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v.31
no.5
/
pp.709-719
/
201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classification skills shown in classification activities between the gifted and regular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The subjects for the research consisted of six gifted students in an institute for the gifted for science annexed to P school district in Gangwon-do and 6 students at B and M general elementary schools. Results were as follows: The time taken for classification activities of the gifted was shorter than regular regardless of subjects for classifying. The number of standards for classifying for the gifted was more than regular students. Coefficient for measuring classification skills of the gifted was higher than regulars regardless of age. Consequently,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time taken for classifying and generating the number of standards and in a numerical index of classification activities performed at science classes between the science gifted and the regular students.
Students need to have opportunities to share their ideas with peers by taking part in the conversation voluntarily that is, by persuading others and reflecting the consequences.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his point,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students' argumentation occurring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asks in the math classroom. Also, it tried to explore the types of the argument that students used in the classroom and the reason why they employed them with a focus on 'rebuttal', which is one of the six elements of the argument scheme such as claim, data, warrent, backing, qualifiers, and rebuttal. The analysis of argumentation is based on the five argumentation schemes suggested by Verheij(2005). The experimental class was conducted twice a week with four participants who are thi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argumentation class students were promoted to address two different kinds of geometrical tasks. After the second session of class, the researcher conducted the semi-structured interview. Accordingly,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existing research by making students to have concrete and active argumentation while obtaining the sound understanding of the argumentation.
본 연구는 기업이 경영혁신 방침으로 Six Sigma 추진시 정보보호영역에서의 과제선정에 대한 기준을 제시한다. 기업은 윤리경영을 기초로 사업과 서비스를 통한 수익창출을 목적으로 한다. 기업은 안정적인 사업, 서비스의 정보환경을 확보,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인 보안활동을 통하여 Risk 를 줄이는 작업을 해오고 있다. 기업의 정보보호 활동과 패턴은 초기의 정보보호 기본기능을 도입, 구축하는 단계에서 탈피하여, 점진적으로 종합적인 관리체계로 수렴되고 있으며 산출되는 관련 정보와 Data 의 정규화를 기초로 정량적으로 관리가 이루어 지는 시점에 와 있다. 그러나, 정보보호 침해사고 예방 및 대응활동, 예측 불허한 상황에서 발생되는 보안사고, 책임문제의 발생, 정성적으로 관리되는 상황 등은 정보보호 영역의 Six Sigma 추진시 과제선정의 어려움으로 작용한다. 정보보호 영역에서 Six Sigma 과제 선정은 일반적인 Six Sigma 과제 선정과는 다르게 정보보호 특성을 고려하여 선정하여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보보호 활동에 대한 기업의 투자효과도 비재무적 성과외에 경제적 가치요소를 기초로 재무적 성과를 산출하고, 관리하여야 한다. 국내 기업들이 Six Sigma 를 경영혁신 기법으로 확대 적용하고 있는 상황에서 정보보호 영역의 Six Sigma 과제선정에 대한 제안을 통하여 정량적 목표수준 관리에 의한 성공적인 Six Sigma 성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adaptations of a reform-oriented mathematics curriculum material in the USA, Everyday Mathematics, influence elementary students' opportunities to learn mathematics. I illustrate how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alter the curriculum material and how such alterations influence their students' opportunities to learn mathematics in their mathematics classrooms. Results suggest that the teachers with Everyday Mathematics did not appear to maintain the cognitive demand of mathematical tasks as appeared in the curriculum material, as set up by the teacher, and as enacted in the classrooms.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 teachers seemed to omit components including important tasks and suggestions in the curriculum material. As a consequence, the students did not have an opportunity to think and understand mathematics conceptually and meaningfully; they were exposed and encouraged to learn mathematics procedurally.
This study analyzed problem presenting and solving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lass to enhance insights of teachers in class for providing real meaning of learning.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select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improving to sound student oriented lesson rather than teacher oriented lessons. Protocols were made based on video information of 5th grade elementary school 'Na' level figure and measurement area 3. Congruence of figures, 4. Symmetry of figures, and 6. Areas and weight. Protocols were analyzed with numbering, comment, coding and categorizing processes. This study is an qualitative exploratory research held toward three teachers of 5th grade for problem solving activities analysis in problem presenting method, opportunity to providing method to solve problems and teachers' behavior in problem solving activities.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through this study. First, problem presenting method, opportunity providing method to solve problems and teachers' behavior in problem solving activities were categorized in various types. Second, Effective problem presenting methods for understanding in mathematics problem solving activities are making problem solving method questions or explaining contents of problems. Then the students clearly recognize problems to solve and they can conduct searches and exploratory to solve problems. At this point, the students understood fully what their assignments were and were also able to search for methods to solve the problem. Third, actual opportunity providing method for problem solving is to provide opportunity to present activities results. Then students can experience expressing what they have explored and understood during problem solving activities as well as communications with others. At this point, the students independently completed their assignments, expressed their findings and understandings in the process, and communicated with others. Fourth, in order to direct the teachers' changes in behaviors towards a positive direction, the teacher must be able to firmly establish himself or herself as a teaching figure in order to promote students' independent action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v.28
no.4
/
pp.21-43
/
201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ext and learning activities of Korean and American home economics text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building adolescent empowerment and to suggest an alternative framework for the textbook. An in-depth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Korean and American home economics textbooks. We analyzed the text and learning activities in the textbook on three levels of empowerment: Micro, Meso, and Macro.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Korean textbook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hree levels of empowerment were off-balance (Individual Empowerment: 55%, Group E: 37%, Organizational E: 8%). The educational contents in Korean textbooks were described at the Meso-level. In the case of the American textbooks, the result showed that the educational contents of IE(43%), GE(40%), and OE(17%) were relatively balanced. Therefore,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American textbooks were described at the Macro-level. Second, the learning activities in the Korean textbooks put a greater weight on IE at 66%, followed by GE at 25%, but OE at 9% only. The results showed that learning activities in Korean textbooks were presented at the Meso-level, but that the three levels of empowerment were significantly off-balance. In the case of the American textbook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arning activities were comparatively well balanced at IE(36%), GE(40%) and OE(23%). Therefore, learning activities in the American textbooks were presented at the Macro-level.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ed an alternative framework for 'understanding of self as an adolescent' unit, to build adolescent empowerment at the Macro-level.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v.16
no.2
/
pp.1153-1163
/
201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ask-oriented activities on hand functions in patients with hand injuries. From December 2011 to October 2012, sixteen patients with hand injuries at C Hospital in Changwon, Gyeongsangnam-do, Korea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was subjected to task-oriented activity and the other to general exercise. Two groups performed each activity once a day, three times a week, for four weeks. The group with the task-oriented activities was provided with the tasks according to subject-preference based on the result of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 To verify the effect of intervention, the following hand function measures were used: grip strength, pinch strength, and the range of opposition and abduction, Purdue pegboard test and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DASH).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all of the hand function measures after 4-week activities(p<.05). The task-oriented activity group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ntrol group in powers for tip pinch, lateral pinch and three-jaw chuck pinch, Purdue pegboard test and DASH(p<.05) except in grip strength and the range of opposition and abduction suggesting better improvement in hand functions. This study shows that task-oriented activities improve the hand functions more effectively in patients with hand injuries.
본 연구는 에너지와 물질 순환을 주제로 한 대학생들의 집단적 과제 수행 상황에서 구성원들의 상호작용 기능과 요소에 따른 역할 분배의 양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집단 내 구성원에게 개별적인 역할이 주어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 과제가 부여되었을 때, 집단 내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역할의 종류를 상호작용 기능과 양상에 따라 유형화해보았다. 연구 참여자는 9명의 환경 교육 전공 대학생으로, 2008년 11월에 열린 한중일 환경교육 캠프에 참여한 한국 학생들이다. 캠프 활동 중 하나로 충남 홍성 문당리 환경농업마을의 에너지와 물질 순환에 대해 토의하고 그 결과를 그림으로 표현하여 발표하는 활동이 있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발표를 위해 준비하는 과정을 연구 맥락으로 하였다. 그리고 약 2시간에 걸친 과제 수행 과정을 촬영 후 전사하여 연구 자료로 삼았다. 관련 선행 연구 고찰과 연구 자료에의 적용 및 수정을 통해 상호작용 기능과 요소를 코딩하기 위한 분석틀을 마련하였으며, 문제가 제기되고 그 문제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는 대화를 분석의 단위로 정하였다. 대화 단위별로 구성원 간 말차례가 오고간 모습을 화살표로 도식화하여 대화 패턴을 분류하였으며, 대화를 말차례별로 상호작용 기능과 요소에 따라 코딩화하였다. 화살표로 도식화된 대화 패턴과 상호작용 코딩 결과에 따라 집단 내에서 자발적으로 형성되는 구성원의 역할을 분류하고 명명하였다. 이렇게 집단적 과제 수행 상황에서 학생들에 의해 자생되는 역할을 상호작용의 관점에서 유형화해봄으로써 협동 학습이나 토의 활동 등 집단적 상호작용을 통한 과제 수행에 있어서 학생이나 교사의 역할에 대해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2010.11a
/
pp.417-426
/
2010
현 정부의 대입제도는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21세기형 우수인재를 발굴 육성을 위하여 공교육 정상화에 그 목표를 두고 있다. 아울러 입학사정관제를 활성화하여 사교육에 의존하는 사회풍조를 개선함과 더불어 과열경쟁으로 인한 사교육비를 경감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또한 창의적 체험학습활동을 통하여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을 신장하고 글로벌 인재 양성에 주력하고 있으며, 이를 관리하기위하여 창의적 체험활동 종합지원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교육과정의 현황을 창의적 체험학습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향후 과제에 대한 해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ask-oriented training affects on instrumental activity of daily living for elderly with dementia. Methods : The participant is a 75 years old female with dementia. The intervention was performed for 45 minute on 3 times per week over 1 month. Independent variable was task-oriented training and dependent variable were memory(DST), executive function(TMT-A, CDT), changing of IADL(AMPS). Results :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rticipant significantly improved in executive function, performance of IADL. However, the participant did not show significant improvement in memory. Conclusion : I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ask-oriented training is positive effect on performance of IADL in dementia.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