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과두이동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31초

초기(初期) 영구치열시기(永久齒列時期)의 정상아동(正常兒童)의 하악골운동시(下顎骨運動時) 하악과두(下顎顆頭)의 이동범위(移動範圍)에 관(關)한 방사선학적(放射線學的) 연구(硏究) (A ROENTGENOGRAPHIC STUDY OF THE RANGE OF CONDYLAR MOVEMENT IN CHILDREN WITH YOUNG PERMANENT DENTITION)

  • 구영재;이긍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7-65
    • /
    • 198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ange of condylar movement of children with young permanent dentition. Materials included 33 roentgenograms of 4 serial projections of TMJ by modified transcranial projection with Accurad 100. Four serial projections were taken in the centric occlusion, rest position, 1 inch open, and maximum open positi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condyle was located anteriorly in articular fossa at centric occlusion. 2. The condyle was moved forwardly and downwardly during mandibular movement from centric occlusion to maximum open position. 3. The pattern of condylar movement was similar in both sexes, but there were no sex differences in distance of condylar movement.

  • PDF

Surgical Jaw Relator를 이용한 양악 수술 치험례 (Two-jaw surgery by use of Surgical Jaw Relator)

  • 양상덕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38-249
    • /
    • 2005
  • 악골부조화가 심할수록 기능향상을 위해 악골 및 치아 치조부에서의 보상반응이 현저해진다. 대표적인 현상으로 하악과두의 변위와 상악교합평면의 변화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상하악골에서의 적응성 변화는 안모의 심미성과 교합의 기능 향상을 위해, 술후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 악교정수술을 통해 반드시 수정해야 할 요소이다 적절한 상악골 수술을 위해서 통상적으로 model surgery를 시행하여 왔으나 이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Surgical Jaw Relator를 고안하였으며 이는 교합기의 mounting plate 대신에 부착함으로써 상하악 모형의 삼차원적 이동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기존의 모든 종류(Panadent. Sam, Denar, Hanau 등)의 교합기에 손쉽게 부착하여 수술용 스프린트의 제작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악골 상방 이동이 필요한 하악전돌 증례와 상악골 하방 이동이 요구되는 하악후퇴 증례 등에 본 기구를 적용한 결과 양호한 수술 결과를 얻었으며, 이로써 정교한 상악 수술을 요하거나 명확한 수술 계획이 설정된 증례 등에서 본 기구를 적절하게 사용할 경우 수술용 스프린트를 효율적으로 제작하는데 다소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하악 과두 골절 환자에서 Lag Screw를 이용한 치료시 예후에 관한 임상적 연구 (CLINICAL STUDY OF PROGNOSIS USING LAG SCREW OSTEOSYNTHESIS IN MANDIBULAR CONDYLE FRACTURE)

  • 이동근;민승기;배진오;양희창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9권2호
    • /
    • pp.157-166
    • /
    • 1997
  • Treatment of condylar fracture is still controversial, but the indication of surgical mangement is increased due to improved fixation methods and surgical techniques. In this article, we report our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with the use of lag screw osteosynthesis for fixation of fractured mandibular condyle. 12 case of condyle fracture treated by open reduction and fixation with lag screw were monitored for an average of 10 months (range from 6 months to 19 months) postoperatively. The obtained results are as follows : 1. Postoperative maximum mouth opening is achieved over 40mm except one patient. 2. Although slight crepitus and deviation of mandible during mouth opening were found, Temporomandibular joint problem is satisfactory in all but one patient. 3. Distal migration of screw and resorption of fractured fragment were found in each 2 patients, but good functional recovery was achieved in all.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we think that lag screw osteosynthesis is relatively indicated in level III or IV condylar fracture.

  • PDF

백서 하악골의 후방 이동이 과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POSTERIOR DISPLACEMENT OF THE MANDIBLE O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IN RATS)

  • 박경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9-36
    • /
    • 1980
  • Inclined plane, one of frequently used orthodontic appliances, may cause posterior displacement of mandible and injure the normal growth of temporomandibular joint. So author carried out the mandibular posterior displacement experimentally induced by inserting inclined plane in the rat incisor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histological reactions occuring i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of experimental animals.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posterior displacement of condyle resulted in the widening of anterior synovial space with anterior condylar hyperplasia and posterior condylar atrophy. In addition, tissue changes were more severe in young rats than in adult rats. 2. The tissue reactions were localized only to condylar head ana there were no evidence of traumatic features in young rats. In adult rats, hemorrhage was an additional finding 1 week after experiment. 3. The remodelling processes were accompanied by the increasing or reduction of fibrous layer and subsequent replacement by cartilage layer occured massively and abruptly in young rats, it occured slightly and slowly in adult rats. 4. The remodelling process of injured condyle occured from 1 week to 4 weeks after experiment and completed between 8 weeks after experiment.

  • PDF

하악골 운동시 과두의 이동범위에 관하여 (THE NORMAL RANGE OF CONDYLAR MOVEMENT)

  • 최한업
    • 치과방사선
    • /
    • 제8권1호
    • /
    • pp.43-47
    • /
    • 197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ormal range of condylar movement of normal adults. The author has observed roentgenographic images of four serial positions of condylar head taken by modified transcranail lateral oblique projection. The serial positions are centric occlusion, rest position, 1 inch open position and maximal open position.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 1. Inter-incisal distance was 46.85㎜ in maximal open position. 2. The length between the deepest point of glenoid fossa and summit of condylar head in rest position was wider than that in centric occlusion by 0.8㎜. 3. In 1 inch open position, condylar head moved forward from the standard line in 12.64㎜ of horizontal direction and moved downwards from the standard line in 1.84㎜ of vertical direction. 4. In maximal open position, condylar head moved forward from the standard line in 19.06㎜ of horizontal direction and moved downwards from thestanard line in 0.4㎜ of vertical direction. 5. In centric occlusion, the width between glenoid fossa and margin of condylar head was greater in the posterior portion than in the anterior portion by 0.4㎜. 6. Except for the estimated figures of 1 inch open position, all of the estimated figures was greater in male than in female.

  • PDF

낭성 변화없이 하악과두로 이동한 하악 제3대구치 (MIGRATION OF MANDIBULAR THIRD MOLAR TO THE CONDYLE WITHOUT CYSTIC CHANGE: A CASE REPORT)

  • 김진태;조명철;전국진;박광호;허종기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0권2호
    • /
    • pp.191-193
    • /
    • 2008
  • Impacted third molars of the mandible are generally found at or close to the second molar. If the third molar is impacted far distant from its original site, it may be affected by cysts or tumors. Ectopic impaction of third molar in the condyle area is very rare. Furthermore, impaction without cystic lesion is even less common. The etiology of migration of the mandibular third molar without cystic lesion is unknown. So periodical X-ray taking is essential.

하악골 과두돌기 골절시 개구범위에 관한 임상적 연구 (A CLINICAL STUDY OF MOUTH OPENING RANGE IN MANDIBULAR CONDYLE FRACTURES)

  • 우승철;엄인웅;이동근;김수남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4권4호
    • /
    • pp.283-294
    • /
    • 1992
  • Functional recovery associated with mouth opening after mandibular condyle fracture was a contradictory result of many authors. The treatment goal of condyle fracture has been not only the good reduction and fixation but also the rapid functional recovery with mouth opening capac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mouth opening capacity after surgical or non-surgical treatment of condyle fracture according to the site, level, maxillomandibular fixation(MMF) and operation method based on 39 patents with condyle fracture who were admitted to the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Wonkwang University Hospital from May.1, 1990 to Aug.31, 1992.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ost common fracture site was level IV (17 cases : 42.2%) and level I (14 cases : 36.8%), level II (5 cases: 13.2%) and level III(3 cases : 7.9%) were in decreasing order of frequency. Compound fracture with symphysis was more frequent (69.2%) than simple fracture(30.8%). 2. The mouth opening capacity was increased in the level I compared with level IV. 3. The mouth opening capacity was increased in the group of segment removal. 4. The mouth opening capacity was increased in the MMF period was decreased. 5. Better mouth opening capacity was recorded in the physical therapy group of more than 3-4 weeks of treatment period.

  • PDF

하악 이부확장 시 하악골 이동 양상과 응력 분포에 관한 삼차원 유한요소법적 연구 (A 3-D finite element analysis on the mandibular movement pattern and stress distribution during symphyseal widening)

  • 이도훈;홍현실;채종문;조진형;김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3-30
    • /
    • 2008
  • 하악 이부확장에서 골 절단선의 위치 및 종류와 견인 장치의 종류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자 삼차원 유한요소법으로 하악골의 이동 양상 및 응력 분포를 조사하였다. 골 견인장치의 종류로는 치아 의존형과 골 의존형, 혼합형, $30^{\circ}$ 기울여 위치한 치아 의존형의 4가지를, 골절단 위치와 방법으로 하악 중절치 간 수직절단과 하악 정중이부를 관통하는 계단식 골절단 등의 2가지를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골절단의 위치 및 방법과 견인장치의 종류에 관계없이 과두를 포함한 하악골의 모든 부위에서 외측방 변위를 보였으며 상하적이나 전후방적 변위는 적은 양이었으나 방향에 있어 군간에 차이를 보였다. 치아 의존형 장치에 의한 골절단면 이개 양태는 V형이었으나 골 의존형 장치는 역V형이고 혼합형 장치는 평행하게 확장되었다. 골 의존형 장치에 의한 하악각의 외측 변위량이 다른 장치에 비해 컸다. $30^{\circ}$ 기울여 위치한 치아 의존형에서의 변위는 측방적, 전후방적 면에서 좌우 차이가 인정되었다.

하악골의 발육중인 생쥐에서 기능력의 변화가 특이-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LTERED FUNCTIONAL FORCE ON THE EXPRESSION OF SPECIFIC MRNAS IN THE DEVELOPING MOUSE MANDIBLE)

  • 김형태;박주철;이창섭;박헌동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08-319
    • /
    • 2003
  • 기능력은 뼈의 형성, 유지 및 개조 이외에도 치아이동, 교정치료, 기능성 악교정장치의 사용 등과 관련한 치주인대세포의 특성 변화 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또한, 하악과두에서도 기능력의 변화에 따라서 다양한 특성의 변화가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ICR 생쥐를 8주 동안 soft-diet와 hard-diet의 식이 조절을 통해 기능력의 변화를 유도하여, 기능력의 변화와 관련한 특이 유전자를 검출하기 위하여 subtractive hybridization, northern 분석 및 mRNA in-situ hybidization 등의 실험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Soft-diet군과 hard-diet군의 subtractive hybridization을 통하여 총 39개의 clone을 얻었고 이중에서 11개의 서로 다른 hard-diet군 특이 후보 유전자들을 분리하였다. 2. 11개의 후보 유전자들 중에서 homology 검색과 northern 분석을 통하여 기능력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거나 hard-diet군에서 mRNA가 선택적으로 발현되는 FS-s2, FS-s5, FS-s18 및 Fs-s22 유전자를 선택하였다. 3. Soft-diet군과 hard-diet군의 형태학적 분석에서 soft-diet군은 hard-diet군에 비하여 골모세포의 활성과 골개조의 특성은 저하된 것으로 관찰되었으나, 하악과두의 연골성골화 과정은 오랜 시간동안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FS-s2, FS-s5, FS-s18 및 Fs-s22 유전자의 cRNA 탐침자를 이용한 in-situ hybridization에서 4개의 유전자의 mRNA들은 hard-diet군의 세포들에서는 강하게 발현되었으나 soft-diet군의 세포들에서는 그 발현이 미약하거나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FS-s2, FS-s5, FS-s18 및 Fs-s22 유전자들은 대부분이 기능이 거의 알려져 있지 않는 것들로 기능력의 변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되나 앞으로 보완 연구를 통하여 각 각의 유전자들의 보다 정확한 기능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성장기에서 관절융기 높이 및 경사의 연령적 변화 (Changes in height and inclination of the articular eminence during the growth period)

  • 최동순;장인산;차봉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411-420
    • /
    • 2010
  • 관절융기의 높이와 후면의 경사는 교합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하악 운동 시 하악과두의 이동 경로를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성장기 아동에서 연령별로 관절융기의 높이 및 경사의 변화를 평가하는 것이다. 양호한 골격을 보이는 5.9세부터 19.7세까지 총 160명(남자 71명, 여자 89명)의 대상자가 선정되었고, 이들의 측두하악관절 단층방사선사진에서 관절융기의 높이, 관절융기 후면의 경사가 측정되었다. 남녀 각각 9.0세 미만(Group 1), 9.0 - 10.9세(Group 2), 11.0 - 12.9세(Group 3) 13.0 - 14.9세(Group 4), 15.0 - 16.9세(Group 5), 17.0세 이상(Group 6)의 6군으로 나누었고, 그룹 간 비교를 위해 일변량분산분석, 남녀 간 비교를 위해 Mann-Whitney 검정을 실시하였다. 각 연령 그룹의 평균 관절융기 높이는 남자에서 4.8 mm, 6.1 mm, 6.4 mm, 7.0 mm, 8.0 mm, 9.2 mm 였고, 여자에서 4.8 mm, 5.4 mm, 6.4 mm, 6.9 mm, 7.6 mm, 7.1 mm 였다. 각 연령 그룹의 평균 관절융기 경사는 남자에서 $29.5^{\circ}$, $34.4^{\circ}$, $35.5^{\circ}$, $37.6^{\circ}$, $40.3^{\circ}$, $42.6^{\circ}$였고, 여자에서 $29.7^{\circ}$, $31.7^{\circ}$, $34.7^{\circ}$, $37.4^{\circ}$, $39.3^{\circ}$, $36.2^{\circ}$였다. 관절융기의 높이와 경사는 남자에서는 Group 5까지, 여자에서는 Group 4까지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남녀 간 비교에서는 Group 6에서만 남자가 여자보다 유의하게 컸다. 관절융기의 성장가속기는 여자가 남자보다 4년 가량 빨랐고, 남자는 여자보다 더 늦은 나이까지 성장하였다. 성장기 중 관절융기의 높이와 경사는 매우 많은 변화를 보였으며, 따라서 이 시기에 교정치료 시 기능적인 정상교합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관절융기의 연령적 변화와 성장 양상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