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과골증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5초

특발성 골격 과골증과 병발한 메이-터너 증후군의 컴퓨터단층촬영 소견: 증례 보고 (CT Findings of May-Thurner Syndrome in Diffuse Idiopathic Skeletal Hyperostosis: A Case Report)

  • 정지욱;김태은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4호
    • /
    • pp.941-945
    • /
    • 2023
  • 메이-터너 증후군은 심부정맥혈전증을 유발할 수 있는 흔하지 않은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다양한 원인에 의한 메이-터너 증후군 사례가 보고되고 있지만 우리가 아는한, 미만성 골격 과골증 환자에서 뼈곁돌기에 의한 메이-터너 증후군 사례는 영어 논문으로 보고된 바가 없다. 저자들은 특발성 골격 과골증 환자에서 발생한 메이-터너 증후군의 컴퓨터단층촬영 소견을 제시하고자 한다.

흉늑쇄골 과골증-1례 보고- (Sternocostoclavicular Hyperostosis - One Case Report -)

  • 유재두;이동욱;한운섭;이선화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권1호
    • /
    • pp.88-92
    • /
    • 1999
  • Sternocostoclavicular hyperostosis is a relatively uncommon disease characterized by hyperostosis and soft tissue ossification in the clavicle, sternum and the anterior part of the upper ribs. Although the cause of this disease is unknown, radiologic feature is diagnostic. We report one case of sternocostoclavicular hyperostosis with pain and limitation of motion on shoulder.

  • PDF

흉골.늑골.쇄골 과골증(Sternocostoclavicular Hyperostosis)의 바늘구멍 골스캔 소견 -1예 보고- (Pinhole Scintigraphic Manifestations of Sternocostoclavicular Hyperostosis -Report of A Case-)

  • 박용휘;정수교;김성훈;정우희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55-159
    • /
    • 1992
  • Sternocostoclavicular hyperostosis (SCCH) is a chronic, nonsuppurative inflammatory disease involving sternum, clavicle, upper ribs and its adjacent soft tissue. It is a relatively newly described syndrome, characterized by ossification in the region between the clavicle and the first rib, and hyperostosis of the medial end of the clavicle with simultaneous involvement of the sternum and juxtasternal ribs. We experienced one case of sternocostoclavicular hyperostosis, diagnosed by pinhole bone scintigraphy. This paper describes characteristic pinhole scintigraphic findings of SCCH, with comparative study with radiographic and pathologic findings.

  • PDF

흉쇄늑골과골증에 동반된 양측성 쇄골하정맥혈전 1예 (A Case of Bilateral Subclavian Venous Thrombosis Associated with Sternocostoclavicular Hyperostosis)

  • 정훈;심영목;유빈;심태선;임채만;고윤석;이상도;김동순;김원동;김우성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1권4호
    • /
    • pp.379-385
    • /
    • 2001
  • 저자들은 흉쇄늑골과골증 환자에서 양측성 쇄골하정맥 혈전으로 인하여 상대정맥증후군 양 증상을 유발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봉약침요법을 시행한 미만성 특발성 골격 과골증(Diffuse Idiopathic Skeletal Hyperostosis:DISH) 1례 (A Clinical Study on the case of Diffuse Idiopathic Skeletal Hyperostosis(DISH) Treated with Traditional Korean Medicine, Especially Korean Bee-Venom Therapy)

  • 문익렬;최성권;임희정;서원희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19권4호
    • /
    • pp.225-233
    • /
    • 2002
  • Objective : There are little report on treatment of Diffuse Idiopathic Skeletal Hyperostosis(DISH)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We suggest to treat DISH with a Korean Bee-Vonom Therapy and would like to suggest treatment plan for the further treatments. Methods : Under the assumption that Korean Bee-Venom Therapy may be affective for treatment DISH, the following points were administreted :Hua-Tuo-Jia-Ji-Xue Results : After 14 weeks of treatment-especailly Korean Bee-Venom Therapy, a remarkable improvement was made for DISH. Conclusion : Significant improvement in DISH was obtained with through Korean Bee-venom Therapy, Four needle technique, Common Acupucture Treatment and Herbal medication. Although this case yielded favorable result, more study should be made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Korean Bee-Venom Therapy for treating DISH.

  • PDF

신생자돈의 선천성 전지과골증의 발생예 (Congenital Hyperostosis in Pig Litters)

  • 곽수동;신종욱;최상룡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499-504
    • /
    • 1987
  • Two cases of congenital hyperostosis at a pig farm were observed and examined pathologically in Landrace piglets. Twenty two piglets from 2 litters: 10 alive piglets in a litter and 2 stillborn and 10 alive piglets in another, were born with thickened forelimbs and some of them with thickened hindlimbs too. These piglets stowed symptoms of staggering and incoordination. Only one of these piglets could be reared normally and all the others died within 3 days of age. The thickened parts of their limbs were felt firm and not well pitted by finger pressing. An apparent ossification was identified on the central regions of the cross sections of the thickened limbs, and some pale, gray and ossiferous signs were found in the peripheral soft areas. On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of the thickened limbs, it was found that the bone trabeculae were newly proliferated in a concentric form in central regions and in a radiated form in peripheral regions. The peripheral regions of the periosteum and perichondrium of new bone were proliferated with connective tissue and the edematous muscle bundles were atrophic and degenerative. Both the sows which produced piglets of congenital hyperostosis were mated with a different boar at next breeding and farrowed normal piglets. It was concluded that the swine congenital hyperostosis in the present cases was expressed by autosomal recessive gene of first mating boar.

  • PDF

대퇴골의 과골증을 동반한 방골성 지방종: 증례 보고 (Parosteal Lipoma of the Femur with Hyperostosis: A Case Report)

  • 김도연;전호승;전승주;노행기;강서구;송지웅;박병문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4-108
    • /
    • 2012
  • 방골성 지방종은 골막 주위의 지방 조직에서 발생하는 매우 드문 형태의 지방종으로 대퇴골, 요골, 경골 및 비골 등에서 호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치료는 골 부착부를 포함한 지방 종괴를 절제하고 과골증을 동반시 골막의 제거를 원칙으로 한다. 저자들은 대퇴골 간부 내측에서 발병한 드문 방골성 지방종 1예에 대해서 문헌고찰과 함께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흉골늑골 쇄골간 과골증의 장기추시결과 (Long-term Follow-up Study of Sternocostoclavicular Hyperostosis)

  • 김정일;서근택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03-111
    • /
    • 2006
  • 목적: 흉골늑골 쇄골간 과골증은 흉골, 쇄골, 상부 늑골 및 주변 연부조직의 골화와 골막반응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으로 골종양과의 감별이 요구되고 있다. 이질환은 비교적 잘 알려져 있으나 병인이 불분명하고 흔하게 나타나지는 않기 때문에 장기관찰에 대한 보고는 거의 없다. 저자들은 이 질환을 가진 환자들의 장기간 추적관찰을 통해 이질환의 치료 경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86년 6월부터 2000년 6월까지 본원 정형외과에서 흉골늑골 쇄골간 과골증으로 진단되어 치료 받은 환자 중 2년 이상 추시관찰이 가능하였던 17명의 환자에 대해서 이학적 검사, 방사선 소견, 조직학적 소견, 치료에 대한 반응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성별분포는 남자가 4례, 여자가 13례로 여자가 더 많았다. 이환된 시기의 환자의 나이는 17세부터 60까지로 평균나이는 48.7세였다. 전례에서 흉쇄골 관절 및 흉골, 늑골 주위의 흉골, 쇄골, 상부 늑골에 과골화 소견을 보였고 이것은 시간 경과후에도 변화 없거나 증가되는 양상을 보였다. 피부과 질환을 동반한 경우가 5례가 있었다. 치료에 대한 반응은 대부분의 환자에서 소염진통제에 반응을 하였지만 2년 이상의 소염진통제 및 항상제의 치료에도 반응하지 않은 경우가 3례가 있었다. 결론: 흉골 늑골 쇄골간 과골증은 골주사와 전산화 단층촬영으로 진단이 되어질 수 있는 비교적 드문 양성 질환으로 비교적 항염증 약물, 항생제, 항류마치스약물등의 보존적인 치료에 잘 반응하나 동통이 지속되는 경우에서 비스포스포네이트 같은 약제의 사용이 추천되어진다. 장기간 추시관찰시 동통은 대부분 소실되나 방사선학적 검사에서 골화부분은 변화 없거나 더욱 커지는 양상을 보였다. 대부분의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지 않으나 연부조직의 침범이 있거나 악성종양과의 감별이 어려운 경우 조직검사가 필요할 수 있고 외형상문제로 수술적 치료가 요하는 경우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