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과산화지질

검색결과 871건 처리시간 0.023초

흰쥐의 사염화탄소 유발 유리기 반응에 대한 생강, 마늘, 양파식이의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s of Ginger, Garlic, and Onion Against Radical Reaction Induced by Carbon Tetrachloride in Rats)

  • 조영선;송재철;양차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084-1089
    • /
    • 1999
  • 본 연구는 in vitro 실험을 통해 항산화 효과가 인정된 생강, 마늘 및 양파를 첨가한 식이로 2주 동안 Sprague-Dawley계 수컷 횐쥐를 사육하고 사염화탄소를 투여한 후, 호기중의 ethane 함량, 항산화효소인 SOD의 활성도, 지질과산화산물인 MDA의 함량을 측정하여 생강, 마늘 및 양파의 생체내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각 실험군간에 실험동물의 체중 증가량, 식이 섭취량 및 식이 효율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생강, 마늘, 양파첨가군 모두가 사염화탄소투여대조군(group II)에 비해 ethane배출량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5). 간조직의 SOD활성도도 생강, 마늘 및 양파첨가군 모두가 사염화탄소투여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p<0.05), 간 조직 중의 MDA 함량은 마늘첨가군만이 사염화탄소투여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5).

  • PDF

곶감, 생감 및 감잎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과 (Physiological Activities of Dried Persimmon, Fresh Persimmon and Persimmon Leaves)

  • 홍정희;김현정;최용화;이인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8호
    • /
    • pp.957-96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곶감, 생감 및 감잎의 메탄올 추출물을 제조한 후 이들의 생리활성을 검색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곶감, 생감 및 감잎 각각 147.79, 301.45 및 $315.90\;{\mu}g/mg$으로 생감 및 감잎에 폴리페놀 함량이 곶감에 비해 유의적으로 많았다. 감잎의 경우 폴리페놀 함량에 비례하여 DPPH radical 소거활성, 지질과산화 억제효과 및 salivary $\alpha$-amylase 저해활성이 증가되었다. 항암활성도 폴리페놀 함량이 높은 생감 및 감잎추출물이 위암 세포인 AGS에 대해 $65{\sim}70%$의 높은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폴리페놀 함량에 차이가 있는 곶감과 생감의 경우 free radical 소거능 및 salivary $\alpha}$-amylase 저해활성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또한, 항고 혈압 활성은 곶감, 생감 및 감잎 추출물 모두 80% 이상의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항균활성은 감잎 추출물의 항균력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곶감 및 생감의 경우 E. coli O157:H7에 대해서만 약한 항균력을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이 같은 감류임에도 건조 상태 및 부위에 따라 다양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감잎의 항산화, 항당뇨 및 항암 활성은 폴리페놀 함량에 기인하나, 곶감은 생감 및 감잎에 비하여 폴리페놀 함량은 상대적으로 적으나 항산화, 항당뇨, 항고혈압 및 항균효과가 있는 물질을 함유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들 효과를 나타내는 원인물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초석잠 [Stachys sieboldii MIQ.] 줄기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Stachys sieboldii MIQ. Stalks)

  • 백홍석;나영수;류병호;송승구
    • KSBB Journal
    • /
    • 제18권4호
    • /
    • pp.266-271
    • /
    • 2003
  • 아직 국내에서는 드물게 경작되고 있지만 이미 옛 고서적에 나와 있는 초석잠 (Stachys sieboldii MIQ.)에는 많은 유용한 물질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줄기의 메탄을 추출물 100 mg을 메탄을 20 mL에 녹여 만든 샘플에서 total poplyphenol과 flavonoid가 각각 9.33 $\mu\textrm{g}$/mL (1.97%), 3.77 $\mu\textrm{g}$/mL (0.75%)씩 함유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각 유기 용매층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도를 비교해 본 결과 DPPH법을 통해 기존의 항산화제인 $\alpha$-tocopherol (21.8 $\mu\textrm{g}$), BHT (100 $\mu\textrm{g}$) 그리고 BHA (20.6 $\mu\textrm{g}$)와 비교해도 에틸아세테이트 (15 $\mu\textrm{g}$), 부탄올 (50 $\mu\textrm{g}$) 추출물의 항산화능이 뒤지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과산화 지질 형성 억제능과 아질산염 소거능 조사에서 에틸아세테이트의 추출물이 가장 높은 활성도를 나타내었으며 기존의 항산화제들과 비슷한 효능을 나타내었다. 이를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다시 분획하였고 UV/VIS 흡광광도계를 통해 최대 흡광도의 파장은 280-330 nm 사이에 나타내었다. 그 중 최대 흡광도가 284 nm인 ES-1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이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phenolic compounds의 UV-VIS spectral data와 일치하며 다양한 phenolic compounds가 초석잠 (Stachys sieboldii MIQ.) 속에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생약재 추출물의 hyaluronidase 저해 및 라디칼 소거 활성 검색 (Screening of Hyaluronidase Inhibitory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vitro of Traditional Herbal Medicine Extracts)

  • 최수임;이윤미;허태련
    • KSBB Journal
    • /
    • 제18권4호
    • /
    • pp.282-288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을 갖는 유용한 물질 을 검색하기 위해 40여 가지 생약재를 에탄올 추출하여 H HAase 억제 및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 .. HAase 억제 활성을 측정한 결과, I mg/mL의 농도에서 황기, 두충, 오미 자, 황금, 오가피, 목과, 목단피, 산사가 50% 이상의 저해활 성을 나타내었고, 이들에 대하여 n-hexane, chloroform, ethyl a acetate, water로 순차적으로 용매분획하여 활성을 측정한 결 과, 모든 시료의 ethyl acetate와 water 분획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다 항산화 활성은 DPPH 라디칼에 대한 전자공여능과 F Fenton 반응에 의해 발생한 hydroxyl radical에 대한 소거능으 로 평가하였다 .. DPPH 라디칼에 대한 전자공여능은 복분자, 목단피, 백작약, 차전자, 마가목 에탄올 추출물이 I mg{mL 놓도에서 90% 이상으로 대조군으로 이용한 BHA와 Q - -tocopherol과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 2-deoxyribose 산화 법에 따른 hydroxyl 라디칼 소거활성에서 대부분의 에탄올 추출물 시료에서 모두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활성올 갖는 시료에 대하여 지질과산화 억제 활성을 측정한 결과 linoleic a acid와 phosphatidylcholine liposome 기질 모두에 대하여 오미 자 추출물은 가장 높은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솔잎 열수추출물이 카드뮴으로 유도한 흰쥐의 산화적 손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ine Needle Water Extract on Cadmium-Induced Oxidative Stress in Rats)

  • 장주연;김명주;이미경;김덕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411-418
    • /
    • 2007
  • 솔잎 열수추출물이 카드뮴으로 유도한 흰쥐의 산화적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체중 kg당 5mg의 카드뮴$(CdCl_2)$을 매주 1회 경구투여하였다. 솔잎은 매일 일정시각에 체중 kg당 1.26g수준이 되도록 4주간 경구투여 사육한 결과 카드뮴과 솔잎 열수추출은 체중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솔잎 열수추출물은 식이섭취량을 감소시켰다. 체중 100g당 간조직 무게는 카드뮴 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솔잎 열수추출물은 간조직 무게를 감소시키는 경향이었다 혈장 중의 AST와 ALT활성은 카드뮴 투여에 의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나 솔잎 열수추출물에 의해 ALT활성이 카드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혈장 알부민 함량은 실험군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크레아티닌 함량은 솔잎 열수추출물 급여시 낮았다. 카드뮴 투여시 간조직의 CYP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솔잎 열수추출물에 의한 영향은 없었다. 한편 XO와 ADH활성은 솔잎 열수추출물군이 정상군과 카드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 또한 카드뮴 투여에 인해 유의적으로 높아진 SOD, MAO, CAT 및 GSH-Px 활성도는 솔잎 열수추출물에 의해 정상수준으로 회복되었다. 간조직 중의 글루타티온 함량은 솔잎 열수추출물 급여에 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MDA함량은 솔잎 열수추출물 급여군에서 카드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인 감소를 보임으로써 카드뮴에 의해 유도된 지질과산화가 솔잎 열수추출물 급여로 개선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tert-Butyl Hydroperoxide로 산화 스트레스가 유도된 HepG2 세포에서 말채나무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 from Cornus walteri Wanger against Oxidative Stress Induced by tert-Butyl Hydroperoxide in HepG2 Cells)

  • 연성호;함현미;성지혜;김영화;남궁슬기;정헌상;이준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0호
    • /
    • pp.1525-1532
    • /
    • 2013
  • 말채나무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HepG2 세포에 TBHP로 산화 스트레스를 유도한 뒤 말채나무 열수추출물의 세포 보호효과, ROS 생성억제, 지질과산화 억제 및 GSH 생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말채나무 열수추출물은 HepG2 세포에 TBHP로 산화 스트레스를 유도한 뒤 나타나는 세포독성에 대해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세포 보호효과를 보였으며, ROS 생성과 과산화물에 대한 지표로서 측정한 MDA도 말채나무 열수추출물에 의해 효과적으로 억제되었다(P<0.05). 또한 항산화 성분으로 생체 내에서 산화 및 환원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항산화 효소인 GSH-Px, GST에 전자공여체로 작용하는 GSH의 생성촉진 효능에서도 말채나무 열수추출물은 산화 스트레스로 감소된 GSH의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촉진시켰다(P<0.05). 산화 스트레스에 의해 활성이 증가된 항산화 효소(CAT, SOD, GSH-Px, GR)도 말채나무 열수추출물의 처리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보아 말채나무 열수 추출물은 인체 내에서 질병과 노화를 일으키는 원인 물질인 활성산소에 대해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냄에 따라 보다 다양한 형태의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운동강도가 rat의 MDA 농도와 SOD 활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xercise Intensity on MDA Concentration and SOD Activity in Rats)

  • 고기준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0호
    • /
    • pp.1476-1482
    • /
    • 2010
  • 본 연구는 생후 6주령의 Sprague Dawley계 수컷 흰쥐 25마리를 대상으로 하여 5그룹(통제군, 수영군 4그룹)으로 분류하여 4주간의 1% 콜레스테롤 식이로 고지혈증을 유도한 후, 6주간의 수영을 운동강도(무부하, 저부하, 중부하, 고부하)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지질과산화 생성반응과 간조직의 항산화효소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MDA 생성 반응에서는 통제군에 비해 수영그룹 모두가 유의하게(p<0.001) 낮게 나타났고, 수영그룹 간의 비교에서는 중부하수영군이 나머지 3그룹에 비해 유의하게(p<0.001) 낮게 나타났다. 또한, SOD 활성도에서는 통제군에 비해 수영그룹 모두가 유의하게(p<0.01) 높게 나타났으며, 수영그룹간 비교에서는 저부하수영군에 비해 무부하, 중부하, 고부하수영군이 유의하게(p<0.01)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규칙적인 수영은 운동강도에 따라 고지혈증 상태에서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MDA 생성 반응을 선택적으로 억제시키고, SOD 효소 활성을 증가시켜 대표적인 항산화시스템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키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고수온 환경에 의해 유도된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넙치의 항산화 작용과 생리적 변화 (Antioxidant Defenses and Physiological Changes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Response to Oxidative Stress Induced by Elevated Water Temperature)

  • 신현숙;안광욱;김나나;최철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8
    • /
    • 2010
  • 고수온 환경 ($25^{\circ}C$$30^{\circ}C$)에 노출시킨 넙치의 산화 스트레스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넙치의 간 조직에서 항산화 효소 [superoxide dismutase (SOD)와 catalase(CAT)] mRNA의 발현량 및 그 활성을 측정한 결과, $20^{\circ}C$ 대조구보다 $25^{\circ}C$$30^{\circ}C$ 실험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지질 과산화 지표로 사용되는 lipid peroxidation(LPO)을 측정한 결과, $25^{\circ}C$$30^{\circ}C$ 실험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LPO의 증가는 SOD 및 CAT의 증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체내의 $H_O_2$ 농도 또한 $25^{\circ}C$$30^{\circ}C$ 실험구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고수온 환경이 넙치의 산화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고수온 환경에 노출시킨 넙치의 혈중 alanine aminotransferase (AlaAT)와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pAT) 값을 측정 한 결과, AlaAT와 AspAT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면역 지표로 사용되는 lysozyme 활성도가 $20^{\circ}C$ 대조구보다 $30^{\circ}C$ 실험구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낸 점으로 보아, 고수온 환경에 노출된 넙치에서는 간 세포의 손상뿐만 아니라 면역력 또한 저해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고수온 환경에 노출시킨 넙치에서 항산화 효소인 SOD와 CAT mRNA 발현량 및 활성이 증가하였을 뿐만 아니라 활성산소와 LPO 값 또한 증가된 점으로 보아, 고수온 환경은 넙치의 체내에서 산화 스트레스를 유발시키는 동시에 면역 기능을 저해시키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감 심지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신경세포 보호 효과 (Antioxidant activity and neuroprotective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the core of Diospyros kaki)

  • 변의백;김민진;김순정;오남순;박상현;김우식;송하연;한정무;김광욱;변의홍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60-66
    • /
    • 2020
  • 본 연구는 DCE의 항산화 활성 및 신경세포 보호 효과에 평가하였다. 감 심지로부터 유용성 성분을 얻기 위하여 에탄올 추출을 한 결과 약 10.36±1.34%의 추출물의 수율을 얻을 수 있었다. DCE의 총 폴리페놀, 총 폴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 활성으로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 및 환원력을 평가한 결과, DCE의 항산화 활성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DCE의 HT22 세포 보호 효과에 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HT22 세포에 DCE을 처리한 후 H2O2를 통한 산화적인 스트레스의 유도를 통하여 세포독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DCE의 처리는 HT22 세포에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에 따라 항산화 효소인 SOD 활성이 증가와 지질과산화 생성물인 MDA level의 감소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로 볼 때, DCE의 항산화 및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확인함으로서 향후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에 유용한 건강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Scopolamine 유도 치매동물모델에서 고려인삼(백삼, 홍삼 및 흑삼)의 기억력 개선 효과 (The Effects of Korean Ginseng on Memory Loss in a Rat Models)

  • 강신정;우정화;김애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8호
    • /
    • pp.1190-1196
    • /
    • 2013
  • 연구에서는 백삼이나 홍삼의 기억력 개선 효과 연구를 기초로 흑삼의 기억력 개선효과 여부를 판단하고자 scopolamine으로 유도된 시험동물에게 7주간 시료 물질(백삼, WG; 홍삼, RG; 흑삼, BG) 추출액을 투여한 후, 행동학적인 평가 및 뇌 조직 내 malondialdehyde 농도, ChAT 활성 변화를 비교 분석하여 기억력 및 학습능력 손상에 대한 개선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수동회피시험에서 BG군과 RG군의 latency time이 scopolamine 투여한 PC군(positive control)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길어지는 결과를 나타냈다. 수중미로시험에서도 BG군과 RG군의 scopolamine에 의한 기억 손상이 유의적으로 개선되어 NC군의 escape latency 수준 정도로 낮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probe test에서도 BG군과 RG군에서 장기 기억력 손상이 유의적으로 개선됨이 확인되었다. BG군과 RG군의 뇌조직 ChAT 효소 활성은 PC군에 비해 각각 42%, 71% 수준의 유의성 있는 활성증가를 보였다. 지질 과산화도 malondialdehyde 측정 결과에서 PC군 대비 RG군과 BG군에서 각각 37%, 33% 수준의 유의성 있는 감소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시험물질 가운데 흑삼의 반복 경구투여는 scopolamine으로 유도된 흰쥐에서 기억력 감퇴를 개선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