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과제 연구

Search Result 8,491, Processing Time 0.046 seconds

STEPI 연구 소개

  • Science & Technology Policy Insisute
    • Science & Technology Policy
    • /
    • v.1 no.1 s.1
    • /
    • pp.17-17
    • /
    • 1991
  • STEPI(과학 기술 정책 연구소)는 1987년 창설 이래 정책 연구 과제 17건과 기본 연구 과제 6건 등을 당 연구소 연구 팀 및 외부 전문가를 활용 수행하였으며, `91년 현재 완료된 중요 연구 과제와 수행중인 연구 과제는 아래와 같다.

  • PDF

STEPI 연구 소개

  • Science & Technology Policy Insisute
    • Science & Technology Policy
    • /
    • v.1 no.3 s.3
    • /
    • pp.21-21
    • /
    • 1991
  • 당 연구소는 1987년 설립 이래 과학 기술 정책 연구 66건, 특정 연구 개발 과제 17건 및 기본 연구 과제 10건 등 주요 연구 과제와 현재 수행 중인 주요 연구 과제는 다음과 같다.

  • PDF

A Study for Project Selection of e-Science Application Research (e-Science Project Selection에 관한 연구)

  • Lee, Hyung-jin;Byeon, Ok-hwan;Jang, Hei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11a
    • /
    • pp.265-269
    • /
    • 2007
  • We should select suitable application research project to carry out e-Science research in successfuly and make the reseach implement plan such as developing component technology and preparing infrastructure. On this study, the e-Science projects pool will be composed from technology forecasting and national R&D projects and evaluated the project by making evaluation models.

  • PDF

A Similarity Analysis on National R&D Programs and Paper Outputs using Network Analysis (국가연구개발사업과 논문성과간 네트웍 분석을 통한 사업별 유사성 분석)

  • CHANG, Hansoo;HONG, HONG;CHOI, CHOI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1263-1269
    • /
    • 2017
  • 정부의 연구개발투자로 수행되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은 세부과제 단위로 매년 도출되는 6대 성과(논문, 특허, 기술료, 사업화, 인력양성 지원, 연수 지원)를 집계한다. 성과 중 하나인 SCI급 논문은 한 논문을 다른 연구과제의 성과로 제출하는 경우도 많아서 동일 논문성과를 다수의 과제에서 공유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국가연구개발사업과 그 성과로 도출된 SCI급 논문간의 네트워크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데이터는 2015년도에 수행된 연구개발과제의 성과로 제출된 11,179편의 SCI급 논문 중 2개 이상의 과제 결과로 도출된 논문이다. 또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SCI급 논문 성과는 세부과제 단위로 집계되므로 SCI급 논문-세부과제간 네트워크는 정보량이 과다하다. 따라서 SCI급 논문에 대한 네트웍 분석은 세부과제를 포함하는 국가연구개발사업간의 네트워크로 한 단계 높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논문-사업간 2모드 네트워크를 1모드 네트워크로 전환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시도하였다.

  • PDF

Cognitive Cost and Benefit from Voluntary Task Switching in Multitasking (멀티태스킹에서 자발적 과제전환에 의한 인지적 이득과 손실)

  • Lee, Sangmin;Lee, Ju-Hwan;Han, Kwang-Hee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24 no.1
    • /
    • pp.71-93
    • /
    • 2013
  • Multitasking has become part of our life. Self-interruption and switching to another task become easier and more frequent.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however, most of the task-switching incurs a cognitive cos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benefit from task switching. In Study 1, participants performed two tasks were similar, and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task switching and performance were confirmed, this result is similar to previous studies. Study 2 has shown that, made a comparison of two conditions, between possible and impossible conditions in terms of task switching. Depending on switching preference, the result of task performance has differentiated and the emotion that participants had before the task has changed. Depending on participants' switching preference, there were different amount of switching cost. Moreover, for participants who preferred task switching highly than others, task switching occurred more benefit than cost.

  • PDF

정부출연연구기관 수행과제 특성의 다양성이 논문 연구 성과에 미치는 영향

  • Jang, Ho-Won;An, So-Hui;Yun, Su-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149-163
    • /
    • 2012
  • 1990년대까지 정부출연연구기관은 우리나라의 과학기술을 선도하는 연구개발의 한 주체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 왔으나, 최근 급속히 변화되고 있는 경제 사회 및 기술적 환경 속에서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역할 및 위상에 대한 문제점들이 선행연구에서 지적되고 있다. 현재 정부출연연구기관은 각자의 역할 및 위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정부R&D 과제들을 수행하고 있는데, 이 중 특정 기술분야 및 기술단계에 집중된 과제를 수행하는 출연연구기관이 있는 반면, 다양한 기술분야 및 기술단계의 과제를 수행하는 출연연구기관도 있다. 한 분야에 집중된 과제의 수행은 해당 기술분야의 노하우(know-how), 지식, 기술을 집중적으로 축적하고 해당 분야에 대한 전문성을 제고함으로써 높은 논문성과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한 기관에서 다양한 분야의 과제를 수행하는 것 또한 여러 분야의 지식이나 기술을 획득 보유하게 함으로써 다양하고 창의적인 연구를 가능하게 하고, 지식 및 기술 간 융합에 따른 시너지 효과를 통해 높은 논문성과를 도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판단하는 시각에 따라 기관이 수행하는 과제의 집중화 정도가 논문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상반되게 해석되는 상황에서, 본 연구를 통해 실제 우리나라의 출연연구기관의 경우 그 영향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실증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따라 논문을 주요 연구성과로 하는 기초기술연구회 소속 정부출연연구기관을 대상으로 정부출연연구기관이 수행하는 과제특성의 집중화 정도에 따라 집단을 분류하고, 이들 집단 간의 논문성과 차이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출연연구기관 특성에 따른 차별화된 정책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Some issues in Computer Aided Process Planning for integration of manufacturing information (생산정보의 통합과 공정설계 자동화 과제)

  • 노형민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10 no.3
    • /
    • pp.25-30
    • /
    • 1993
  • 생산시스템에 지능을 부여하려는 기술개발을 선진국에서는 최근 IMS프로그램을 통해 시도하고 있다. 이중 '차세대 생산시스템을 구축을 위한 통합모델 기초 연구' 과제에 일본에서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CIM기술실현을 위해서 중요 과제로 판단된다. 이와같이 설계, 가공 및 생산관리 정보를 통합하려는 목적을 갖는 과제의 하나로 공정설계 자동화 과제가 있다. 이 과제에서는 생산정보의 통합을 위한 노력으로 특징형상(Feature) 기술과 데이터베이스 이용 기술 등을 개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MS 사업의 관심과제, 생산정보 통합 측면에서 상기 기술에 대한 이해, 그리고 공정설계 자동화 연구과제를 제한된 범위에서 생각해 본다.

  • PDF

A Study on Process Design for Applying the National R&D Projects of Governmental Department (NTIS 범부처 국가R&D과제 신청 프로세스 설계)

  • Han, Heejun;Kim, Yunjeong;Choi, Heeseok;Kim, Jae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11a
    • /
    • pp.587-590
    • /
    • 2014
  • 국가R&D사업 관리를 위해 17개 부처 청은 각각의 과제관리 대표전문기관을 지정하고 있으며, 16개 대표전문기관은 매년 국가R&D 과제를 발주하고 예산을 집행하며, 협약된 과제에 대한 성과를 관리하고 있다. 국가R&D 과제를 발주하기 위해 먼저 사업에 대한 공고를 시행하는데 대부분의 부처 및 대표전문기관은 온라인 시스템을 이용한다. 대표전문기관은 각각의 연구관리시스템을 운영하여 R&D과제 공고정보를 게제하고 연구자는 해당 시스템에 로그인하여 과제를 신청한다. 이 때 과제신청을 하고자하는 연구자는 원하는 공고정보를 찾고 과제를 신청하기 위해 산재된 연구관리시스템을 접근하여 원하는 정보를 탐색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범부처 국가R&D과제 공고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하고, 산재된 연구관리시스템에 개별적으로 접근하지 않고도 과제신청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기종간의 로그인 방안과 과제신청 프로세스, 신청된 관제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논하며, 이는 국가R&D과제를 수행하고자 하는 연구자에게 과제 신청 방법의 효율성을 제공한다.

Analyzing 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difficulties and mathematical modeling knowledge improvement in the process of modifying a mathematics textbook task to a mathematical modeling task: Focused on an experienced teacher (수학 교과서 과제의 수학적 모델링 과제로의 변형 과정에서 겪는 초등학교 교사의 어려움과 수학적 모델링 과제 개발을 위한 지식의 변화: 한 경력 교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 Jung, Hye-Yun
    • The Mathematical Education
    • /
    • v.62 no.3
    • /
    • pp.363-380
    • /
    • 2023
  • This study analyzed the difficulties and mathematical modeling knowledge improvement that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experienced in modifying a mathematics textbook task to a mathematical modeling task. To this end,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with 10 years of experience participated in teacher-researcher community's repeated discussions and modified the average task in the data and pattern domain of the 5th grade.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 in the process of task modification, the teacher had difficulties in reflecting reality, setting the appropriate cognitive level of mathematical modeling tasks, and presenting detailed tasks according to the mathematical modeling process. Second, through repeated task modifications, the teacher was able to develop realistic tasks considering the mathematical content knowledge and students' cognitive level, set the cognitive level of the task by adjusting the complexity and openness of the task, and present detailed tasks through thought experiments on students' task-solving process, which shows that teachers' mathematical modeling knowledge, including the concept of mathematical model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hematical modeling task, has improv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terms of the mathematical modeling teacher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teachers with opportunities to improve their mathematical modeling task development competency through textbook task modification rather than direct provision of mathematical modeling tasks, experience mathematical modeling theory and practice together, and participate in teacher-researcher communities.

Design of OWL Ontology in R&D Project Management Meeting (연구과제회의를 위한 온톨로지 구축)

  • Kwon, Mi-Soo;Ryu, Ho-Yeon;Kim, Gun-Hee;Ha, Sung-Do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387-392
    • /
    • 2006
  • 온톨로지는 시맨틱 웹의 핵심 기술 요소로서 지식을 개념화하고 명세화해서 의미론적 지식체계를 구축한다. 온톨로지는 개념적 모델링(Conceptual Modeling)을 통해 실제 세계의 지식(Real World Knowledge)을 표현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제안되었고, 수많은 정보에 대한 지식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과제회의를 대상으로 온톨로지를 설계 및 구축한다. 과제 진행에 수반되는 다양한 회의와 관련자료는 과제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 반드시 관리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회의에서 참석자들 사이에 정보 공유 및 자료 검색이 어렵고 회의일정 조정이 번거로우며 회의자료 관리가 체계적이지 못하다. 따라서 연구과제 진행과정의 회의와 관련자료들을 분석/분류해서 개념적 모델링을 통해 연구과제회의 온톨로지를 구축하고자 한다. 향후 이를 활용하여 지능형 반응 공간에서 회의 관리 및 서비스 제공을 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