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과거 위치 추정

Search Result 87,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Bias correction of radar rainfall estimates for improvement of rainfall estimation accuracy in shared river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남북 공유하천 강수량 추정 정확도 향상을 위한 레이더 강수 편의보정 방안 연구)

  • Son, Chan-Young;Jang, Cheol-Ho;Ban, Woo-Sik;Ahn, Je-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00-300
    • /
    • 2019
  • 남북공유하천인 북한강 및 임진강 유역 남측에는 평화의 댐, 군남댐이 치수목적으로 건설되어 운영되고 있으나 북측의 기상 및 수문정보 획득이 불가하여 홍수대응에 불확실성이 높으며 공유하천상류 북측댐 방류패턴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 특히 접경지역 남측에 위치한 군남댐은 상류에 있는 황강댐에 비해 저수용량이 작고 우리나라 최북측 수위관측지점(필승교)에서 군남댐까지의 홍수도달시간은 1시간 이내로 예 경보 등 사전 대응에 한계가 있어 북측의 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북측 강우상황 파악 및 위기대응 능력 강화를 위하여 실제 K-water는 기상청 관할 레이더(광덕산)를 활용한 접경지역 댐 유역 강우추정 및 홍수분석 체계를 구축하여 현업에 활용 중이나 실제 관측 강우량 대비 정량적인 차이를 보임에 따라 황강댐 방류 규모 및 군남댐 유입량 예측에 많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다 정확한 임진강 상류 북측 강수량 추정을 위하여 기상청 관할 광덕산 레이더에서 얻어지는 군남댐 유역의 추정 강수량(Radar-AWS Rainrate; RAR)에 대하여 통계적 편의보정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통계적 편의보정기법은 '확률분포형을 활용한 기법', '매개변수적 기법', '비매개변수적 기법' 등 크게 3가지로 구분할 수 있으며 세부적으로 총 11가지 기법을 적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일부 기법을 제외하고는 보정 전에 비해 정량적으로 레이더 강수량의 정확도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매개변수적 편의보정기법이 우수한 결과(결정계수: 0.9898)를 보였다. 비매개변수적 편의보정기법은 상대적으로 관측자료가 적어 과거기간에 발생하지 않은 이상치가 발생할 경우 비현실적인 강수로 편의보정되므로 충분한 자료가 축적된 이후 활용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북한댐 수문 운영패턴 예측, 접경지역 홍수모의 및 홍수대응 등 치수적인 측면에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Interpretation of Landscape Elements in Borimsa Temple after 17th Century (17세기 이후 장흥 보림사(長興 寶林寺)의 경관요소 해석)

  • Kim, Kyu-Won;Sim, Woo-Ky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3 no.1
    • /
    • pp.110-118
    • /
    • 2015
  • Borimsa Temple in Jangheung, one of the Goosanseonmoon of Shilla Dynasty, calls for a study in the field of landscape architecture because it has very significant elements in cultural and ecological landscaping aspects.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in landscaping elements of Borimsa Temple since the 17th century in order to newly recognize cultural landscaping value of space composition elements for traditional temple and to verify landscape architectural position. For research method, literatures such as Sajeonggi (事蹟記), Joongchanggi, a surveyed map by Fujishima Gaijiro in 1928 and Joseon Gojeogdobo (朝鮮古蹟圖譜) and modern documents including Borimsa Temple Precision Ground Survey Report and photographic records of National Archives of Korea and provincial governments were examined together with a field survey in order to trace changes in landscape elements such as buildings within the temple site, pond and temple forest. The results are as the following: First, for geographical locations of Borimsa Temple, it is located in an auspicious location and Shipyuknahansang and Cheonbul were placed in a supplementary purpose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Bojoseonsatapbi. Compared to Namhwaseonsa Temple in China, it has a similar environmental composition but the fact that buildings were placed on platforms is a distinctive difference. Second, architectural landscape of Borimsa Temple went through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Korean War and still going through changes today. Thus, there shall be some appropriate measures such as to establish an archive of past landscape data. Third, the contents of Borimsa Temple Sajeonggi suggests that the pond of Borimsa Temple had been in a indeterminate form with stones on the outer edge. Its name could have been Yongcheon (湧泉)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Joongchanggi. Also, the current landscape, in comparison with past photographs, is a result of changes from surface raise occurred by ground reinforcement within the temple site. Fourth, Jangsaengpyoju (長生標柱) mentioned in Bojoseonsatapbi and Borimsa Temple Sajeonggi was thought to be the dried juniper tree in front of Daewoongbojeon, which can be found in past photographic documents but, it is now assumed to be Seokbihyeong (石碑形) considering the Gukjangsaeng and Hwangjangsaeng of Dogapsa Temple of the similar time period. Moreover, Hongsalmoon mentioned in Joongchanggi was established by King's order after the Manchu war of 1636 in praising of Buddhist monks those who had volunteered to fight for the country. Fifth, it is apparent in Borimsa Temple Joongchanggi that geomancy was a consideration in landscaping process of Borimsa Temple, and the record indicates that pine trees, bo trees and persimmon trees were planted. Sixth, tea tree forest was verified of its historical root that is Seongchailyeo from Unified Shilla through passing down of Jeong Yak-yong's Goojeunggoopo method and relevant documents of Seon Master Choui and Yi Yu-won. Seventh, nutmeg tree forest suggests that nutmegs were used in national ceremonies and for medical uses. The nutmeg tree forest was also verified of its role as Naehwasoorimdae (a forest built to prevent fire from spreading) through aerial photographs and placement of a forest reserve.

Analysis of Secular Change Using Eddy Covariance Method in Yongdam Experimental Catchment (에디공분산 방법을 이용한 용담시험유역의 증발산량 경년변화 분석)

  • Moon, Duck Young;Lim, Kwang-Su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09-210
    • /
    • 2016
  • 우리나라의 연평균강수량은 약 1362 mm이며, 총강수량의 약 30% 이상이 증발산을 통해 손실되고 있다고 추정되어지고 있다. 증발산은 물 수지 분석에 있어 매우 중요한 성분이며, 많은 부분을 차지하지만 다른 요인들에 비해 직접적인 관측이 어려워 과거에는 경험식을 사용하거나 단순하게 가정에 의해 결정해 왔다. 또한 기상자료로부터 증발산량을 추정하거나 증발접시나 추정식으로 잠재증발산을 추정하고 있다. 또한 최근 기후변화의 가속화에 따른 홍수의 가뭄의 강도와 빈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수자원 관리에 있어서 기초수문조사 항목에 많은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그 결과 2007년 4월 하천법 개정으로 증발산량 및 토양수분량이 기초수문조사 항목으로 추가되었으며, K-water 연구원에서는 용담시험유역에 플럭스타워를 설치하였고 현재 운영 중에 있다. 덕유산 플럭스타워는 용담시험유역 내에 위치한 금강 수계 구량천 상류부의 덕곡제 유역 내에 설치하였으며, 2011년 4월부터 실제 증발산량을 관측하고 있다. 동경 $127^{\circ}$42'23" ~ $127^{\circ}$44'53", 북위 $35^{\circ}$50'47" ~ $35^{\circ}$52'50"사이로 중부지방에 위치한 유일한 증발산관측 타워이다. 유역 면적은 9.27 km2으로 유로연장 3.48 km, 유역 평균폭 2.66 km, 형상계수는 0.77이며, 덕곡제플럭스 타워 주변의 토지이용은 대부분 산림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침활 혼효림과 낙엽송림으로 임상 분포가 이루어져 있다. 주요 관측기기로는 3차원 풍향 풍속계, $CO_2/H_2O$ 기체분석기, 순복사 측정 센서, 지중열플럭스 측정 센서 등이 있다. 2011년부터 측정된 자료를 바탕으로 에디공분산 방법을 이용하여 증발산량을 측정하였으며, 30분간의 데이터 18,000개 중 취득률 90 % 이상의 데이터를 대상을 분석을 실시하였다. 2011 ~ 2015년도 증발산량 분석 결과는 아래의 표와 같다. 증발산의 패턴은 1월부터 서서히 증가하지만 활발하지는 않고, 4월부터 매우 활발해져 8월에 최대치에 이른다. 10월부터 증발산량은 급격히 감소하기 시작하며 11, 12월에는 증발산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공통적인 경향을 보였다. 2013년 8, 9월은 다른 해와 다른 경향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2013년 8, 9월에 강우가 많이 발생하여 증발산량이 감소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2015년 8월은 다른 년도와 비교했을 때, 매우 높은 증발산량을 보이는데 이는 2015년 8월에 많은 강우에도 식생이 활발하게 작용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 PDF

Comparative Study of Actual Vegetation and Past Substitutional Vegetation to Baekje Historic Site in Seoul - Focusing on Pungnaptoseong(風納土城) and Mongchontoseong(夢村土城) - (서울 백제역사유적지 관리를 위한 현존식생과 과거 대상식생 비교 연구 - 풍납토성(風納土城)과 몽촌토성(夢村土城)을 중심으로 -)

  • Cha, Doo-Won;Oh, Choong-Hye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40 no.1
    • /
    • pp.74-80
    • /
    • 2022
  • The vegetation of historical sites has been a form of vegetation that has remained since some years ago, but in modern times, vegetation and terrain have been deformed or damaged due to urban development, which was followed by an industrialization. As a solution to thi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lan for restoration and management by referring to the vegetation and landscape remaining in the historic site as indicator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vegetation and landscape management of Baekje Historic Sites in Seoul by comparing and analyzing location characteristics, existing vegetation, and remaining vegetation of past substitutional vegetation for Pungnaptoseong and Mongchontoseong, Baekje Historic Sites in Seoul. As a result of the study, Pungnaptoseong and Mongchontoseong are located near the main stream of the Han River, Pungnaptoseong is located on a flat land consisting of natural embankments and floodplains, and Mongchontoseong is located on a hilly area. In the case of existing vegetation, it has been confirmed that Pungnaptoseong mainly has ornamental trees planting sites, while Mongchontoseong has a distribution of residual species from the past that grow in villages and hilly lowlands. The Substitutional vegetation of Pungnaptoseong and Mongchontoseong was synthesized based on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and actual vegetation, it is estimated that the hilly areas may have been divided into "Quercus aliena Blume.",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and so on,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on dry land,"Salix koreensis Andersson.", "Juglans mandshurica Maxim.", "Alnus japonica (Thunb.) Steud." in rivers and tributaries, "Quercus acutissima Carruth." in the main part of the forest,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Salix koreensis Andersson.", "Zelkova serrata (Thunb.) Makino." as a divine tree in the beginning of the village. Since the 1960s, all substitutional vegetation in the past has disappeared due to the introduction of foreign species and the creation of urban areas in Pungnaptoseong and Mongchontoseong, and the landscape has also been damaged. Fortunately, the substitutional vegetation was estimated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es of residual trees distributed along the walls, climate, location characteristics, and times, but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literature and existing vegetation survey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past target vegetation in Baekje historical sites in Seoul through quantitative experiments such as plant relic analysis in the future.

Simulation of Vessel Movement in Ancient Port of Hwaseong Coast Using Marine Physics Model (해양물리모델을 이용한 화성 연안 고대포구의 선박 이동 모의)

  • Lee, Seungtae;Han, Min;Yang, Dong-Yoon;Cho, Yang-Ki;Park, Chanhyeok;Yu, Jaehyung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55 no.2
    • /
    • pp.137-148
    • /
    • 2022
  • In this study, ship movement simulation was performed based on a marine physics model for the ancient port presumed under the past environmental conditions in the coastal area of Hwaseong, which played an important role as a center of trade in the Three Kingdoms and Unified Silla periods. The paleo topographical surface was reconstructed through the analysis of borehole sediments, and the paleo coastline was extracted through the geomorphological maps published during before independence. Based on the established paleo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Hwaseong coast, the marine physics model (FVCOM) was used to simulate the flow of surface currents and the route of floating materials assumed to be ancient ships. As a result, the processes of moving ships from the port to the open sea in the Eunsupo area, which is estimated location of the ancient port related to Dangseong, was well simulated, and thus the reliability of the location of the ancient port estimated by the scientific method was secured.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a result of convergence research that encompasses archeology, history, geomorpology, geology, and oceanography.

The Application for Levee failure Analysis by Numerical Model (제방 붕괴 모의를 위한 수치해석모형의 적용)

  • Park, Jae-Hong;Chun, Myung-Ho;Han, Keun-Y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639-1643
    • /
    • 2008
  • 국내에서의 범람홍수 및 범람으로 인한 제방붕괴 특성은 그 해석상의 어려움으로 인해 주로 과거 범람상황 및 지형도를 통한 경험적 추정 등에 의존해 오고 있는 실정으로 정교한 물리학적 이론에 근거하지 못하였으므로 범람홍수량, 제방의 붕괴폭 등을 정확하게 예측하기에는 미흡한 점이 많았다. 도시하천과 같이 제방 인접한 곳에 주거, 산업시설 등이 밀집하고 있는 지역에서의 제방붕괴로 인한 홍수류의 범람은 막대한 인명 및 재산피해를 발생시키는 큰 재해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홍수시 제방월류로 인한 제방붕괴 양상을 예측하고 이를 통해 범람유량의 정확한 예측을 통하여 도시하천 제방 계획시 홍수피해와 투자액을 감안한 경제적인 하천 제방단면 결정을 위한 기본자료로 활용될 수 있고, 도시 중요시설물의 입지 선정시 홍수피해에 대한 판단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모형을 이용하여 Teton 댐, Mantaro landslide 댐, Spirit Lake 장애물 댐 등에 적용하여 개발된 모형의 정확성을 입증하였다. 적용결과 개발된 모형은 기존의 모형과 같은 결과를 나타내어 국내 계산환경에 적용가능함을 보여 앞으로 이용가능성이 큰것을 알 수 있었다. 적용결과 파이핑의 발생위치의 영향은 대체로 파이핑의 위치가 제체의 윗부분에 위치할수록 최대 유출량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Lawn Lake 댐의 경우에는 사면의 식생의 영향으로 다른 결과를 나타내었다. 점착력은 경우에는 점착력이 클수록 유출량의 크기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찰각은 최대 붕괴폭의 크기 및 발생시간, 댐의 높이와 폭, 저수용량 등과 유출량이 연관있어 좀 더 많은 계산결과를 이용하여 심도있는 고찰이 요구되었다. 입자의 중간크기, 공극률, 균일성의 경우 적용된 댐들 모두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변수들이 커질수록 유출량도 증가하였다. 댐 사면 경사의 경우에는 상,하류 사면 모두 경사가 완만할수록 유출량이 감소하였다. 위의 결과를 통해 개발된 제방붕괴 해석모형은 좀 더 많은 연구와 적용을 통해 개선과 검증이 이루어진다면 국내 제방붕괴해석에 필요한 해석모형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 PDF

A Study on Land Use Change Prediction Using CLUE-s based on Urban Growth Scenarios (도시성장 시나리오와 CLUE-s 모형을 이용한 토지이용 변화 예측 연구)

  • LEE, Yong-Gwan;JOH, Hyung-Kyung;JANG, Sun-Sook;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44-144
    • /
    • 2015
  • 본 연구는 서울과 5대 광역시를 대상으로 (1) 과거추세가 연장되는 시나리오와 (2) 최근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스마트 성장, 컴펙트 개발 등을 고려한 도시성장 시나리오를 전제로 미래의 토지이용의 변화를 예측하였다. 토지이용 변화 예측에는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기반으로 한 CLUE-s(Conservation of Land Use and its Effects at Small regional extent) 모형을 이용하였다. 토지이용 변화예측을 위해 WAMIS(WAt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에서 제공하는 1975년부터 2000년까지의 5년 단위의 토지이용별 통계자료와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2008년 토지이용도를 구축하였으며, 각 토지이용 항목은 총 6가지(시가지, 수역, 산림, 논, 밭, 초지)로 재분류하였다. 도시성장 시나리오는 지자체 조례에 따른 물리적 개발기준과 국토 환경성 평가 지도를 바탕으로 개발 제한 구역을 설정하고, 미래 인구변화와 토지수요 수요량 추정을 통해 미래 토지이용 변화 예측 시나리오를 구축하였다. 또한 도로망, 하천망과 유효 토심, 토양통 등을 고려한 토양 속성을 토지 피복 변화 예측을 위한 모형의 동적 요소(driving factor)로 대입하였다. 두 가지의 시나리오를 통해 미래 토지 이용 변화 예측결과 각 시나리오에 따라 확연히 다른 양상의 토지이용 변화 패턴을 보였다. 과거추세가 연장되는 시나리오에서는 물리적인 토지개발 기준 범위 내에서 무작위로 토지이용이 변화하며 시가지가 급속하게 성장하는 패턴을 보여주었다. 반면, 도시성장 시나리오를 전제로 하였을 경우 기존의 시가지와 연계하여 인근에 위치한 미개발지가 시가지로 변화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로그 추세로 증가 혹은 감소하는 패턴에 따라 변화폭이 줄어들며 종래에는 각 토지이용의 변화량이 0%로 수렴하는 모습을 보였다. 토지이용 변화 비율은 두 가지 시나리오 모두 주로 산지와 농지가 감소하고 시가지가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구축한 미래 토지이용 변화 시나리오는 수문생태계에 큰 영향을 주는 지표의 변화에 대해 회귀분석을 기반으로 정량적인 예측을 가능케 함으로써 기후변화 시나리오 등 다양한 미래 예측 시나리오와의 접목을 통해 미래 수자원 예측 연구에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PDF

Development of IDF Curves under Non-Stationary for Agricultural Reservoir Watershed (비정상성을 고려한 농업용저수지 유역의 IDF 곡선 분석)

  • Ryu, Jeong Hoon;Kang, Moon Seong;Song, Inhong;Park, Jihoon;Jun, Sang 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96-596
    • /
    • 2015
  • 수공구조물 설계의 기본이 되는 설계홍수량은 정상성 (Stationary) 가정 하에 산정되고 있다. 정상성은 분포형의 매개변수들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극치사상의 크기와 빈도가 비정상적인 증가 추세를 나타내고 있어 강우자료의 변화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비정상성 (Non-Stationary)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정상성을 고려한 미래 IDF (Intensity-Duration-Frequency) 곡선을 산정하고, 기후변화에 의한 IDF 곡선의 특성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지로 충청남도 공주시에 위치한 계룡저수지를 선정하였고, 계룡저수지에 인접한 대전 관측소의 과거 강우자료 (1981-2010년)를 수집하였다. 또한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RCP4.5 시나리오 기반의 미래 강우자료를 편의보정하여 3개 기간 (2011-2040년, 2041-2070년, 2071-2100년)에 대한 미래 강우자료를 구축하였고, 지속시간별 연최대치 강우자료를 추출하여 경향성 분석 및 비정상성 빈도해석을 실시하였다. 강우자료의 확률분포형과 매개변수 추정방법으로는 GEV (Generalized Extreme Value)분포와 L-모멘트법을 선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과거 및 미래 기간별 IDF 곡선을 산정하였으며, 그 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IDF 곡선은 계룡저수지의 설계한도를 재검토하는데 활용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은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용저수지의 안정성 검토에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Rethinking Cultural Identity and its Drivers in Present-Day Indonesia: A Case Study of the Dayak (현대 인도네시아의 문화정체성과 그 동인(動因)에 대한 재고찰: 다약인 연구사례를 중심으로)

  • MAUNATI, Yekti
    • SUVANNABHUMI
    • /
    • v.3 no.2
    • /
    • pp.79-123
    • /
    • 2011
  • 문화정체성은 실로 구성적 성격을 지닌 개념으로, 문화정체성의 구성은 상황 (그리고 역사)과 상념 사이에서 발생하는 역동적인 상호작용의 결과에서 비롯된다. "다약인"이라는 개념의 형성 및 구성에 있어서도 서로 다른 다양한 힘이 작용해왔다. 식민 지배기에 탐험가들과 학자들은 서구적 방식으로 "다약인"의 구성을 구체화시켰고, 이것은 해방 이후 인도네시아 국가의 향방에 순차적으로 영향을 끼쳤다. 다약인 정체성의 구성과 그 동인에 관한 논의는 머리사냥, 긴 형태의 가옥들, 종교 등과 같이 다약인을 그려내는 특정한 이미지에 다만 집중하고, 다약을 그려내는 이러한 이미지들이 오늘날 다약인 정체성과 어떠한 연관성을 지니는가에 관한 논의이다. 과거 머리사냥 풍습에 관해서도 다약인에게 있어서 머리사냥의 의미와 관례를 충분히 설명할 수 있는 분석이 현재 전무하다. 다약인 사회의 또 다른 주요 특징은 독특한 주거양식에서 찾을 수 있다. 주거양식은 대부분의 문헌에서 추정해온 것처럼 독특한 것이 아니라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다약인은 껜야인처럼 종종 연립가옥(라민)을 그들의 중심문화로 여긴다. 깔리만딴 동부에 위치한 롱메카에서 문화와 청년축제가 개최되었는데 이 축제의 전체 진행은 자문화의 재건과 밀접하게 연관되어있다. 2006년에 끄라얀에서 개최된 이와 유사한 한 문화축제는 페뭉 에라우 펜제라니(Pemung Erau Pengerani)라고 불린다. 종교 역시 다약인의 인류학적 설명에 있어서 주요 특징으로, 다약인은 보르네오에 거주하는 비(非)무슬림교도들로 정의된다. 과거에는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정령신앙을 숭배했으나, 다약인들 사이에서 기독교로의 대규모 개종이 일어나면서 다약인은 기독교도와 일반적으로 동일시되었다. 깔리만딴 지역의 무슬림은 다약인이 될 수 없다는 게 일반적인 생각이다. 실로 다약인이 된다는 것은 수많은 힘들의 집합체로부터 그 구성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 PDF

A study on the bedrock erosional forms at Dutayeon, Yanggu (양구 두타연 인근 지역의 기반암 하상지형 연구)

  • KIM, Jong Yeon;KIM, Chang Hwan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19 no.2
    • /
    • pp.31-49
    • /
    • 2012
  • Satae cheon, a tributary of the Suip cheon in Yanggu, Gangwon province, is an international river extended to North Korea. Most of drainage basin area of the river was the fierce battle field during the Korean War(1950-1953) and hard to access as it located between the MDL(Military Demarcation Line) and the CCZ(Civilian Control Zone: about 10km south from MDL). By the restriction of access to the sites, most of natural landscape have been well conserved except limited use for military activities. Even the landfoms in that area were not studied, except the government's heritage reports. Satae Cheon's channel follows the Imdang fault line(N-S) to Satae-ri and flow to west to the Dutayeon area. The river meanders along geological structure or weak line at the Dutayeon area. The meandering channel was shorten by the meander cut which linked the thalweg line of meander loop ant the meander neck. As a result of this cut, the river cliff formed by the Satae cheon became the part of newly formed channel bed and the S-forms are formed. After the channel route stabilized, channel incised the rock with large potholes and undulating walls were formed. The channel width changes from 1m to 10m with restriction of the undulating walls, so this part can be regarded as inner channel or inner gorge. From the point of planar forms it also can be slot-type cany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