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과제해결능력

Search Result 248,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The Influence of Objective and Subjective Evaluations about Peers′ Relative Competency on Children′s Problem Solving Performance (또래의 상대적 능력에 대한 객관적, 주관적 평가가 아동의 과제 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

  • Hae Shin Hwang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40 no.3
    • /
    • pp.1-9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이 또래와 함께 과제를 풀어 나가는 과정에서, 상호작용하는 아동들의 객관적인 상대적 능력과 주관적인 상대적 능력을 고려하여 이들이 아동의 과제해결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대상 아동이 자신보다 우수하거나 열등한 아동과 상호작용을 경험하게 하며, 이들 상대방에 대해서 아동자신은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 또한 이러한 상대방의 능력에 대한 주관적 평가가 아동의 과제해결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으며, 마지막으로 이러한 관계가 상대방에 대한 친밀도와는 어떻게 관련지어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6, 8, 10세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서로에 대한 친밀도를 조사하였으며 상대방의 능력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를 하게 했다. 또한 하노이탑 과제를 사용하여 사전 검사, 처리, 사후 검사 단계를 통해 아동의 과제 해결 능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자신보다 더 우수한 짝과 함께 공동 과제 해결을 한 아동이 그렇지 않은 아동보다 사후검사에서 더 많은 향상력을 보여줄 것이라고 기대하였으나 이 가설은 기각되었고, 아동이 자신의 짝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생각할 때, 다시 말하면 자신보다 과제를 더 잘 풀어 나갈 것이라고 판단할 경우에만 과제 수행 능력이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객관적으로 평가된 아동의 능력보다 아동 자신이 주관적으로 상대방의 능력에 대해 판단한 것이 더 의미있게 과제수행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Design of Teaching-Learning Model for Programming Language Education using Advance Programming Assignment (사전 과제를 활용한 프로그래밍 언어 교수 학습 모델 설계)

  • Kim, Kyong-Ah;Ahn, You 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1a
    • /
    • pp.327-328
    • /
    • 2016
  • 프로그래밍 교육은 프로그래밍에 필요한 지식 교육부분과 문제해결능력과 연관된 프로그래밍 전략을 교육하는 부분이 함께 필요하다. 프로그램 작성 기술을 교육하는 과정은 단순한 지식 습득과정이 아니므로 수업과정에서 학습자 스스로 문제해결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유도과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특성의 프로그래밍 수업의 대표적인 수업방식은 실습방식으로, 실제 수업에서 학습자들의 서로 다른 수준을 고려하면서 실습수업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에는 수업시간에 대한 제약이 많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래밍 교육에서 사전 프로그래밍 과제를 활용하여 주어진 학점과 시간 안에서 실습 중심의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교수 학습 모델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프로그래밍 언어 교육 과정에서 발생하는 제한된 실습수업 시간으로 인해 학습자 스스로가 문제해결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수업을 실시하는데 발생하는 어려움을 해결하여, 학습자가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고 좋은 프로그램 작성 기준에 적합한 프로그램 개발 능력을 배양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Analysis on Cognitive Strategies of Scientific Predicting according to 6th Graders' Predicting Skills Based on Eye Movement (초등학교 6학년들의 예상 능력에 따른 과학적 예상의 인지전략 분석 - 안구운동을 중심으로 -)

  • Kim, Yeram;Shin, Donghoon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
    • v.33 no.4
    • /
    • pp.751-761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적 예상 과정에서 초등학생의 안구운동을 분석하여 과학적 예상의 인지전략을 발견하는 것이다. 예상은 관찰, 측정, 추론과 같은 기초 탐구 과정들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중요한 탐구 능력이다. 6학년 초등학생 40명이 자발적으로 이 연구에 참여했으며, 과학적 예상 두 과제를 해결하였다. 예상 과제는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모형의 다음 모양을 예상하는 것과 14일 간의 기온 그래프를 보고 다음 5일간의 기온을 예상하는 과제였다. 과학적 예상 과정에서 참가자들의 안구 운동을 기록하기 위해 SMI사의 안구운동 추적기를 사용하였다. 40명의 참가자들 중 15명(그룹 A)은 두 과제를 모두 해결하였으며, 17명(그룹 B)은 하나의 과제만 해결하였고, 8명(그룹 C)은 두 과제 모두 해결하지 못했다. 예상 능력이 높은 학생과 낮은 학생의 인지 전략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해 그룹 A와 그룹 C의 안구운동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룹 A는 짧은 시간 동안 문제를 읽고 문제의 주요어에 집중했으며, 단서들을 비교하고 경향성을 찾고 답을 재확인하는 활발한 움직임을 보였다. 그룹 C는 문제 자체를 이해하는데 긴 시간이 걸렸으며, 주요어와 단서를 찾지 못하고, 무의미한 짧고 빠른 도약 안구 운동을 보였다. 둘째, 그룹 A와 C의 안구 운동의 고정, 도약, 시선 경로를 분석한 결과, 6가지의 안구 운동 패턴이 나타났다. 셋째, 안구운동 분석결과를 토대로 참가자들의 인지 전략을 유동전략과 고착전략의 두 가지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 규명한 과학적 예상의 인지전략은 교사들이 과학적 예상의 문제 해결 단계에서 학생들이 겪는 어려움을 이해하고, 예상 능력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에 도움이 될 것이다.

Study on Improvement of Circuit Repairing Abilities through Headlight Assignment on Automotive Electronics Subject (자동차전기 과목의 '전조등 과제' 에서 회로수리능력 향상에 관한 연구)

  • Yu, Jeong-Hyo;Lee, Yong-Jin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v.38 no.1
    • /
    • pp.239-258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what circuit repairing ability is and to check improvement in learner's circuit repairing abilities by verifying conformity of learner's achievement of target goals that have been derived from headlight assignment based on circuit repairing ability that has been categorized into six sub-factors, which are preparing ability, attaching/detaching ability, circuit analyzing ability, inspecting and measuring ability, repairing (problem solving) ability and organizing abilit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study, degree of improvement in circuit repairing ability of learner's group was measured through experiment design and verification by group of experts. SPSS statistics program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in which average value for descriptive statistics, Cronbach ${\alpha}$ coefficient and t-test were conducted. Level of significance for t-test was p<.05. The conclusions from conducting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usage of terminology 'circuit repairing ability' pertaining to ability to repair failure of electrical devices in automobiles was confirmed to be appropriate. Secondly, the categorization of circuit repairing ability into sub-factors of preparing ability, attaching/detaching ability, circuit analyzing ability, inspecting and measuring ability, repairing (problem solving) ability and organizing ability was confirmed to be appropriate. Thirdly, field instruction on headlight assignment that has been revised according to achievement of learner's goals was confirme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learner's circuit repairing abilities compared to regular training. Fourthly, field instruction on headlight assignment that has been revised according to achievement of learner's goals was confirme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sub-factors of circuit repairing abilities, which are preparing ability, attaching/detaching ability, circuit analyzing ability, inspecting and measuring ability, repairing (problem solving) ability and organizing ability.

Perspectives and Challenges of Computing Education: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for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and Computational Thinking (컴퓨터 교육의 전망과 과제: 계산적 사고 및 협력적 문제 해결 능력 향상을 위한 융합적 접근)

  • Lee, Eunk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3.07a
    • /
    • pp.203-206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컴퓨팅 집약적인 현대와 미래 사회를 대비하기 위한 컴퓨터 교육의 목표를 계산적 사고 및 이를 바탕으로 한 협력적 문제 해결 능력의 향상으로 보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컴퓨터 교육의 전망과 과제를 제시하였다. 계산적 사고 향상을 위한 컴퓨터 교육은 컴퓨터과학을 전공하는 학습자 뿐 아니라 모든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 초 중등학교 컴퓨터 교육과정의 체계적인 개선 및 계산적 사고를 바탕으로 한 간학문적 융합 학습 활동의 설계 및 평가 전략의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여학생, 특수교육대상 학생과 같은 정보 소외 계층 학습자들의 컴퓨터과학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조장하고 협력적 문제 해결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학습 환경을 제시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으로 예술과 컴퓨터과학의 융합 교육 활동인 E-Textiles 프로젝트의 특성과 연구 동향, 국내 적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The Effects of 'Reading Guide' Course through Problem-Based Learning o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ommunication Ability (프로젝트 기반 학습법을 통한 '독서지도' 과목이 문제해결능력과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 Lee, Myeong-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54 no.1
    • /
    • pp.197-221
    • /
    • 2020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project-based learning method on the problem-solving ability and communication ability of students taking the 'Reading Guide' course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LIS). During this study, two tests measuring students' problem-solving ability and communication ability were conducted, containing 30 items divided into 5 steps of problem-solving processes and 45 items divided into 15 categories of communication ability, respectively. By utilizing the correspondence sample T-test during this stud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5 steps problem-solving processes. However, no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results in all 15 categories of communication ability. Subsequently,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inquiring into the students' perspectives on the difficulty of attending classes, the content of lectures, the appropriateness of assignments, the validity of the evaluation method, the relationship with their team members, and the benefits acquired from completing the projects. Finally, an intensive analysis was conducted in the categories of problem-solving ability and communication ability.

Development of Neuropsychological Model for Spatial Ability and Application to Light & Shadow Problem Solving Process (공간능력에 대한 신경과학적 모델 개발 및 빛과 그림자 문제 해결 과정에의 적용)

  • Shin, Jung-Yun;Yang, Il-Ho;Park, Sang-wo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41 no.5
    • /
    • pp.371-390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neuropsychological model for the spatial ability factor and to divide the brain active area involved in the light & shadow problem solving process into the domain-general ability and the domain-specific ability based on the neuropsychological model. Twenty-four male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o measure the synchronized eye movement and electroencephalograms (EEG) while they performed the spatial ability test and the light & shadow tasks. Neuropsychological model for the spatial ability factor and light & shadow problem solving process was developed by integrating the measurements of the participants' eye movements, brain activity areas, and the interview findings regarding their thoughts and strateg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patial visualization and mental rotation factors mainly required activation of the parietal lobe, and the spatial orientation factor required activation of the frontal lobe. Second, in the light & shadow problem solving process, participants use both their spatial ability as a domain-general thought, and the application of scientific principles as a domain-specific thought. The brain activity patterns resulting from a participants' inferring the shadow by parallel light source and inferring the shadow when the direction of the light changed were similar to the neuropsychological model for the spatial visualization factor. The brain activity pattern from inferring an object from its shadow by light from multiple directions was similar to the neuropsychological model for the spatial orientation factor. The brain activity pattern from inferring a shadow with a point source of light was similar to the neuropsychological model for the spatial visualization factor. In addition, when solving the light & shadow tasks, the brain's middle temporal gyrus, precentral gyrus, inferior frontal gyrus, middle frontal gyrus were additionally activated, which are responsible for deductive reasoning, working memory, and planning for action.

Influence of Project-Based Learning in LIS on Self-Directed Learning and Problem Solving Ability (문헌정보학의 프로젝트기반 학습이 자기주도적 학습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 Lee, Myeong-Hee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9 no.3
    • /
    • pp.89-109
    • /
    • 2018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project-based learning method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of students taking the 'Media Center Management' course in Library Information Science (LIS). During this study, two tests measuring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were conducted, containing 48 items divided into 8 categories and 30 items divided into 5 steps of problem-solving processes, respectively. By utilizing the correspondence sample T-test during this study,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in all categories of self-directed learning, excluding the 'self-understanding' category. In additio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5 steps problem-solving processes as well. Subsequently,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inquiring into the students' perspectives on the difficulty of attending classes, the content of lectures, the appropriateness of assignments, the validity of the evaluation method, the relationship with their team members, and the benefits acquired from completing the assignments. Finally,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문제 해결력을 기르기 위한 과제학습(Project)방법에 관한 고찰

  • Kim, Jae-Ho;Nam, Seung-I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9
    • /
    • pp.83-96
    • /
    • 1999
  • 학교에서 가르치는 것과 학교 밖에서 실행되고 있는 것과는 서로 연결성을 유지하면서 통합을 이루어야 된다고 볼 때, 교과서 위주의 형식화되고 구조화된 내용만으로 이루어지는 제한된 학습활동은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수준의 문제해결을 기대하기가 어렵다. 본고에서는 학생들의 수학적 경험과 관련된 실생활 중심의 과제(Project)를 공동으로 해결하는 과정에서 학생 개개인이 자신의 지적 능력에 따른 역할을 가치 있게 수행함으로써 문제 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 PDF

Implementation of Web Program for Self-Directed Learning (자기주도적 학습을 위한 웹 자료 개발)

  • 김판순;김현배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764-770
    • /
    • 2001
  •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에게 능동성과 책임감을 바탕으로 하여 자기주도적으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웹 학습실을 설계하고 개발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학생들이 자기주도적으로 학습을 해 나갈 수 있도록 학년별, 단원별, 차시별로 구성된 사회과 학습실이라는 웹 환경을 마련하였다. 두 번째로 학생들이 스스로 학습 과제를 선정하고, 다양한 도서와 멀티 자료, 기타 관련 웹 사이트 등 과제 해결에 필요로 하는 자료와 정보를 검색하여 자신이 설정한 과제를 해결해 나가는 일련의 과정을 실시할 수 있는 과제 학습실이라는 웹 환경을 마련하였다. 이러한 사회과 웹 학습실 운영을 통하여 얻어지는 효과는 초등학생들의 컴퓨터 활용 능력을 향상시키고, 학습에 대한 흥미도와 참여도를 높이며, 게시판이나 대화방을 통해 과제를 선정하고, 역할분담, 자료 수집, 분류해 나가는 과정에서 학습활동에 대한 책임의식과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 신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