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과립중

검색결과 243건 처리시간 0.03초

시토키닌 활성물질 Thidiazuron 처리가 포도 '거봉'(Vitis labruscana)의 과립비대(果粒肥大) 및 품질(品質)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Synthetic Cytokinin, Thidiazuron, on Berry Size and Quality of 'Kyoho'(Vitis labruscana) Grapes)

  • 이재창;박일룡;이금선;김진국;황용수
    • 농업과학연구
    • /
    • 제30권2호
    • /
    • pp.115-122
    • /
    • 2003
  • 본 실험은 새로운 비 purine계 사이토카이닌 활성 물질인 thidiazuron(TDZ)이 포도 '거봉'의 과립중 및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으며 대조 약제로 forchlorfenuron(CPPU)을 이용하였다. 생리적 낙화 후 5일의 TDZ를 처리는 과방의 무핵과립의 착립수를 증가시켜 과방중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과립중은 증가하지 않았다. 그러나 낙화 후 10 또는 15일 처리는 무핵 과립의 착립수를 감소시켜 과립중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TDZ처리는 생리적 낙과가 어느 정도 진행된 만개 10~15일 후에 처리하는 것이 유리하였다. GA $25mg{\cdot}L^{-1}$처리도 과립중 증가에 효과적이었으나 TDZ와 GA혼용 처리는 각 약제를 단용 처리할 때보다 과립중 증대 효과가 더욱 컸다. 두 약제간에는 TDZ가 대조약제인 CPPU가보다 과립비대 증진 효과가 더욱 컸으며 TDZ 처리 농도가 $20mg{\cdot}L^{-1}$에서도 약해는 발생하지 않았으나 착색과 성숙은 더욱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나 적정 처리농도$5{\sim}10mg{\cdot}L^{-1}$이었다.

  • PDF

산왕거미 (Araneus ventricosus) 혈구의 미세구조 (The Fine Structure of Spider (Araneus ventricosus) Hemocytes)

  • 최재영;문명진
    • Applied Microscopy
    • /
    • 제36권4호
    • /
    • pp.259-269
    • /
    • 2006
  • 산왕거미 (Araneus ventricosus) 혈구의 유형을 세포화학적 및 percoll 밀도구배를 이용한 물리화학적 특성에 따라 구분하고, 각각의 미세구조를 고배율의 전자현미경으로 비교 관찰하였다. 혈구는 세포질에 함유된 과립의 유무에 따라 과립혈구와 무과립혈구로 구분되었으며. 과립혈구는 과립의 특성에 따라 다시 산호성 과립혈구와 염기호성 과립혈구, 그리고 헤모시아닌 과립을 함유한 혈색소혈구의 세 가지 유형으로 세분되었다. 산호성 과립혈구는 전체 혈구유형중 약 5%정도를 차지하였으며, 염기호성 과립혈구는 산호성 과립혈구에 비해 과립의 크기가 크고 구형이었다. 한편 무과립혈구는 혈구중 가장 크기가 작은 투명혈구와 심관의 내강에 주로 분포하는 편도혈구, 그리고 탈피 시에만 출현하는 대형의 탈피혈구로 다시 세분되었다.

탈피에 따른 산왕거미(Araneus ventricosus) 과립혈구의 미세구조 변화 (Molt-related Changes in the Granulocytes of the Spider Araneus ventricosus (Araneae: Arachnida))

  • 문명진
    • Applied Microscopy
    • /
    • 제38권2호
    • /
    • pp.97-105
    • /
    • 2008
  • 탈피에 따른 거미 과립혈구의 미세구조 변화를 고배율의 투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산왕거미(Araneus ventricosus)의 과립혈구는 산호성 과립혈구(EGs)와 염기호성 과립혈구(BGs), 그리고 혈색소혈구 (cyanocytes) 등 세 종류가 구분되었다. EGs와 BGs는 공통적으로 전자밀도가 높은 구형 과립을 함유하고 있었지만, 과립의 크기와 미세구조의 차이에 따라 두 종류가 확연히 구분되었다. 과립의 크기가 작은 EGs는 탈피기간중 세포소기관의 다양한 형태적 변화가 나타나며, 왕성한 식작용을 통해 많은 식포를 형성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반면, 과립의 크기가 큰 BGs의 세포질에서는 식포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탈피시기 동안 과립의 전자밀도가 낮아지는 특성이 관찰되었다. 가장 대형의 과립혈구인 혈색소세포의 세포질에는 많은 헤모시아닌 결정체가 동심원상으로 배열되어 있었으며, 탈피기간중 혈구의 일부는 불규칙한 구조로 변형되었다. 고배율의 투과전자현미경으로 헤모시아닌 결정체의 격자구조를 관찰한 결과, 미세소관(microtubule)과 매우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었으며, 각각의 미세한 관상 구조는 다시 약 20여 가닥의 극히 미세한 필라멘트로 이루어져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산요소법을 이용한 금속 분말 분무 과립화 공정의 생산성 시뮬레이션 연구 (Numerical Simulation of Productivity of Metal Powder Spray Granulation Process Using Discrete Element Method)

  • 손권중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85-191
    • /
    • 2021
  • 과립 분말 야금법은 기존 분말 야금법보다 치밀도가 높은 소결 부품을 얻을 수 있는 제조 기술이다. 하지만 추가 과립화 공정에 따른 생산 비용 증가가 상당하다는 단점이 있다. 과립 분말 야금법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는 과립 분말 제조 시 높은 회수율이 보장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분체 동역학 전산 해석법인 이산요소법을 이용하여 과립 분말의 수율에 영향을 미치는 과립화 공정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분무 과립 공정 중 과립화 분말의 비산, 충돌 및 소착 현상을 시뮬레이션함으로써 분무 건조기의 운전 조건에 따른 과립화 분말의 파손 및 회수 가능 여부를 예측하였다. 본 논문의 가상 공정 시뮬레이션 융합 연구 결과는 실제 금속 분말의 분무 과립화 공정의 생산성 향상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한다.

한국산 산민달팽이 ( Incilaria fruhstorferi ) 소화관 상피조직의 미세구조 및 조직화학적 연구 (Ultrastructural and Histochemical Study on the Epithelia of Digestive Tract of a Korean Slug, Incilaria fruhstorferi)

  • 이정찬;장남섭;한종민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43-160
    • /
    • 1997
  • 한국산 산민달팽이 Incilariafruhstorferi의 소화관을 부위별로 관찰하고, 소화관 상피조직을 구성하는 세포의 종류와 분포수 그리고 분비되는 과립 등을 미세구조적, 조직화학적으로 관찰하고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산민달팽이의 소화관은 식도, 위, 장, 직장 등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식도는 다시 전식도, 소낭, 후식도로 나누어지고, 장은 전장과 중장, 후장 등으로 구분되었다. 소화관을 부위별롸 관찰한 결과 섬모원주상피세포 2종, 녹색과립세포 3종, 청색과립세포, 점액세포, 투명세포, 망상형세포 그리고 괴사형세포 등 모두 10종류가 확인되었다. 섬모원주세포는 A형과 B형 등 두 종으로 나뉘며, A형은 세포의 상단 자유면에 섬모와 미세융모가 밀생된데 비해, B형은 전자밀도가 높아서 검게 보이고, 장과 직장에서만 관찰되는 특징을 보였다. 섬모의 구조는 9 x 2 + 2 axoneme이었다. 녹색과립세포는 미세구조에 의해 A형, B형 그리고 C형등 3종으로 나누어지며, 소낭과 후식도, 위, 직장에서 주로 관찰되었다. A형과 B형은 Sudan black에 양성인 지방과립(1.36 x 1.6$\mu\textrm{m}$)만을 포함하고 있는데비해 C형은 글리코겐 과립도 포함하고 있었다. 청색과립세포는 10종류의 세포 중 가장 키가 크고 (35$\mu\textrm{m}$), Millon반응에 양성을 보이는 둥근과립(직경, 1.3$\mu\textrm{m}$)을 포함하고 있는데 과립들은 단백질성으로 확인되었다. 이들은 중장에서만 관찰되었다. 장과 직장에서 주로 많이 관찰되는 점액세포는 세포질 속에 전자밀도가 낮은 투명한 과립과 전자밀도가 높아서 검게 보이는 둥근과립(크기, 1.33 x 0.89$\mu\textrm{m}$)들을 포함하고 있었는데, 이들은 미성숙 시기에는 투명과립(직경, 2.66$\mu\textrm{m}$)으로 관찰되었다. PAS-alcian blue(pH 2.5)반응에서 투명과립은 alcianophillia로 나타난 반면, 검은 과립은 PAS에 양성반을을 보이며, 각각 산성점액과 중성점액과립으로 확인되었다. 투명세포는 광학현미경 관찰에서 A형과 B형으로 구분되었으나, A형은 전자현미경 관찰에서 신경내분비세포로 확인된 반며, B형은 지방과립을 소지한 지방저장세포로 각각 확인되었다. 신경내분비세포가 소지한 과립의 크기는 0.16$\mu\textrm{m}$ 정도였다. 망상형세포는 주로 위에서 관찰되는 형태가 불규칙한 작은 세포로서 세포질에 비해 큰 핵을 소지하고 있었다. 소량의 세포질 돌기에는 사립체와 과립성소포체를 포함하고 있다. 괴사형세포는 후장과 직장에서 주로 많이 관찰되고, 점액세포의 점액과립이 분비된 후, 붕괴되는 과정에서 형성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도룡뇽 (Hynobius leechi) 피부선의 미세구조: II. 과립선 (Ultrastructure of the Cutaneous Gland in the Asiatic Land Salamander, Hynobius Leechi II. Granular Gland)

  • 김한화;노용태;정영화;지영득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19-228
    • /
    • 1980
  • 도룡뇽 (Hynobius leechi Boulenger)의 피부과립선의 미세구조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도룡뇽의 피부과립선은 선체부와 분비관으로 구성되며, 선체부는 선상피세포와 근상피세포, 분비관은 각질세포들로 구성되었다. 2. 피부과립선의 선상피세포는 세포질의 전자밀도가 높은 암세포와 세포질의 전자밀도가 낮은 명세포가 관찰되었다. 3. 피부과립선의 분비과립은 구형 또는 나형이었고, 높은 전자밀도를 보이는 과립, 중등도의 전자밀도를 보이는 과립 그리고 낮은 전자밀도를 보이는 과립들로 구분할 수 있었다. 또한 낮은 전자밀도를 보이는 과립중에는 과립막 인접부에 부분적으로 높은 전자밀도를 보이는 과립들이 관찰되었다. 4. 피부과립선내 분비과립들이 같은 세포내에서 전자밀도의 차이를 보이는 것은 분비과립의 성숙단계 및 성숙된 과립의 수분흡수 정도에 따른 농도차이에 기인하며, 그 화학적 조성은 유사하다고 생각한다.

  • PDF

포도의 교배집단을 이용한 과립 형질에 대한 유전체 전장 연관 분석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of Berry-related Traits in Grape Seedlings)

  • 유향화;허윤영;임동준;김수진;박서준;이동훈;최경옥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9-19
    • /
    • 2019
  • 유전체 전장 연관분석 (GWAS)은 단일염기다형성(SNP)의 유전자형과 표현형 간의 통계적인 연관성을 분석함으로써 품종 선발용 SNP Marker 개발에 응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Tano Red와 Ruby seedless 교배실생 278 계통을 대상으로 여러 과실 특성에 따른 관련 SNP를 동정함으로써 육종 선발에 필요한 DNA marker 개발에 필요한 기초 유전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한 계통 당 5~10개의 포도알을 선택하여 과립중, 과육탄성, 과피탄성, 과육경도, 과피경도, 과립당 종자갯수, 과립당 종자무게 및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각 개체는 Genotyping by sequencing (GBS) 방법으로 Sequencing하여 Reference genome (Vitis vinifera PN40024 12X v2.)과 mapping 하였다. MAF (Minor allele frequency) >5%, Missing Data <30% 의 조건을 가진 SNPs 만 1차 선발하여 TASSEL과 GAPIT 프로그램으로 GWAS 분석을 하였다. Manhattan plot 결과 과립중 형질에서는 33개, 과립당 종자무게 25개와 인장강도에서는 20개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SNPs 가 선발되었고, 특이적으로 이들 모두 18번 염색체에서 발견되었다. 그러나 나머지 형질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SNPs를 선발하지 못하였다. 과실의 인장강도는 수확 후 저장성과 유통과정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Marker 개발을 통한 품종선별이 중요하다. 향후 이러한 특성과 본 연구를 통해 동정된 SNPs 의 상관관계를 구체적으로 연구하여 Marker 개발에 활용하고자 한다.

  • PDF

소 과립막세포의 배양 상층액이 생쥐배의 체외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ovine Granulosa Cell Culture Supernatant on In Vitro Development of Mouse Embryos)

  • 이상범;문신홍;김선구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2호
    • /
    • pp.1764-1768
    • /
    • 2009
  • 본 연구는 소의 과립막세포 배양상층액에서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농도와 생쥐 배의 체외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소의 성숙난포(직경 6~15 mm)와 미성숙 난포(직경 2~5 mm)로부터 과립막세포를 각각 분리하여 15% FCS가 첨가된 Ham's F-10 배양약에서 16일간 배양하였다. 과립막세포들은 쉽게 단층배엽을 형성 하였으며, 배양과정 중 비슷한 성장패턴을 나타내었다. 또한 성숙 과립막세포와 미성숙 과립막세포 간에 형태적인 차이가 없었다. 과립막세포 배양 중 progesterone과 estradiol 생산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progesterone은 배양후기에, estradiol은 배양초기에 분비량이 높았다. 성숙 과립막세포와 미성숙 과립막세포에서 내분비 양상은 비슷하였다. 생쥐배가 상실배, 배반포 및 부화배반포 단계로 체외발달된 비율은 Ham'F-10배양액(86.7%, 41.7%, 13.3%)에 비하여 성숙 과립막세포 배양상층액(92.7%, 78.1%, 34.5%)과 미성숙 과립막세포 배양상층액(96.4%, 78.5%, 26.8%)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그러나 배의 발달에 대하여 성숙 과립막세포배양상층액과 미성숙 과립막세포 배양상층액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돼지 난포내 Acid Phosphatase의 활성부위와 활성도 (Localization and Activity of Acid p%osphatase of Porcine Ovarian Follicles)

  • 김종흡;이창주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36-143
    • /
    • 1992
  • 돼지 난포의 폐쇄기 작을 규명하고 폐쇄난포의 판정기준을 보완, 확립하기 위하여 난포의 크기 및 상태 그리고 난소주기에 따라 Acid phosphatase(Acpase)의 활성부위와 활성도를 조사하였다. Acpase의 활성부위는 과립세포와 난포막내층이었고, 반응정도는 난포 :극 대난포와 중난포의 경우 정상군에 비해 폐쇄군에서 강한 반응을 보였다. 황체기난포의 과립세포에서는 중난포와 소난포 모두 반응이 미약하였고, 난포막층에서는 정상군과 폐쇄군 모두 강하게 나타났다. Acpase의 활성도는 난포기 난포의 과립세포에서 난포가 커짐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난포막층의 활성도는 감소하였으며 , 폐쇄군이 높은 활성도를 보f:다. 황체기의 경우 반포기와는 달리 과립세포와 난포막층에서 난포가 커짐에 따라 활성도는 감소하였으나 폐쇄군은 역시 높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폐쇄난포의 Acpase의 활성부위와 활성도는 정상난포에 비하여 뚜렷하고 강하여서 이 방법은 폐쇄의 판정기준으로 이용 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난소주기에 따라 상이한 결과를 나타낸 것은 폐쇄기 작이 서로 다름을 시사하였다.

  • PDF

한국산 거머리(Erlsobdell$\alpha$ lineata) 전, 후 흡반의 구조에 관한 연구 (Structural study on the Anterior and Posterior suckers of Korean Leech (Erpobdella lineata))

  • 장남섭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81-288
    • /
    • 1994
  • 한국산 거머리(Erpobdella lineate)의 전, 후 흠반을 광학현미경과 투과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조직화학적 및 미세구조적 연구를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거머리 전, 후 홍안에서 관찰된 상피세포는 불규칙한 단층원주형 상피로 되어 있으며, 상피세포의 상단에는 큐티를층이 있고 측면원형질 막은 거치상을 이루면서 여러개의 desmosome이 관찰되 었다. 큐티클층은 projection eplcuticularis, amorphorous stratum 및 fibrous stratum 등 3부분으로 구분되었다. 전, 후 출반의 상피조직 사이에서 공히 a형 분비과립과 b혐 분비과립 등이 관찰되었는데, 이 세포에서 분비된 과립들은 중성점액다당류로 확인되었다. 전 흠반의 횡단면 상피조직 밑에서 많은 근육세포들조 형성된 원형의 집단들이 다수 관찰되었는데, 이는 흠반의 흡수기능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비교적 통근형태의 근육세포들은 세포의 원형질막 내측에 많은 근섬유 다발을 지니고 있고 그 중앙에는 cristae가 발달된 많은 수의 사립체들이 모여 있었다. 전, 후 출반의 결합조직 내에서 5종류(A, B, C, D 및 I 등)의 분비과립들이 관찰되었다. 그 중 C, D 과립은 전, 후 흡반에서 공통으로 관찰되고, A, B 과립은 전 흠반에서, E 과립은 후 흠반에서만 각각 관찰되었는데, 이들 역시 모두 중성점액다당류로 확인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