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과립중

검색결과 243건 처리시간 0.028초

'캠벨얼리' 포도의 화수(花穗) 생장과 과실품질에 미치는 GA3의 영향 (Effects of GA3 Dipping Treatment on the Spike Growth and Fruit Quality at Harvest of 'Campbell Early' Grapevine)

  • 이영철;문병우;남기웅;문영지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5권1호
    • /
    • pp.85-93
    • /
    • 2013
  • 수확 시 과방의 생장(과방중, 과방장, 과방폭, 과병의 직경크기, 과병장)은 무처리에 비하여 GA3 10 mg·L-1 처리가 증가되었다. GA3 농도별 과립의 생장 (과립수, 과립중, 과립경, 과립장)은 차이가 없었으나 지경중은 무처리에 비하여 GA3 5, 10, 20, mg·L-1 처리 농도에서 증가되었다. 그러나 GA3 40 mg·L-1 처리는 차이가 없었다. 과립의 밀착정도, 과분 발생 정도, 가용성고형물 및 과피의 착색 정도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무핵 정도는 GA3 10 mg·L-1 처리에서 다른 처리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과립의 열과 발생률은 무처리에 비하여 GA3 농도 5, 10, 20, 40 mg·L-1에서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과립의 탄저병 발생률은 큰 차이가 없었다. 과방당 총 지경장은 무처리, 20 및 40 mg·L-1 처리에 비하여 5 및 10 mg·L-1처리에서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지경 순서에 의한 1번 지경부터 15번 지경까지 지경장은 GA3 10 mg·L-1 처리는 증가하였다.

발아중인 대마 배유조직의 Cellulase 활동에 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 (An Electron-Microscopical Study of Cellulase Activity on Germinating Endosperm of Cannabis saiva L.)

  • 김영희;김은수
    • Applied Microscopy
    • /
    • 제24권3호
    • /
    • pp.67-77
    • /
    • 1994
  • 1. 배유세포의 세포질에는 핵, 미토콘드리아, 색소체, 소포체 및 액포가 관찰되었는데, 배유의 가수분해가 상당히 진전될 때까지도 이들 세포소기관은 남아있었다. 2. 대마의 배유세포내에는 $0.75-2.5{\mu}m$ 크기의 지질과립과 $3.0-7.5{\mu}m$ 크기의 단백질과립이 충만하였으며, 발아와 더불어 이들은 점차 소실되었는데, 단백질과립이 가장 먼저 분해되어 액포화하였다. 그러나 모든 단백질과립과 세포질의 분해가 진행되어도 지질과립은 잔존하였고, 세포벽 분해가 완전히 이루어진 후에야 비로서 분해되었다. 3. 형질막에 둘러싸인 단백질과립은 전자밀도가 매우 높은 중앙부와 이질적인 주변부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globoid는 관찰되었으나 crystalloid는 관찰되지 않았다. 단백질과립의 분해양상은 주로 주변부의 단백기질로부터 분해되었으며, 중앙부에 과립상 형태의 분해 현상이 관찰되기도 하였다. 4. Cellulase의 활성은 세포벽 전반과 일부 세포질에서 나타났는데, 배 가까이의 배유세포벽과 일부 잔존한 단백질과립에서 특히 강한 활성이 관찰되었다. 5. Cellulase의 반응산물은 가수분해가 완료된 제형충의 분해된 섬유소원에서 작은 과립상으로 관찰되었다.

  • PDF

멘톨, 치몰, 유칼립톨, 메틸살리실레이트를 함유하는 구강청결용 과립의 제조와 특성 연구 (Preparation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mouthwash granules containing menthol, thymol, eucalyptol and Methyl salicylate)

  • 김동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329-334
    • /
    • 2017
  • 본 논문은 새로운 과립형태의 구강청결제 개발에 있어 동등한 항균력을 가지면서 고형상에서 주성분간의 공융혼합물 생성에 따른 과립의 흐름성 부족을 개선하기 위해 과립의 표면을 흡착시키는 Magnesium aluminometasilicate (Neusilin)이라는 물질을 활용하여 흐름성을 개선하고 부가적으로 구강에서의 붕해시간 및 잔물감이 적은 특성을 가지는 새로운 과립형태의 구강청결제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과립의 흐름성, 밀도, 건조감량 등의 과립특성에 대한 확인을 통해 Neusilin의 양이 전체 과립양 대비 10%이상이 투입되었을 경우 과립의 특성이 개선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인공타액에서의 붕해시험 및 사람의 구강에서 붕해시간과 잔여물시험 등의 관능시험을 진행하여 보다 개선된 붕해특성 및 관능시험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항균시험을 통해서 이미 시장에서 판매중인 액제형 구강청결제와 동등한 항균력을 보여주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조된 과립형태의 구강청결제 조성물은 공융혼합물로서 유사한 특성을 가지는 서로 다른 약물을 동시에 함유하는 의약품의 개발에 활용될 수 있어 제약산업의 의약품 개발에서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 동해산 큰가리비, Patinopecten yessoenis (Jay)의 배우자형성과정 중 생식세포 분화의 미세구조적 연구

  • 정의영;박영제;최기호
    • 한국발생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발생생물학회 2001년도 후기 제12차 학술대회 논문집
    • /
    • pp.36-37
    • /
    • 2001
  • 큰가리비는 자웅이체이다. 난환형성과정은 난모세포의 발달정도에 다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난자형성과정은 난원세포기, 전난황형성난모세포기, 초기난황형성난모세포기, 후기난황형성난모세포기, 성숙난모세포기의 연속적인 5단계의 과정으로 나눌 수 있었다. 전난황형성기 난모세포질 내에서는 핵주변 구역에 골지장치와 수많은 공포들 및 미토콘드리아들이 출현하고 있는데 이들은 차후, 지방적 형성에 관여한다. 난황형성전기난모세포(previtellogenic oocyte)에서는 지방적 및 지질과립들이 핵막 근처에서 출현하여 피질층쪽으로 분산되는 반면, 같은 발달 단계의 난모세포질의 피질구역에서는 피질과립들(단백질성 난황과립)이 처음으로 생성되어 난황막 근처의 피질층에서 핵주변 구역쪽으로 분산.분포된다. 난황형성후기 난모세포에서는 세포질 내의 골지장치, 공포, 미토콘드리아, 그리고 조면소포체들이 자율합성에 의해 난황과립 형성에 관여하고 있다. 반면 외인성 물질들인 지질형태의 과립들, 다량의 글리코겐 입자들이 생식상피 내에서 출현하고 있는데. 이들 물질이 생식상피에서 난황막 구조물인 미세융모를 통해 난황형성 후기 난모세포의 날질 내로 통과해 들어가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이와같은 현상은 난황형성이 일어날 때에 heterosynthesis가 일어나고 있음을 시사한다. 완숙난모세포의 난경은 약 50~60$\mu\textrm{m}$이다. 정자형성과정은 정원세포기, 제1차정모세포기, 제2차정모세포기, 정세포기, 정자기의 연속적인 5단계로 나눌수 있었다. 정셍포기에서 정자로 변태되는 과정 중에 침체의 분화과정이 있는데 이에는 1. Golgi phase, 2. Cap phase 3. acrosome phase, 4. maturation phase의 단계를 거쳐 첨체가 완성된다. 정자는 원시적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4개의 미토콘드리아가 부핵을 형성하고 있다. 완숙정자 두부의 길이는 대략 $3 \mu$m 이며, 미부의 길이는 약 $30 \mu$m정도이다. 정자 미부편모의 axoneme은 중앙의 2개의 미세소관(microtubule)과 주변에 위치한 9개의 2중 미세소구관(microtublue)으로 이루어져 있다.

  • PDF

석회비료 과면살포에 따른 포도 '캠벨얼리' 과피의 무기성분 함량 및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ruit Surface Spray of Lime Fertilizer on the Mineral Content of Fruit Skin and Quality in 'Campbell Early' Grapes)

  • 이영철;문병우;김영호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7권1호
    • /
    • pp.81-89
    • /
    • 2005
  • 포도 '캠벨얼리'에서 석회비료를 과면살포한 후, 과피의 T-N, P, K, Ca 및 Mg 함량은 무처리과에 비하여 석회비료 전 처리 모두 큰 차이는 없었다. 과방중, 과립중, 과방장 및 산 함량은 처리 간 차이가 없었으나, 가용성고형물은 봉지가 씌워진 상태로 액상석회비료를 처리한 과실은 다른 처리에 비하여 감소하였다. 과피의 안토시아닌 함량은 무처리과에 비하여 소석회 및 봉지가 씌워진 상태로 액상석회비료를 처리한 과실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과피의 과분은 소석회 및 패화석 분말비료 처리과는 무처리과에 비하여 현저히 적게 발생되었다. 과립의 경도는 액상석회비료 및 소석회 처리과가 현저히 증가하였다. 그러나 과립의 탄력성은 패화석 분말비료 처리과는 현저히 감소하였다. 또한 상온 저장 중 감랑은 전 처리 모두 차이를 인정할 수 없었다.

흰쥐 침샘의 Nitric Oxide Synthase에 관한 면역전자현미경적 연구 (Immunoelectron Microscopic Study on the Nitric Oxide Synthase in Rat Salivary Glands)

  • 이영환;고정식;박대균;박경호
    • Applied Microscopy
    • /
    • 제38권3호
    • /
    • pp.221-233
    • /
    • 2008
  • 산화질소는 생물체내에서 생리적이나 병리학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특히 침샘조직에서 침분비작용과 샘혈류 조절에 중요한 인자의 하나로 관여함이 알려져 있다. 산화질소합성효소 (nitric oxide synthase, NOS)는 동위효소로서 내피산화질소합성효소 (endothelial NOS, eNOS), 신경산화질소합성효소 (neuronal NOS, nNOS)와 유도산화질소합성효소 (inducible NOS, iNOS)가 있으며, 세포내에서 내인성산화질소를 합성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산화질소합성효소의 세포내 분포에 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는 매우 드물며, 흰쥐 침샘에서의 산화질소생산효소(NOS)에 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는 없었다. 흰쥐 침샘에서 NOS의 세포내 분포를 규명하기 위하여 면역전자현미경방법을 이용한 금입자표지법을 시행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eNOS에 양성 면역반응을 보이는 구조는 침샘의 분비세포 중 장액세포에 있는 전자밀도가 높은 분비과립이었으며, 점액분비세포의 점액분비과립에서는 비교적 약한 면역반응성이 관찰되었다. 즉 턱밑샘과 혀밑샘을 구성하고 있는 두 종류의 분비세포 중 장액세포의 분비과립에 금입자가 비교적 많이 표지되었으며, 점액세포의 분비과립에서는 적은 수의 금입자가 관찰되었고, 침샘의 소엽속관 (intralobular duct)의 전자밀도가 높은 분비과립에서도 금입자가 표지된 것이 관찰되었다. 귀밑샘에서도 장액세포의 분비과립과 소엽속관의 분비과립에 금입자가 표지되었다. nNOS의 양성 면역반응은 턱밑샘에서 점액세포의 분비과립에서만 약간의 금입자가 관찰되었으며, 턱밑샘, 혀밑샘 및 귀밑샘의 분비세포와 분비관세포에서는 iNOS에 대한 양성 면역반응이 관찰되지 않았다. 흰쥐 침샘에서 산화질소합성효소 중 eNOS는 침샘분비세포의 분비과립에 존재하며, 특히 전자밀도가 높은 장액성분비과립에 주로 분포하고 있으며, 분비관 중에서 소엽속관에도 분포하고 있는 것이 관찰되었으나, 다른 동위효소인 nNOS와 iNOS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산화질소합성효소가 흰쥐 침샘분비세포의 분비과립과 소엽속관의 분비과립에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침샘에서 산화질소가 침의 생산과 분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백혈병 환자의 과립구 육종(녹색종양) (Granulocytic Sarcoma(Chloroma) in Leukemic Patients)

  • 이승구;강용구;박원종;정양국;이상욱;정지호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4-61
    • /
    • 2005
  • 목적: 백혈병 환자의 사지와 척추 등에 발생하는 과립구 육종(녹색종)은 매우 드물고 그 치료나 예후도 확립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과립구 육종 20 예를 대상으로 그 발병기전, 임상적 경과와 치료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4월부터 2004년 9월까지 본 대학 혈액 종양 센터 및 정형외과학교실에서 치료한 총 2,197명의 백혈병 환자 중 척추 및 사지에 이환되었던 과립구 육종 20명(0.91%)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고, 1-78개월(평균18개월)간 추적관찰하였다. 결과: 과립구 육종의 발생 빈도는 1998년 4월부터 2004년 9월 까지 6년 5개월 간 본 대학 혈액 종양 센터에서 가료한 급성 골수성 환자 1,331명중 15례, 만성 골수성 환자 744명중 4례, 혼합형 급성 백혈병 환자 122명중 1례가 발생하여 전체 백혈병에서의 발생율은 2,197명 중 20명이 발생하여 0.91%의 빈도를 보였다. 평균 연령은 28.3세(4~52)였고, 남자 13명, 여자 7명이었다. 단발성 병변은 11례, 다발성 병변은 9례였으며, 병변은 척추 12례, 뇌실질 5례, 사지 6례, 흉부 2례, 골반부 2례, 두개골 및 안구에 각각 1례씩 발생되었다. 과립구 육종은 급성 골수성 백혈병(acute myelogenous leukemia, AML)환자 15명, 만성 골수성 백혈병(chronic myelogenous leukemia, CML) 환자 4례에서 그리고 혼합형 급성 백혈병(acute biphenotype leukemia) 환자 1례 등 총 20명 환자에서 발생하였다. 백혈병의 치료 과정중 과립구 육종의 발병 시기별로는 완전 관해 되었을 때 발병한 것이 8례, 특히 이중에서 4례는 만성 골수성 백혈병이 급성 백혈병으로 재발 악화 되면서 육종이 발병하였고, 나머지 12례는 급성 골수성 백혈병 환자의 치료 과정 중 과립구성 육종이 병발하였다. 6례에서의 조직 검사상 미성숙한 골수모세포와 림파구 등이 혼재된 전형적인 과립구 육종을 확진하였고, 과립구 육종의 치료는 전예를 백혈병의 재발 또는 진행과정에 따라 글리벡 및 스테로이드를 이용한 백혈병 자체에 대한 항암치료만을 시행하였고, 6예에서는 항암치료와 함께 과립구 육종에 대한 국소 또는 전신 방사선 치료를 병합하였다. 평균 18개월의 추시 기간 중 만성 골수성 환자의 경우는 4명 모두 사망하였고, 전체 환자는 모두12명(12/20: 60%)이 과립구성 육종의 발병이후 6.5 개월 만에 사망하였으며, 연령과 예후는 고령 발생시 더욱 불량하였다. 결론: 백혈병 환자에서 발생한 척추 및 사지의 과립구 육종의 예후는 불량하였고, 특히 만성 골수성 환자에서 발생시 예후가 더욱 불량하였으나, 급성 골수성 환자의 경우는 반드시 불량한 예후를 보이는 것은 아니여서, 백혈병 자체에 대한 적극적인 항암 치료와, 사지 과립구 육종에 대한 방사선 치료의 병합 요법이 필요하였다.

  • PDF

동양달팽이 Nesiohelix samarangae 위에서의 Cellulase 활성에 대한 세포화학적 및 면역세포화학적 연구 (Cytochemical and Immunocytological Study on the Cellulase Activity in the stomach of the Land Snail Nesiohelix samarangae)

  • 정계헌;이용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61-173
    • /
    • 1997
  • 동양달팽이의 위 상피에서 섬유소 분해효소의 분비여부를 화확인하기 위해 세포화학적 방법과 immunogold labeoling mithod를 수행되었다. Nesiohelix samarangae의 위에선 3가지 종류의 원주상피가 관찰되었다. 이 중 TYpe1세포는 microvilli가 발달하고 매우 많은 분비과립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Type2세포는 위로 치우친 핵과 전자밀도가 높은 세포질에 rER이 매우 발달해 있었다. Type3 세포는 섬모와 미세융모를 함께 가지고 있는 세포로서 분비과립을 약간 함유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세포화학적 방법으로 위 상피에서의 cellulase의 활성을 시험해본 결과 상피세포들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Type 1세포들과 Type3 세포들의 분비과립들의 주변에서 cellulase활성이 높았고, immunogold staining결과는 황금입자가 위 상피의 분비과립 주위의 세포질과 rER의 막과 주변세포질, 그리고 상피세포들의 상단부 세포질 등에서 표지되었다. 이상의 모든 실험 결과는 동양달팽이의 위 상피세포에서 cellulase가 분비된다는 사실을 알았다.

  • PDF

아프리카 왕달팽이(Achatina fulica) 외투막내 신경근연접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f the neuromuscular Junction in the Mantle Edge of the African Giant Snail, Achatina fulica)

  • 장남섭;한종민;황선종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75-83
    • /
    • 1998
  • 아프리키 왕달팽이(Achatina fulica) 외투막(mantle edge) 내 근육 속의 신경근연접에 관한 미세구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신경근연접종말의 형태는 방추형이거나 불규칙형이었으며, 연접막과 근형질막상이 연접간극(synaptic cleft)의 넓이는 30mm 정도로 나타났다. 연접강속에는 전자밀도가 높은 둥근 과립(직경 100mm)과 중등도는 과립(직경 70mm)그리고 전자밀도가 낮은 소포(직경70mm)등 3종류가 관찰되었으며, 연접종말의 외측에는 0.2 - 0.4$\mu\textrm{m}$ 정도크기의 전자밀도가 높은 둥근 과립들이 존재하였다. 전자밀도가 중등도인 둥근 과립 중 일부는 연접막 밖으로 배출(exocytosis) 되었으며, 근형질막과 연접막이 합체되는 현상도 관찰되었다. 근형질(sarcoplasm)내에서 수축성단백질인 액틴과 미오신섬유의 배열은 불규칙하였으며, 세포질성 치밀체(cytoplasmic dense body)도 관찰되었다.

  • PDF

연두금파리(Lucilia illustris) 혈구에 대한 결절형성인자와 결절형성과정 (Studies on the Nodule Formation Factor and Mechanism of the Hemocyte in Lucilia illustris)

  • 정민원;김지현김우갑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9
    • /
    • 1995
  • 연두·금파리에서 혈구 세포가 면역반응의 일환으로 일으키는 결절형성(nodule formation) 현상을 형태학적으로 관찰하고자 본 실험이 수행되었다. 연두금파리 종령 유충 체내에 정상 효모, 고정된 대모, 세포액이 제거된 원형질체의 효모를 각각 주입하여 면역반응 과정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먼저 정상 효모를 주입하였을 경우, 효모와 접촉한 헐구의 과립방출과 곧 이은 혈구의 파괴 그리고 효모 주위에 혈림프와 함께 점액성응혈(clot)의 형성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점액성 응혈에는 여러 유형의 파괴된 혈구가 포함되어 있었다. 이같은 면역반응에는 체내 혈구 중 과립혈구(granulocyte)가 가장 활발히 반응였고 응혈의 대부분을 형성하였다. 결절의 중심부인 응혈은 대모와 파괴되지 않은 혈구 대 파괴된 혈구 그리고 방출된 과립들로 차 있었고, 효모 주입 3시간 까지는 이같은 응혈은 계속 확대되었다. 그러나 10시간 이후에는 응혈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이때 체강내에서 효모가 관찰되곤 하였다. 고정된 효모를 주입하였을 경우에는 혈구파괴나 과립방출 등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고정된 효모에 대한 혈구의 식 세포작용만이 관찰되었다. 이 식세포작용은 주입후 10시간 까지 계속되었다. 원형질 체의 효모를 주입하였을 경우에는 혈구에의한 면역반응이 관찰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