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과제 연구

Search Result 8,499, Processing Time 0.046 seconds

Investigation of Cognitive Model of Task Commitment on Biology Classification Inquiry (생물 분류 탐구에서 과제 집착의 인지적 모형 규명)

  • Kwon, Seung-Hyuk;Kwon, Yong-Ju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
    • v.37 no.1
    • /
    • pp.170-185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 cognitive model of task commitment on biology classification inquiry. To achieve this goal, first, this study analyzed several literatures on task commitment in biology inquiry, and invented the tentative model of the task commitment. To investigate a tentative model invented, 2 main tasks were developed. These tasks were administered to 8 high-school students, first grade. Raw protocols were collected by thinking aloud method and a retrospective interview method. Collected protocols were converted to segmented protocols and coded by analyzing frame based invented model. The codes were analyzed. As a result, some problems were discovered, tentative model were revised. New analyzing frame based on Improved model were composed, and raw protocols were re-analyzed. Finally, a cognitive model of task commitment on biology classification inquiry was investigated. The investigated cognitive model of task commitment on biology classification inquiry was constructed 3 steps, 'Task commitment Induction', 'Task commitment Reinforcement', 'Task commitment Maintenance'. And each steps were consisted of several sub-factor. And commitment component were changed in each steps. Through this results, base information for strategy that improvement task commitment on biology classification inquiry is provided. Furthermore, the cognitive model of task commitment on biology classification inquiry will assist on evaluation and feedback by stage on task commitment.

  • PDF

A Study on the Methodology for the Extraction of Core R&D Project (중점 연구개발과제 도출 및 기획을 위한 방법론 연구)

  • Shin, Sungsik;Rim, Myu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65-366
    • /
    • 2015
  • 국가 차원의 연구개발사업 분야 발굴 및 중점 연구개발과제 도출에 필요한 프로세스를 연구한 것으로 연구개발과제의 필요성, 추진내용, 산업-기술연관로드맵, 추진전략, 소요예산, 기대효과 등을 어떻게 구성하고 작성해야 하는지 실무중심으로 프로세스를 제시하고 있다. 이 논문은 스포츠산업 기술개발사업의 중단기 기술개발의 중점 연구개발과제 도출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연구된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Success Judgement Model of Parts Development Projects (부품개발과제의 성공판정모형에 관한 연구)

  • 권철신;조근태;김점복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118-121
    • /
    • 2000
  • 본 연구는 부품업체가 갖는 고유의 사업에 대한 특성분석을 통하여 방대한 부품개발과제들에 적합한 성공판정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전자부품업체를 대상으로 전문가에 대한 인터뷰조사와 설문 조사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부품개발과제의 유형화를 시도하였고, 이에 따른 부품개발과제의 유형별 성공판정모형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의 모형 및 결과는 개발과제에 대한 합리적인 성패판정 기준 내지는 모형의 구축을 갈구하는 우리나라의 기술기업들에게 하나의 유용한 틀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f Electronic Evaluation System on Government R&D Program (국책과제 전자평가시스템 도입방안)

  • 송학현;조재영;최세하;김윤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2.11a
    • /
    • pp.86-90
    • /
    • 2002
  • IT분야에 대한 정부의 각종 R&D사업 수행 시 과제 선정 및 연구결과에 대한 평가의 투명성, 객관성 및 효율성을 확보하여 사업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성과를 제고하여야 한다. 1999년 대학기초연구지원 사업에 시범적으로 적용한 전자평가시스템 개발 내용과 그 결과를 위원회 평가와 비교 분석하였다. 1999년에 처음 시도한 전자평가시스템은 과제 제안자 관점에서는 과제접수가 용이하고, 과제 공고부터 결과 정리 시 소요되는 총 소요기간 단축으로 과제 선정을 조속히 확정 가능하여 대민 서비스 제고 차원에서 유용한 평가시스템으로 판단되며, 과제 관리 차원에서도 총 평가비용의 30% 정도의 예산절감 및 10배정도 업무량의 감소 효과를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전자평가시스템이 적용 가능한 사업을 발굴하여 점진적으로 확대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며 향후 추진 과제로 산업체가 제안하는 과제내용이 제안자 동의 없이 외부로 유출 방지 등 검토가 필요하다.

  • PDF

Analysis of R&D Efficienc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National Research Projects in Culture Technology Sector (문화기술(CT) 분야 국가연구과제 특성에 따른 R&D 효율성 분석)

  • Yoon, Sangpil;Son, Hos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5
    • /
    • pp.383-392
    • /
    • 2022
  • Culture technology is contributing to the creation of new values through convergence with other industries. The government is also actively investing in R&D in this field to secure competitiveness. In this study, the R&D efficiency of culture technology is analyzed by characteristics. Data envelopment analysis and non-parametric tests are performed on 968 national research projects in 2016-2019. As a result,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a difference in R&D efficienc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national research projects in culture technology sector. This suggests that when planning national research projects for culture technology, these characteristic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and strategically promoted.

고진공펌프종합특성평가시스템 설계, 진단기술 개발 개요

  • Im, Jong-Yeon;In, Sang-Yeol;Kim, Wan-Jung;Jeong, Wan-Seop;Im, Seong-Gyu;Go, Deuk-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2a
    • /
    • pp.111-111
    • /
    • 2012
  • 지식경제부의 청정제조기반 산업원천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진행 중인 "초고진공펌프 개발" 과제 중 제 3 세부 과제인 "고진공펌프종합특성평가시스템 설계, 진단기술 개발" 과제에서 추진되고 있는 연구결과를 소개한다. 국내 초고진공펌프 개발 수준의 선진화를 위한 기본적인 초석 확립은 현존하는 모든 진공 발생 장치의 국제적 신뢰성이 있는 완벽한 성능평가의 구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고진공펌프개발 총괄 과제의 대명제는 "국제적 신뢰성을 가지는 상용화 제품의 완성"이며, 이를 위한 3세부과제의 추진 방향은 기 완료된 1단계 기술개발에 근거한 1세부과제 및 2세부과제와의 유기적인 infra를 통한 성공적인 지원체계 구축 및 상용화 제품 개발 단계의 모든 신뢰성 확보 전략을 수립, 수행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또한 2단계 사업 추진 동안 제품 개발 주체인 산업체에 모든 개발된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기반 제공 및 상용화를 위한 성공적인 기술이전도 포함된다. 상용화 개발 완료 후인 Post Project 기간 동안에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지원 체계의 구축도 장기간에 걸친 연구 개발의 연장선상에서 추진되어야 될 것으로 예상된다. 상용화 단계의 내구성 및 신뢰성 확보를 위한 전제 조건은 대외적으로 공표할 수 있는 시험평가 데이터와 개발 주체에서 기밀 수준으로 유지해야만 하는 민감한 자료의 상시 생산 infra의 구축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고진공펌프개발이라는 과제의 대명제를 완성하기 위하여 추진 연구개발 방향 등 향후 2년간의 최종 상용화에 필요한 국제 신뢰성, 공정대응성 확보 등 핵심사업 추진내용 및 infra 구축의 상세설계 로드맵 초안을 고찰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지경부 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 중 "초고진공펌프 개발" 사업의 제 3 세부과제인 "고진공펌프종합특성평가시스템 설계, 진단기술 개발" 과제(과제번호: 10031836)에서 수행된 연구결과의 일부임.

  • PDF

집단적 과제 수행에서 구성원들의 상호작용 기능과 요소에 따른 역할 분배 양상

  • Jeong, Won-Yeong;Sin, Hyeon-Jeong;Lee, Go-Eun;Cha, Hyeon-Jeong;Kim, Chan-Jong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25-25
    • /
    • 2010
  • 본 연구는 에너지와 물질 순환을 주제로 한 대학생들의 집단적 과제 수행 상황에서 구성원들의 상호작용 기능과 요소에 따른 역할 분배의 양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집단 내 구성원에게 개별적인 역할이 주어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 과제가 부여되었을 때, 집단 내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역할의 종류를 상호작용 기능과 양상에 따라 유형화해보았다. 연구 참여자는 9명의 환경 교육 전공 대학생으로, 2008년 11월에 열린 한중일 환경교육 캠프에 참여한 한국 학생들이다. 캠프 활동 중 하나로 충남 홍성 문당리 환경농업마을의 에너지와 물질 순환에 대해 토의하고 그 결과를 그림으로 표현하여 발표하는 활동이 있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발표를 위해 준비하는 과정을 연구 맥락으로 하였다. 그리고 약 2시간에 걸친 과제 수행 과정을 촬영 후 전사하여 연구 자료로 삼았다. 관련 선행 연구 고찰과 연구 자료에의 적용 및 수정을 통해 상호작용 기능과 요소를 코딩하기 위한 분석틀을 마련하였으며, 문제가 제기되고 그 문제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는 대화를 분석의 단위로 정하였다. 대화 단위별로 구성원 간 말차례가 오고간 모습을 화살표로 도식화하여 대화 패턴을 분류하였으며, 대화를 말차례별로 상호작용 기능과 요소에 따라 코딩화하였다. 화살표로 도식화된 대화 패턴과 상호작용 코딩 결과에 따라 집단 내에서 자발적으로 형성되는 구성원의 역할을 분류하고 명명하였다. 이렇게 집단적 과제 수행 상황에서 학생들에 의해 자생되는 역할을 상호작용의 관점에서 유형화해봄으로써 협동 학습이나 토의 활동 등 집단적 상호작용을 통한 과제 수행에 있어서 학생이나 교사의 역할에 대해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

The effect of task appropriate processing of on-going task on event-based prospective memory (동시과제의 처리 적절성이 미래계획기억 수행에 미치는 효과)

  • Park, Young-Shin;Rim, Jae-Hee;Jang, Mi-Suk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22 no.4
    • /
    • pp.449-467
    • /
    • 2011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ask appropriate processing on prospective memory(PM). The TAP was manipulated with list type within study phase and association category type among PM target words. Associated word lists used for ongoing task were consisted of semantically associated lists and orthographically associated lists. Target words for PM task were consisted of city names or words for ending with the letter of '도'. According to the TAP view, PM performance would be better in the condition of task appropriate processing rather than in the condition of task inappropriate processing. Total fifty students volunteered for two experiments for the present study. The main finding was that PM performance was influenced by the task appropriate processing with ongoing task. In other words, PM performance was facilitated when association type between ongoing list and PM target word was same. Second, ongoing task performance was also influenced by task appropriated processing.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in task appropriated processing theory and previous studies.

  • PDF

The Effect of Monitoring Animated Character on Simple Math Task (Animated Character의 감시가 청서와 인지 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 - 과제 난이도에 따른 Animated character의 영향)

  • Hyun, Ju-Ha;Kim, Seung-Eun;Han, Kwang-He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b
    • /
    • pp.482-487
    • /
    • 2008
  • Animated Character는 컴퓨터와 인간 간의 상호작용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편으로 널리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Animated Character의 감시가 과제 난이도에 따른 수행과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실험에서 실험 참가자들은 통제 집단과 감시 Animated Character 조건에 무선으로 배정되어 난이도 세 수준의 글자계산 과제를 수행하였다. 또한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상태 특성 자기평가 불안척도(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를 사용하였다. 실험참가자들의 수행은 과제의 정답률과 반응시간을 측정을 통해 평가되었다. 실험결과 감시 Animated Character 조건은 통제 조건 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불안(Anxiety)의 증가가 있었다. 또한 감시 Animated Character 조건은 높은 난이도의 글자 계산 과제에서 통제 조건 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수행을 보였다. 본 연구는 Animated Character의 감시가 과제 난이도에 따라 다른 영향을 가진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향후 감시 시스템 등에 Animated Character를 적용함에 있어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 PDF

A Study on Subject Submission System Based on XML (XML 기반의 문제은행형 과제 제출 시스템에 관한 연구)

  • 송현화;박지환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3.11b
    • /
    • pp.913-916
    • /
    • 2003
  • 인터넷 이용 확산에 따라 학교 현장에서 교과의 특성이나 상황에 따라 학생들이 작성한 과제물을 홈페이지 자료실, E-mail, FTP 등을 이용하여 제출 받고 평가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이는 과제물의 공개, 과제물 수용 용량의 부족 현상, 평가에 따르는 불편함, 과제물을 또 다른 정보로 재활용 할 수 없는 문제 등을 발생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XML에 기반을 둔 문제은행형 과제 제출 시스템을 설계함으로써 학생들의 학습 성취도를 향상시키고, 교사의 과제물 평가의 불편함을 해소하며, 제출된 과제물들을 유용한 정보로 재사용 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