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과산화지질

검색결과 869건 처리시간 0.024초

우엉 새싹채소의 재배환경 구축 및 항산화 활성 탐색 (Development of Optimal Cultivation Conditions and Analysis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Arctium lappa Sprout Vegetables)

  • 이무열;신소림;박선희;김나래;장영득;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04-311
    • /
    • 2009
  • 우엉 종자를 이용하여 항산화 기능성 새싹채소를 개발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우엉 종자는 $25^{\circ}C$ 명조건에서 발아가 가장 왕성하였으며, 4일만에 82%가 발아하였다. 발아 종자를 암조건에서 재배한 결과, $20^{\circ}C$에서 길이 생장이 가장 왕성하였다. 녹화처리는 새싹의 길이생장을 억제하였으나, 자엽의 길이 및 부피생장을 촉진하였다. 수확 후 예냉하여 포장한 우엉 새싹채소는 $4^{\circ}C$보다 $10^{\circ}C$에서 저장할 때 저장 기간이 증가되었다. 포장용기의 통기구는 저장 기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0, 1, 2, 3일 녹화처리한 새싹채소의 항산화 활성을 분석한 결과, 우엉 새싹채소의 radical 소거능 및 ferrous ion chelating 효과는 시판중인 브로컬리, 적채, 완두의 새싹채소 및 콩나물보다 우수하였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 또한 우수하였으며, 특히 3일 녹화시킨 우엉 새싹채소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은 녹화처리가 길어질수록 우수하였다. 우엉 새싹채소는 우엉의 성체 잎줄기 보다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였다. 따라서 우엉 새싹채소는 기능성 채소로써 이용가치가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Benzoyl peroxide가 흰쥐의 지질과산화현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enzoyl Peroxide on the Activity of Drug-metabolizing Enzyme System and Lipid Peroxidation in Rats)

  • 이향우;이규순;홍사오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5-63
    • /
    • 1982
  • Lipid peroxidation is the reaction of oxidative deterioration of polyunsaturated lipids and this peroxidation involves the direct reaction of oxygen and lipid to form free radical intermediates, which can lead to autocatalysis. As results of the extensive studies on the lipid peroxidation by many authors, the relationship between lipid peroxidation and the drug metabolizing system as well as the actions of free radicals on the peroxidation was reasonably well known. For a long time, the mechanism of hepatotoxicity of $CCl_4$ was not clearly understood. However, it is now quite well established that $CCl_4$ is activated in vivo to a free radical which is a highly reactive molecule. Therefore, lipid peroxidation which induces the reduction of cytochrome P-450 and aminopyrine demethylase activity is known as decisive event of $CCl_4$ hepatotoxicity. On the other hand, it was also reported that singlet molecular oxygen produces lipid peroxidation in liver microsomes.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benzoyl peroxide on the lipid peroxidation and drug-metabolizing enzyme were examined. Benzoyl peroxide mixed with starch and phosphates etc. is usually used as a food additive for flour bleaching and maturing purpose because of its oxidative property. Albino rats were used for the experimental animals. Benzoyl peroxide was suspended in soybean oil and sesame oil and administered intraperitoneally or orally. TBA value and aminopyrine demethylase activity were determined in liver microsomal fraction and serum. The results were summerized as following. 1) Body weights of animals administered benzoyl peroxide suspension were decreased while that of oil administered group were increased. 2) The activity of aminopyrine demethylase was generally decreased in animals administered oil suspension of benzoyl peroxide. Furthermore, the marked reduction of the enzyme activity was observed in animals administered benzoyl peroxide intraperitoneally. 3) Generally, microsomal TBA values as well as serum TBA were significantly elevated in benzoyl peroxide group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 more remarkable increase of serum TBA than microsomal TBA was observed in animals administered orally for 6 days. 4) Specifically, the changing pattern of TBA value was notable in serum rather than in liver microsome by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of benzoyl peroxide.

  • PDF

BHA 첨가추출 정어리유 저장중의 고도불포화지방산의 안정성 (Stability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 Storage of Sardine Oil Extracted with BHA added Solvent)

  • 이강호;정인학;김인철;김영옥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46-151
    • /
    • 1987
  • 정어리유의 산화 안정성과 지질추출시에 첨가한 BHA에 의한 저장중의 산화방지효과를 정토하고 산화로 인한 지방산 조성의 면화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BHA는 유리 지방산의 생성을 현저히 억제하는 효과가 있었다. 2. BHA는 과산화물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특히 카르보닐 화합들의 생성을 아주 강하게 억제하였다. 즉 BHA는 과산화을 분해를 억제하는 작용이 있었다. 3. 정어리유는$C_{20:5}$$C_{22:6}$의 함량이 $23\%$ 이상으로서 매우 높았다. 4. 산화에 의한 지방산의 감소는 polyene 산에서 급격하였으며 특히 $C_{20:5}$$C_{22:6}$산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BHA 첨가는 $C_{22:5}$$C_{22:6}$산의 산화를 크게 억제 할수 있었다.

  • PDF

당뇨병 환자에 있어 식이섭취량, 혈장 지질과산화 및 Vitamin C의 농도 (The Dietary Intake, Plasma Lipid Peroxidation and Vitamin C in NIDDM Patients)

  • 서혜연;하애화;조정순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4권8호
    • /
    • pp.912-919
    • /
    • 2001
  • The increased oxidative stress may play an important role on the pathogenesis of diabetes and diabetic complications, and the blood level of vitamin C and lipid peroxidation in NIDDM patients may be used as an indicator for oxidative stress. However there is only scanty evidence on the blood level of vitamin C in NIDDM patients with or without diabetic complications.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90 NIDDM patients(diabetes without complication, 48, and diabetes with complications, 42) and 41 normal subjects. The 42 diabetic complications were divided into 3 groups : 15 diabetic nephropathy, 18 diabetic neuropathy, 9 diabetic retinopathy. The anthropometric data and blood biochemical data were studied. The dietary intake was determined by 24 hour recall methods and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The plasma concentrations of MDA and vitamin C were determined by fluorophotometer and HPLC respectively. 1) In blood lipoprotein study, diabetes with complication had higher level of TG than diabetes without complications,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cholesterol, HDL, and LDL were shown. Diabetic neuropathy had the highest TG level among diabetic complication groups. 2) The intakes of vitamin B complexes(vitamin B$_2$, vitamin B$_{6}$, not vitamin B$_1$) and antioxidant vitamins(vitamin A and vitamin E, not vitamin C) and certain minerals such as iron and calcium in diabetes were not sufficient but the intakes of energy, protein, niacin, and phosphorus in diabetes were sufficient. The dietary intakes between diabetes with-and without complicatio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diabetic complications, the diabetic retinopathy had the lowest intake of vitamin B$_2$ and B$_{6}$(p < 0.05). the diabetic neuropathy or nephropathy consumed extremely low amount of vitamin A. 3) The MDA concentrations of NIDDM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controls(p < 0. 05)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DA concentration between with and without complications was shown. Although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the diabetic nephropathy and diabetic neuropathy showed the higher concentration of MDA than the diabetes without complications or diabetic retinopathy. 4) The plasma concentration of vitamin C in controls was higher than that in diabetes(p < 0.05) while the plasma vitamin C in diabetes with and without complications were similar. In diabetic complications, no differences in plasma vitamin C concentration of three groups were shown. This study showed that the oxidative stress in NIDDM patients was highly increased and the vitamin C reserve was significantly depleted, as compared with normals, although their intakes of vitamin C met korean RDA, which means that diabetes need more vitamin C intake to decrease oxidative stress in NIDDM patients.nts.

  • PDF

Probiotics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감귤 가공부산물 발효물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Citrus By-Product Ferment Using Probiotics as Starter)

  • 문영건;이경준;김기영;송춘복;전유진;허문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58-165
    • /
    • 2006
  • 감귤 과괴 뿐만 아니라 가공부산물 내에는 carotenoid, bioflavonoids, pectin 등의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flavonoids는 항산화 또는 금속이온과 착염을 형성하여 free radical이나 electrophiles 및 과산화 지질의 생성을 막아 세포, 조직, 기관이 손상을 억제 해주며, 노화방지, 순환계 질환을 예방 해주며 항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생물을 첨가하여 발효시킨 감귤 가공부산물의 열수 추출액과 감귤 가공부산물의 열수 추출액을 가지고 어류 질병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과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는데, 어류 질병 세균에 대한 항균 실험에 있어서는 미생물을 첨가하여 발효시킨 감귤 가공부산물 추출액에서 저해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Table 3). 반면 항산화활성 측정에서는 감귤 가공부산물 자체도 항산화 활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그러나 E. faceium, P. pentosaceus, L. plantarum, L. rhamnosus, B. subtilis, S. cerevisiae를 각각 첨가하여 발효시킨 감귤 가공부산물을 기존 합성 항산화제인 BHT와 BHA와 비교하여 보았을 때 전자공여능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 측정에서는 전체적으로 높은 항산화 활성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B. subtilis, S. cerevisiae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실험구에서는 합성 항산화제인 BHA보다 높은 89%와 같은 값인 87%에 활성을 나타내고 있다. SOD유사활성 측정에 대한 결과는 Fig. 2에서처럼 L. rhamnosus를 첨가하여 발효시킨 실험구를 제외하고 나머지 5개의 실험구에서는 기존 합성항산화제인 BHT와 BHA보다 높거나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 측정에서는 미생물을 첨가하여 발효시킨 산물에 추출액의 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1%에 농도에서는 합성 항산화제보다도 좋은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 되었는데, 특히 B. subtilis를 첨가하여 발효시킨 실험구에서는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미생물을 첨가하여 발효과정을 거친 감귤 가공부산물의 어류 질병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이나 항산화활성에 있어서 그 효과가 탁월하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그리고 발효과정에 있어 첨가되어진 미생물 중에서는 B. subtilis와 S. cerevisiae가 발효 미생물로서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가 있었고, 본 연구에서 Bacillus subtilis 같은 경우는 가장 높은 항균활성과 항산화활성을 나타내고 있어 최적 발효 미생물로 말할 수가 있을 것이다.

허혈재-관류 적출심장에서 Arachidonic Acid에 의한 산소래디칼 생성 및 심근손상에 대한 Cyclobuxine의 영향 (Effect of Cyclobuxine on Oxygen Free Radical Production and Cellular Damage Promoted by Arachidonate in Perfused Rat Hearts)

  • 이종화;권준택;조병헌;박종안;김유재;김종배;차영덕;김창호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63-170
    • /
    • 1992
  • 흰쥐의 허혈-재관류 적출심장에서 arachidonic acid의 투여에 의해 촉진된 superoxide anion의 생성과 심근손상에 대한 cyclobuxine (스테로이드성 알카로이드)의 영향을 관찰하였다. 적출심장을 Langendorff 관류장치에 현수하고 0.5 ml/min의 저용량으로 45분간 관류한 후 정상관류 (7ml/min)로 복귀시켜 허혈-재관류 심장으로 사용하였다. 재관류 시 arachidonate (0.1과 $1.0\;{\mu}g/ml$)를 투여한 후 superoxide anion의 생성을 관찰하였고, 좌심실 내의 지질 과산화정도는 MDA의 량으로 측정하였으며, 심근손상의 지표로 lactic dehydrogenase (LDH)유리를 측정하였다. 한편 cyclobuxine (1.0과 $10\;{\mu}g/ml$)을 허혈 이전부터 전관류 과정 동안 투여하여 arachidonate에 의해 초래되는 손상에 대한 영향을 관찰하였다. Arachidonic acid는 용량적으로 superoxide anion의 생성을 증가시켰으며 이 작용은 superoxide dismutase (SOD 300 U/ml)와 cyclobuxine에 의해 현저히 억제되었다. Arachidonate를 투여하였을 때 좌심실 내의 malondialdehyde (MDA)의 생성이 현저히 증가되었으며 cyclobuxine은 MDA의 생성을 용량적으로 억제시켰다. 또한 arachidonate는 LDH의 유리를 증가시켰으며 arachidonate에 의한 LDH의 유리 증가는 SOD와 cyclobuxine에 의해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흰쥐의 허혈-재관류 심장에서 스테로이드성 알카로이드인 cyclobuxine이 arachidonate에 의한 반응성 산소대사물의 생성과 심근세포손상을 유의하게 억제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 PDF

식이 중의 Coenzyme $Q_{10}$첨가가 Adriamycin을 투여한 흰쥐의 체내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영향 -II. 미토콘드리아내의 Coenzyme $Q_{10}$ 수준과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Coenzyme $Q_{10}$ on Lipid Peroxidation in Adriamycin-treated Rats - II. Effect on Mitochondrial Coenzyme $Q_{10}$ Level and Fatty Acid Composition -)

  • 서정숙;한인규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4권4호
    • /
    • pp.299-307
    • /
    • 1991
  • 식이 중에 첨가된 coenzyme $Q_{10}$이 ADR을 투여한 흰쥐의 심장 미토콘드리아 분획의 coenzyme $Q_{10}$ 수준과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두가지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1에서는 4주간 실험식이를 공급함과 동시에 ADR을 투여하였으나 실험 2에서는 4주간 실험식이만을 급여한 후 다시 4주간 실험1과 같은 방법으로 ADR투여와 실험식이 공급을 병행하였다. 실험군은 실험1과 2에서 모두 ADR 2수준 (1.0mg/kg B.W./week, 2.0mg/kg B.W./weed)과 coenzyme $Q_{10}$ 3수준 (무첨가군, 0.1g/kg diet 및 0.5/kg diet)에 의한 6개의 실험군과 basal diet만을 공급하는 대조군을 설정하였다. 본 실험에서 얻어진 실험결과를 요약하면 심장 미토콘드리아 내의 coenzyme $Q_{10}$의 함량은 ADR투여로 크게 감소되었으나 특히 식이중의 coenzyme $Q_{10}$을 고수준으로 급여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며 실험1에 비해 실험2에서 coenzyme $Q_{10}$급여효과가 더욱 크게 나타났다. 지방산 조성은 모든 실험군에서 plamitic(16 : 0), stearic(18 : 0), linoleic acid(18 : 2)와 arachidonic acid(20 : 4)가 주요지방산으로서 80% 이상을 차지하였고 ADR투여로 인해 arachidonic acid(20 : 4)와 docosahexaenoic acid(22 : 6)등의 고불포화지방산 함량이 감소되는 경향이었으며 coenzyme$Q_{10}$ 급여에 의해 이러한 감소가 조절되었다.

  • PDF

파극천 추출물이 펜틸렌테트라졸로 유도된 실험동물에서 항 뇌전증 작용 (Anti-epilepsy Effect of Methanol Extract of Morinda officinalis Augments Pentylenetetrazol-Induced Convulsion Behaviors)

  • 허진선;최종원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4-5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파극천 추출물의 수면연장 시간, 항 경련효과 및 시험관내에서 파극천의 각 분획별 활성산소의 소거능을 관찰하여 본 결과 pentobarbital을 투여한 대조군의 수면 유도시간 및 수면시간($3.77{\pm}0.56$분, 수면시간 $68.3{\pm}6.8$분)이 파극천 추출물(200 mg/kg)을 전 처리하고 pentobarbital을 투여함으로써 수면유도 시간($3.95{\pm}0.56$분) 및 수면시간($110.4{\pm}10.3$분)이 연장되었다. PTZ에 의해 유도되는 경련 발작이 대조군 $4.9{\pm}0.98$인데 비해 파극천(200 mg/kg)의 전처리로 경련박작이 $3.2{\pm}0.54$로 현저히 억제되었으며 이 결과는 PTZ의 경련발현시간, 경련유지시간 및 사망시간에 미치는 파극천의 영향과 유사하였다. 뇌중 GABA 함량은 PTZ의 투여로 정상군에 비하여 억제되던 것이 파극천의 전처리로 증가 되었으며, GABA-T의 활성과 지질과산화의 함량은 PTZ의 투여로 각각 증가되던 것이 파극천 추출물의 투여로 억제되었다. 시험관내에서 PTZ로 유도된 뇌조직중의 hydroxy radical의 생성량은 butanol 및 dichlomethane 분획의 첨가($20{\times}10^{-2}g/ml$)에서 약 35%에서 50%까지 감소하였다.

녹차 첨가 서리태 청국장의 3-morpholinosydnonimine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 개선 효과 (Protective effects of Seoritae Chungkukjang added with green tea powder against 3-morpholinosydnonimine-induced oxidative stress)

  • 조은주;박현영;이상현;김현영
    • 농업과학연구
    • /
    • 제42권4호
    • /
    • pp.407-414
    • /
    • 2015
  • 본 실험에서는 청국장의 항산화 기능성 증진을 위해 녹차를 첨가한 서리태 청국장을 제조한 후 LLC-$PK_1$ 세포를 이용하여 SIN-1유도 세포 독성에 대한 보호효과를 검토하였다. 항산화능이 대두보다 우수한 서리태를 주재료로, 부재료로 녹차를 농도별(0.5%, 2.0%, 5.0%)로 달리하여 청국장을 각각 제조한 후 $ONOO^-$에 의해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해 서리태 청국장과 녹차첨가 서리태 청국장의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개선효과를 비교한 결과, 녹차첨가 서리태청국장 추출물은 SOD, GSH-Px와 같은 항산화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키고, 지질과산화를 억제하여 세포생존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보호효과를 나타냈었으며, 특히 녹차를 5.0% 첨가했을 때의 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녹차 첨가 서리태 청국장은$ONOO^-$에 의해 유발된 산화적 스트레스를 개선함으로써 이로 인한 질병을 예방하는 항산화제로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흰쥐의 사염화탄소 유발 유리기 반응에 대한 생강, 마늘, 양파식이의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s of Ginger, Garlic, and Onion Against Radical Reaction Induced by Carbon Tetrachloride in Rats)

  • 조영선;송재철;양차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084-1089
    • /
    • 1999
  • 본 연구는 in vitro 실험을 통해 항산화 효과가 인정된 생강, 마늘 및 양파를 첨가한 식이로 2주 동안 Sprague-Dawley계 수컷 횐쥐를 사육하고 사염화탄소를 투여한 후, 호기중의 ethane 함량, 항산화효소인 SOD의 활성도, 지질과산화산물인 MDA의 함량을 측정하여 생강, 마늘 및 양파의 생체내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각 실험군간에 실험동물의 체중 증가량, 식이 섭취량 및 식이 효율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생강, 마늘, 양파첨가군 모두가 사염화탄소투여대조군(group II)에 비해 ethane배출량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5). 간조직의 SOD활성도도 생강, 마늘 및 양파첨가군 모두가 사염화탄소투여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p<0.05), 간 조직 중의 MDA 함량은 마늘첨가군만이 사염화탄소투여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