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과제 연구

검색결과 8,499건 처리시간 0.034초

STEPI 연구 소개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과학기술정책
    • /
    • 제1권1호통권1호
    • /
    • pp.17-17
    • /
    • 1991
  • STEPI(과학 기술 정책 연구소)는 1987년 창설 이래 정책 연구 과제 17건과 기본 연구 과제 6건 등을 당 연구소 연구 팀 및 외부 전문가를 활용 수행하였으며, `91년 현재 완료된 중요 연구 과제와 수행중인 연구 과제는 아래와 같다.

  • PDF

STEPI 연구 소개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과학기술정책
    • /
    • 제1권3호통권3호
    • /
    • pp.21-21
    • /
    • 1991
  • 당 연구소는 1987년 설립 이래 과학 기술 정책 연구 66건, 특정 연구 개발 과제 17건 및 기본 연구 과제 10건 등 주요 연구 과제와 현재 수행 중인 주요 연구 과제는 다음과 같다.

  • PDF

e-Science Project Selection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Project Selection of e-Science Application Research)

  • 이형진;변옥환;장행진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7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65-269
    • /
    • 2007
  • 현재 e-Science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e-Science 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사업기획이 중요해지고 있다. 현재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e-Science의 성격상, e-Science 성숙단계, 추진방법, 과제의 특성 등에 따른 적절한 응용과제의 선정이 필요하다. 응용과제의 선정을 통해 연구과제를 IT기반으로 적용, 수행 할 수 있는 e-Science 관련요소기술의 개발, 인프라 연동계획 등 연구실시계획이 수립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e-Science 응용연구 과제 선정을 위한 후보 과제 풀을 국가연구개발사업 및 기술예측과제 등 유망 기술과제에서 도출, 과제의 선정평가를 위한 모형과 추진 방안을 논의해 본다.

  • PDF

국가연구개발사업과 논문성과간 네트웍 분석을 통한 사업별 유사성 분석 (A Similarity Analysis on National R&D Programs and Paper Outputs using Network Analysis)

  • 장한수;홍정석;최주석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63-1269
    • /
    • 2017
  • 정부의 연구개발투자로 수행되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은 세부과제 단위로 매년 도출되는 6대 성과(논문, 특허, 기술료, 사업화, 인력양성 지원, 연수 지원)를 집계한다. 성과 중 하나인 SCI급 논문은 한 논문을 다른 연구과제의 성과로 제출하는 경우도 많아서 동일 논문성과를 다수의 과제에서 공유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국가연구개발사업과 그 성과로 도출된 SCI급 논문간의 네트워크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데이터는 2015년도에 수행된 연구개발과제의 성과로 제출된 11,179편의 SCI급 논문 중 2개 이상의 과제 결과로 도출된 논문이다. 또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SCI급 논문 성과는 세부과제 단위로 집계되므로 SCI급 논문-세부과제간 네트워크는 정보량이 과다하다. 따라서 SCI급 논문에 대한 네트웍 분석은 세부과제를 포함하는 국가연구개발사업간의 네트워크로 한 단계 높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논문-사업간 2모드 네트워크를 1모드 네트워크로 전환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시도하였다.

  • PDF

멀티태스킹에서 자발적 과제전환에 의한 인지적 이득과 손실 (Cognitive Cost and Benefit from Voluntary Task Switching in Multitasking)

  • 이상민;이주환;한광희
    • 인지과학
    • /
    • 제24권1호
    • /
    • pp.71-93
    • /
    • 2013
  • 멀티태스킹은 이제 일상이 되었다. 자발적으로 하고 있던 일을 중단하고, 다른 것으로 전환하는 행동이 점점 쉬워지고 잦아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에 따르면 과제전환은 대부분 인지적 비용을 야기시킬 뿐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발적 과제전환으로 인지적 이득을 얻을 수 있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우선, 실험 1에서는 비슷한 성격의 두 과제를 할 때, 기존 연구와 마찬가지로 과제전환빈도와 수행도에 부적상관관계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실험 2에서는 과제전환 가능 조건과 불가능 조건을 나누고, 개인의 멀티태스킹 선호도와 미디어 멀티태스킹 지수에 따라 각 과제의 수행도와 주관적 평가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기존의 대부분 연구와 다르게 과제전환에서 항상 손실이 나타나는 것은 아니었다. 특히, 멀티태스킹 선호도가 높은 집단에서는 자발적 과제전환에서의 이득이 더 크게 나타났다. 기존의 과제전환 연구는 주로 손실이 발생하는 이유와, 그것을 줄이는 방법에 집중된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과제전환 행동에서 발생하는 인지적 손실 뿐만 아니라 이득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참가자내 조건과 과제의 특성에 따라 손실과 이득이 차이 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정부출연연구기관 수행과제 특성의 다양성이 논문 연구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장호원;안소희;윤수진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12년도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49-163
    • /
    • 2012
  • 1990년대까지 정부출연연구기관은 우리나라의 과학기술을 선도하는 연구개발의 한 주체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 왔으나, 최근 급속히 변화되고 있는 경제 사회 및 기술적 환경 속에서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역할 및 위상에 대한 문제점들이 선행연구에서 지적되고 있다. 현재 정부출연연구기관은 각자의 역할 및 위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정부R&D 과제들을 수행하고 있는데, 이 중 특정 기술분야 및 기술단계에 집중된 과제를 수행하는 출연연구기관이 있는 반면, 다양한 기술분야 및 기술단계의 과제를 수행하는 출연연구기관도 있다. 한 분야에 집중된 과제의 수행은 해당 기술분야의 노하우(know-how), 지식, 기술을 집중적으로 축적하고 해당 분야에 대한 전문성을 제고함으로써 높은 논문성과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한 기관에서 다양한 분야의 과제를 수행하는 것 또한 여러 분야의 지식이나 기술을 획득 보유하게 함으로써 다양하고 창의적인 연구를 가능하게 하고, 지식 및 기술 간 융합에 따른 시너지 효과를 통해 높은 논문성과를 도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판단하는 시각에 따라 기관이 수행하는 과제의 집중화 정도가 논문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상반되게 해석되는 상황에서, 본 연구를 통해 실제 우리나라의 출연연구기관의 경우 그 영향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실증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따라 논문을 주요 연구성과로 하는 기초기술연구회 소속 정부출연연구기관을 대상으로 정부출연연구기관이 수행하는 과제특성의 집중화 정도에 따라 집단을 분류하고, 이들 집단 간의 논문성과 차이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출연연구기관 특성에 따른 차별화된 정책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생산정보의 통합과 공정설계 자동화 과제 (Some issues in Computer Aided Process Planning for integration of manufacturing information)

  • 노형민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5-30
    • /
    • 1993
  • 생산시스템에 지능을 부여하려는 기술개발을 선진국에서는 최근 IMS프로그램을 통해 시도하고 있다. 이중 '차세대 생산시스템을 구축을 위한 통합모델 기초 연구' 과제에 일본에서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CIM기술실현을 위해서 중요 과제로 판단된다. 이와같이 설계, 가공 및 생산관리 정보를 통합하려는 목적을 갖는 과제의 하나로 공정설계 자동화 과제가 있다. 이 과제에서는 생산정보의 통합을 위한 노력으로 특징형상(Feature) 기술과 데이터베이스 이용 기술 등을 개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MS 사업의 관심과제, 생산정보 통합 측면에서 상기 기술에 대한 이해, 그리고 공정설계 자동화 연구과제를 제한된 범위에서 생각해 본다.

  • PDF

NTIS 범부처 국가R&D과제 신청 프로세스 설계 (A Study on Process Design for Applying the National R&D Projects of Governmental Department)

  • 한희준;김윤정;최희석;김재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587-590
    • /
    • 2014
  • 국가R&D사업 관리를 위해 17개 부처 청은 각각의 과제관리 대표전문기관을 지정하고 있으며, 16개 대표전문기관은 매년 국가R&D 과제를 발주하고 예산을 집행하며, 협약된 과제에 대한 성과를 관리하고 있다. 국가R&D 과제를 발주하기 위해 먼저 사업에 대한 공고를 시행하는데 대부분의 부처 및 대표전문기관은 온라인 시스템을 이용한다. 대표전문기관은 각각의 연구관리시스템을 운영하여 R&D과제 공고정보를 게제하고 연구자는 해당 시스템에 로그인하여 과제를 신청한다. 이 때 과제신청을 하고자하는 연구자는 원하는 공고정보를 찾고 과제를 신청하기 위해 산재된 연구관리시스템을 접근하여 원하는 정보를 탐색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범부처 국가R&D과제 공고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하고, 산재된 연구관리시스템에 개별적으로 접근하지 않고도 과제신청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기종간의 로그인 방안과 과제신청 프로세스, 신청된 관제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논하며, 이는 국가R&D과제를 수행하고자 하는 연구자에게 과제 신청 방법의 효율성을 제공한다.

수학 교과서 과제의 수학적 모델링 과제로의 변형 과정에서 겪는 초등학교 교사의 어려움과 수학적 모델링 과제 개발을 위한 지식의 변화: 한 경력 교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Analyzing 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difficulties and mathematical modeling knowledge improvement in the process of modifying a mathematics textbook task to a mathematical modeling task: Focused on an experienced teacher)

  • 정혜윤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2권3호
    • /
    • pp.363-380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가 수학 교과서 과제를 수학적 모델링 과제로 변형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과 수학적 모델링 과제 개발을 위한 지식 변화의 사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0년 경력의 초등교사가 교사연구공동체의 반복적인 논의에 참여하면서 초등학교 5학년 수학의 자료와 규칙성 영역 중 평균 지도를 위한 과제를 수학적 모델링 과제로 변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는 과제 변형 과정에서 현실성의 반영, 수학적 모델링 과제의 적절한 인지적 수준 설정, 수학적 모델링 과정에 따른 세부 과제의 제시에 어려움을 겪었다. 둘째, 반복된 과제 변형을 통해, 교사는 학습 내용과 학생의 인지적 수준을 고려한 현실성 있는 과제의 개발, 과제의 복잡성 및 개방성 조정을 통한 과제의 인지적 수준 조정, 학생의 과제 해결 과정에 대한 사고실험을 통한 수학적 모델링 과정에 따른 세부 과제의 제시를 수행할 수 있었으며, 이는 수학적 모델링의 개념과 과제의 특징 등 수학적 모델링 과제 개발을 위해 요구되는 교사 지식이 향상되었음 보여준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수학적 모델링 교사교육과 관련하여, 교과서 과제 변형을 통한 수학적 모델링 과제 개발 역량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는 교사교육, 수학적 모델링의 이론 및 실제를 결합한 교사교육, 교사연구공동체에의 참여를 통한 교사교육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연구과제회의를 위한 온톨로지 구축 (Design of OWL Ontology in R&D Project Management Meeting)

  • 권미수;류호연;김건희;하성도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387-392
    • /
    • 2006
  • 온톨로지는 시맨틱 웹의 핵심 기술 요소로서 지식을 개념화하고 명세화해서 의미론적 지식체계를 구축한다. 온톨로지는 개념적 모델링(Conceptual Modeling)을 통해 실제 세계의 지식(Real World Knowledge)을 표현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제안되었고, 수많은 정보에 대한 지식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과제회의를 대상으로 온톨로지를 설계 및 구축한다. 과제 진행에 수반되는 다양한 회의와 관련자료는 과제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 반드시 관리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회의에서 참석자들 사이에 정보 공유 및 자료 검색이 어렵고 회의일정 조정이 번거로우며 회의자료 관리가 체계적이지 못하다. 따라서 연구과제 진행과정의 회의와 관련자료들을 분석/분류해서 개념적 모델링을 통해 연구과제회의 온톨로지를 구축하고자 한다. 향후 이를 활용하여 지능형 반응 공간에서 회의 관리 및 서비스 제공을 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