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과제 제시방법

Search Result 926,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Research on the Student Activities in the Clothing & Textiles Section of 'Technology & Home Economics' in Middle School Textbooks[I]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의생활 영역의 활동과제에 관한 연구[제1보])

  • Eo, Ji-Hyun;Oh, Kyung-Wha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20 no.2
    • /
    • pp.15-30
    • /
    • 2008
  • Various types of students activities presented in the clothing part of the current 'Technology Home Economics' middle school textbooks were analyzed to provide basic idea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content of text, which can arouse students' interest and practical use.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units related to clothing contained in 10 different technology & home economics textbooks of 2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pprov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under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ypes of student activities were categorized based on "size of groups", "type of problems" and "methods of carrying out tasks" and the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future directions for action plans especially in terms of composition of contents, the methods of performance and suggestions. As a result, the volume of each part in clothing & textiles section was investigated. Among them 'dressing' part was found to make up the largest percentage of the clothing unit. And among the six of the detailed contents, "How to Wear Traditional Korean Clothes" and "Functions of Clothes", took up the largest space. In additions, the types of students activities and methods of implementing and how to performing tasks vary depending on publishing companies and detailed contents of areas. As a result, 'individual activities', 'structured problem', and 'problems that require prior home-based experience' were most common types of activities. Based on this study, it is suggested to increase the number of small group activities and the activities that require diverse problem-solving methods.

  • PDF

Teaching Method using Job Assignment as a Solution on the Adverse Effects of Peer Evaluation in Team-based Learning (조별과제 동료평가의 역효과 해결을 위한 직무배정 수업기법)

  • Kim, Sang-Ky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2 no.6
    • /
    • pp.2543-2547
    • /
    • 2011
  • This paper suggests a new method for team-based learning which is focusing on the individual job assignment to solve the possible problems of free riders, dysfunctional conflicts, and hostility among students. Especially, it examines that if a method using job assignment could reduce the adverse effects of peer evaluation. This study was executed during one semester. Each team was organized with seven members and an independent job among seven different jobs was assigned to each member. At the end of the semester, it was examined that if individual job assignment had solved the possible problems of free riders, dysfunctional conflicts, and hostility among students. Finally, this study found that a new method of team-based learning using a job assignment lessened a problem of free riders, and reduced dysfunctional conflicts and hostility among students comparing with the peer evaluation method. The suggested method in this paper, which focuses on the job assignment of team project, could improve the efficiency of team-based learning in education course.

A Study on Subject Submission System Based on XML (XML 기반의 문제은행형 과제 제출 시스템에 관한 연구)

  • 송현화;박지환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3.11b
    • /
    • pp.913-916
    • /
    • 2003
  • 인터넷 이용 확산에 따라 학교 현장에서 교과의 특성이나 상황에 따라 학생들이 작성한 과제물을 홈페이지 자료실, E-mail, FTP 등을 이용하여 제출 받고 평가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이는 과제물의 공개, 과제물 수용 용량의 부족 현상, 평가에 따르는 불편함, 과제물을 또 다른 정보로 재활용 할 수 없는 문제 등을 발생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XML에 기반을 둔 문제은행형 과제 제출 시스템을 설계함으로써 학생들의 학습 성취도를 향상시키고, 교사의 과제물 평가의 불편함을 해소하며, 제출된 과제물들을 유용한 정보로 재사용 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 PDF

A Study on the Methodology for the Extraction of Core R&D Project (중점 연구개발과제 도출 및 기획을 위한 방법론 연구)

  • Shin, Sungsik;Rim, Myu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65-366
    • /
    • 2015
  • 국가 차원의 연구개발사업 분야 발굴 및 중점 연구개발과제 도출에 필요한 프로세스를 연구한 것으로 연구개발과제의 필요성, 추진내용, 산업-기술연관로드맵, 추진전략, 소요예산, 기대효과 등을 어떻게 구성하고 작성해야 하는지 실무중심으로 프로세스를 제시하고 있다. 이 논문은 스포츠산업 기술개발사업의 중단기 기술개발의 중점 연구개발과제 도출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연구된 것이다.

  • PDF

한국어와 중국어 이중언어 화자의 대뇌 언어 영역 활성화 양상

  • 이홍재;이동훈;유재욱;문찬홍;나동규;남기춘
    • Proceedings of the KSMRM Conference
    • /
    • 2001.11a
    • /
    • pp.102-102
    • /
    • 2001
  • 목적: 이중언어자에 있어서 각각의 언어가 대뇌에 어떻게 표상 되어 있는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중국어 이중언어화자를 대상으로 사용한 언어와 과제에 따라 활성화된 부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이중언어자(화교) 자원자 8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모두 오른손잡이였다. 한국어와 중국어로 구성된 어휘판단과제(lexical decision task)와 의미판단과제 (semantic decision task)를 이용하여 언어 영역의 활성화를 유도하였다. 어휘판단과제는 화면에 제시되는 두 자극이 모두 단어인지 아닌지 판단하여 신호하도록 하였고(예:원개 · 교화, 토끼, 지욱), 의미판단과제는 화면에 제시되는 두 자극의 의미가 관련 있는지 없는지 판단하여 신호하도록 하였다. (예:가가 ·제제, 아침·저녁). 대조과제는 아랍어(예:equation omitted) 글자의 크기를 판단하여 신호하도록 하였다. 1.5T 초전도 자기공명영상장치에서 EPI BOLD 기법을 이용하여 기능적 영상을 얻었으며 8명에서 얻은 영상을 정상화(normalize)한 후 SPM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p<0.000001을 기준으로 얻어진 활성화 영상에서 각 언어와 과제별로 나타난 활성화 신호의 차이를 육안적으로 분석하였다.

  • PDF

연구기술 개발을 위한 Living Lab 운영사례 및 추진방안

  • 김영두;조민철;이아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1.11a
    • /
    • pp.129-131
    • /
    • 2021
  • Living Lab은 기존의 전문가 위주의 R&D 방법론을 탈피하여 각종 사용자가 연구 주체로 포함시키며 사회가 직면한 도면과제의 직접적 해결은 물론 R&D 성과물의 용이한 사업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Living Lab의 정의를 파악하고 각종 운영사례와 환경 분석을 통해 R&D에서의 Living Lab의 적용 방법과 보완점을 도출하여 Living Lab의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향후 R&D 과제에서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 of Risk Communication on the Formation of Safety Culture (위험소통이 안전문화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Cha, Youngi-Sh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53-154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의사소통이 갖고 있는 복잡한 과정을 고려하여 재난 시 위험의 소통방식에서 나타나는 오류들을 분석하고, 안전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한 방법 중 가장 효과적인 방법의 하나로 "위험소통"을 그 대안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안전문화를 개인의 과제가 아닌 조직 내에서의 협동과제로 인식하고, 조직 내 소통을 통한 신뢰가 안전문화에 미치는 영향력에 집중하였다. 본 연구의 제안을 통해 위험소통에 대한 새로운 원칙들을 제시함으로써 조직 내 안전문화의 새로운 방향을 도모하고자 한다.

  • PDF

A Systematic Review of Task-Oriented Training to Improve the Physical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of Living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뇌성마비 아동의 신체기능 및 일상생활 향상을 위해 적용된 과제 중심 훈련의 체계적 고찰)

  • Bak, Ah-Ream;Lee, Jae-Shin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 /
    • v.19 no.1
    • /
    • pp.54-68
    • /
    • 2021
  •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and classify the task-oriented training methods used to improve the daily live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Methods : The search period from January 2008 to August 2020, and the CINAHL, MEDLINE and PubMed was databases were used. A total of 18 studies was selected, and the PICO method was applied to conduct the systematic review. The training methods were then classified according to task, practice, and feedback as strategies to learn or to exercise control based on prior research. Results : Of the selected studies, 13 reported significant results in the area of motor skills, two of which related to Activities of Daily Living. Discrete and closed were the most common forms of task, and the most used types of practice were whole, part, and blocked, in that order. Finally, feedback was not specifically provided in most studies, followed by extrinsic feedback. Conclusion : Based on this review, task-oriented training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can be made more effective in clinical practice in the future through the systematic selection of techniques that promote exercise control and the presentation of specific methods.

The Effects of Whole-task Sequencing Emphasis Manipulation on Expertise Acquisition in Web Based Complex Task (웹기반 복합적 과제에서 전체과제 계열화 강조변화 방법이 전문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 Kim, Kyung-Jin;Kim, Ky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20 no.6
    • /
    • pp.629-644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hole-task sequencing emphasis manipulation on expertise acquisition in web based complex task. To achieve the purpose, emphasis manipulation sequencing type is composed of a simple emphasis manipulation, a snowballing manipulation, and a full emphasis manipulation sequencing and participants was drawn from a pool of 93 undergraduate students sampled for the study. According to the findings, a snowballing manipulation group invested significantly lower cognitive load than a full emphasis manipulation group but did not a simple emphasis manipulation group. Based on these findings, though complex task is included of high interactivity owing to real task, learner cannot suffer cognitive overload because emphasis manipulation which can view the whole task and the part task in parallel provides meta cognition for learner. And whole-task sequencing emphasis manipulation affects to transfer. The snowballing emphasis manipulation group invested significantly higher than simple emphasis manipulation group and full emphasis manipulation group.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nowballing manipulation which learner use whole-task sequencing and part-task sequencing simultaneously contribute to understandings and ability to solve problems for complex task and it will in turn, lead to expertise acquisition.

A Study on Process Design for Applying the National R&D Projects of Governmental Department (NTIS 범부처 국가R&D과제 신청 프로세스 설계)

  • Han, Heejun;Kim, Yunjeong;Choi, Heeseok;Kim, Jae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11a
    • /
    • pp.587-590
    • /
    • 2014
  • 국가R&D사업 관리를 위해 17개 부처 청은 각각의 과제관리 대표전문기관을 지정하고 있으며, 16개 대표전문기관은 매년 국가R&D 과제를 발주하고 예산을 집행하며, 협약된 과제에 대한 성과를 관리하고 있다. 국가R&D 과제를 발주하기 위해 먼저 사업에 대한 공고를 시행하는데 대부분의 부처 및 대표전문기관은 온라인 시스템을 이용한다. 대표전문기관은 각각의 연구관리시스템을 운영하여 R&D과제 공고정보를 게제하고 연구자는 해당 시스템에 로그인하여 과제를 신청한다. 이 때 과제신청을 하고자하는 연구자는 원하는 공고정보를 찾고 과제를 신청하기 위해 산재된 연구관리시스템을 접근하여 원하는 정보를 탐색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범부처 국가R&D과제 공고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하고, 산재된 연구관리시스템에 개별적으로 접근하지 않고도 과제신청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기종간의 로그인 방안과 과제신청 프로세스, 신청된 관제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논하며, 이는 국가R&D과제를 수행하고자 하는 연구자에게 과제 신청 방법의 효율성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