로는 능동적으로 혹은 피동적으로 체험하고 있다. 한편, 과학 기술 분야의 변화는 거대 에너지와 물자를 활용하는 ‘힘-중심적’ 방향에서 새 사고와 아이디어를 요구하는 ‘지식-중심적’ 방향으로 옮겨가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과학과 기술에 있어서도 에너지, 재료, 기계 등 대대적으로 활용하는 거시적 과학과 기술로부터 지식, 정보, 통신을 중심에 두는 정밀과학, 정밀기술 쪽으로의 변화가 진행중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사회의 변화와 관련된 교육적 대응의 원리는 두 가지 형태로 집약될 수 있다. 교육은 본질적으로 순응(accommodation)과 적응(adaptation)이라는 서로 상반되는 두 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순응의 원리는 교육의 탄생이래 교육목적의 본질에 해당되는 것으로 기존 사회질서의 유지와 체제 존속을 위해 교육은 과거로부터 전해져 내려오는 의미 있는 문화내용을 엄선하여 미성숙한 학생들에게 전수하고 그들로 하여금 문화와 전통을 계승하도록 하는 사회화에 그 일차적인 목적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순응의 원리를 강조하는 교육은 과거 지향적이며 외부의 변화에 대해 수동적인 자세를 견지한다. 한편, 적응의 원리에 입각한 교육은 문화와 전통에 대한 피동적 전승을 넘어서 사회의 변화에 따라 교육체제와 내용을 바꾸는 등 적극적으로 변화에 대응하고, 이러한 변화를 주도할 인간육성에 힘을 기울이는 교육방식을 취한다. 시대적 변화의 소용돌이 속에서 교육은 이제 기왕의 많은 교육적 신화들을 타파하고 뉴 밀레니엄을 준비해야할 기로에 서 있다. 현재의 변화를 슬기롭게 대처하고 미래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적응하는 인간을 육성하기 위한 오늘날 교육의 사명은 우선 미래사회를 위한 교육정책의 방향을 수립하는 일이다. 교육정책은 국가의 교육방침으로서 현실 교육문제의 해결도 중요하지만 미래의 발전을 기약할 수 있는 장기적인 비젼과 목표 속에서 정립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의도하에 본 연구는 21세기를 대비한 교육정책의 방향을 탐색하고 그에 따른 정책적 과제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하에 본고는 \circled1 과거 우리 나라의 교육정책을 반성적으로 회고하고, \circled2 미래사회에 대한 전망과 교육적 시사점을 분석하며, \circled3 마지막으로 21세기의 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교육정책의 방향과 과제를 내용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xperts' Perception of Science Curriculum Localization Policy: Focus on the Revision of the Arrangement and Implementation Guideline and the Achievement Standard of Curriculum (과학과 교육과정 지역화 정책에 대한 전문가 인식 탐색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 및 성취기준 개정을 중심으로-)

  • Chun, Joo-young;Lee, Gyeong-geon;Hong, Hun-gi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41 no.6
    • /
    • pp.483-499
    • /
    • 2021
  • The curriculum localization policy is closely related to the decentralization and autonomy policy, which is a direction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continuously expanding and changing environment and contents in science education, the localization of the science curriculum has the advantage of advancing to expertise through diversity. In this paper, through experts' perception of the science curriculum localization policy, the implications of the curriculum revision were confirmed, focusing on 'MPOE(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curriculum arrangement and implementation guidelines(hereinafter referred to as 'guidelines')' and the achievement standards revision of science curriculum. In conclusion, study participants considered that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localization of the curriculum was high due 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science practices. And they recognized the level of localization at the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or village'-level between MPOE-level and school-level. When localization reaches the school-level in the future, it was considered necessary to discuss linkage with teacher policies such as teacher's competency, noting that the level of teachers could become the level of localization. In addition, there was a common perception that in order for the science 'guidelines' to be localized, 17 MPOE must be given the authority to autonomously organize some achievement standards in parallel. It was considered that 'restructuring or slimming of achievement standards' should precede localiza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in connection with this. On the other hand, it was predicted that the curriculum localization policy would enhance the aspect of diversification and autonomy of the science curriculum, and the establish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was directly related to evaluation, so it recognized the need to refine policies such as new description for evaluation clause in future science 'guidelines'. Finally, considering science and characteristics, it was mentioned that it is necessary to specify regional intensive science education policies in the 'guidelines' themselves beyond the localization of teaching materials.

과학언론인 칼럼 - 21세기 선진국 진입위해 살아있는 과학기술교육을

  • Kim, Hyeong-Geun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0 no.12 s.343
    • /
    • pp.26-27
    • /
    • 1997
  • 우리나라 과학기술정책은 F학점이다. 4월을 '과학의 달'로 정하고 과학대중화운동이나 과학문화확산운동을 벌이고 있으나 4월 한달만 지나면 조용히 사라지고 만다. 특히 우리의 과학교육을 보면 입시위주의 주입식 교육은 과학을 재미없는 과목으로 치부해 버려 과학교육이 스스로 과학대중화를 멀게 하고 있다. 21세기 선진국 진입을 위해선 이 시대에 맞는 살아있는 과학기술교육이 시급하다.

  • PDF

신년대담 - 교육과학기술부장관과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회장

  • 한국대학교육협의회
    • 대학교육
    • /
    • s.175
    • /
    • pp.6-13
    • /
    • 2012
  • 임진년(壬辰年) 흑룡의 해가 활짝 떠올랐다. 지난해 우리 대학가에서는 정부의 강력한 대학구조조정, '반값 등록금' 이슈에 따른 등록금 인하 문제, 정부의 국가장학금 제도 시행 등 많은 일들이 있었다. 올해는 이명박 정부가 국정을 운영하는 마지막 해이다. 그만큼 대학가에서는 정부의 고등교육정책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될 것인지에 대해 관심이 매우 높다. 대교협은 이에 따라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과 김영길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회장(한동대 총장)의 특별 신념 좌담회를 마련했다. 두 사람은 2011년 12월 15일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실에서 만나 이명박 정부 4년간의 고등교육정책에 대한 평가와 올해의 정부 정책 방향, 대학에 대한 정부의 요망 사항과 대학의 정부에 대한 건의 사항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이날 좌담회는 오대영 가천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대학교육 편집위원)의 사회로 진행됐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