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통규격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23초

포장과 법률 - 기구 및 용기·포장의 기준 및 규격 일부개정고시(안) 행정예고

  • (사)한국포장협회
    • 월간포장계
    • /
    • 통권324호
    • /
    • pp.86-91
    • /
    • 2020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이의경)는 식품용 기구·용기 "포장의 공통기준을 세분화 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기구 및 용기·포장의 기준 및 규격·고시 개정안을 2월28일 행정예고했다. 이번 개정안의 주요 내용은 ▲공통제조기준의 세분화, ▲합성수지의 재활용기준 명확화, ▲공통규격 및 용도별 규격정비, ▲시험법개선등이다. 다음에 기구 및 용기·포장의 기준 및 규격 일부개정고시(안)의 상세한 내용을 살펴보도록 한다.

  • PDF

국방표준화 정보관리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Defense Standardization Information Management)

  • 장필훈;최석철
    •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3-3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외국의 국방표준화 정보관리 발전동향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현 실태를 분석한 후 민수-국방분야에 공통 적용가능한 규격/표준 공통 분류목록의 제정과 이를 바탕으로 한 표준화 정보기반 통합DB의 구축 및 국방표준화 정보체계의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규격/표준 공통 분류목록은 국방규격과 한국산업표준의 그룹핑을 통해 표준화 대상식별에 관한 보다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표준화 정보기반 통합DB 구축을 통해 규격/표준과 다양한 정보들과의 상호참조 기반을 제공하였고, 표준화 정보체계를 통해 민수-국방분야 전반에 걸친 규격/표준정보 활용의 토대를 제시하였다.

SCORM-ACAP 상호운용 기반의 T-Learning 콘텐츠 및 운용환경 개발 (Development of Content and Running Environment based on SCORM-ACAP Interoperability)

  • 배일환;이범진;문남미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4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대회
    • /
    • pp.21-25
    • /
    • 2004
  • 최근 IT를 포함한 모든 산업 및 기술 영역에서는 포준화 활동을 기반으로 하여 융복합화(Convergence)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는 또한 e-Learning 산업 및 기술에서도 큰 화두이다. 현재 e-Learning 표준화에서 시장에서 주도권을 행사하고 있는 것은 ADL의 SCORM 규격이다. 데이터방송 영역에서는, 북미에서 지상파와 케이블 TV간 콘텐츠 호환성 확보를 위해 ATSC와 케이블랩(CableLabs)이 공동 연구 중인 ACAP을 통해서 지상파-케이블 공통 표준화가 진행중이다. 이에 본 논문은 3-Learning 산업 및 기술에서의 융복합화의 일 영역으로 그리고 방송통신융합서비스의 일환으로 인터넷 기반 학습 환경과 TV 기반 학습 환경에서의 학습 콘텐츠 ( 및 코스웨어) 상호운용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인터넷 기반의 e-Learning의 사실상의 표준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SCORM 규격과 DTV 환경 기반의 데이터방송 지상파-케이블 공통 규격인 ACAP간의 상호운용 API 개발을 통하여, SCORM 규격과 ACAP 규격의 상호운용성을 가능하게 하는 학습 콘텐츠 및 T-Learning 운용환경을 연구$\cdot$개발하였다.

  • PDF

포장과 법률 - 식품용 기구 및 용기·포장 공전 ②

  • (사)한국포장협회
    • 월간포장계
    • /
    • 통권303호
    • /
    • pp.100-108
    • /
    • 2018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류영진)는 최근 "기구 및 용기 포장의 기준 및 규격" 고시 전문(고시 제2018-11호, 2018.2.27.)을 공유했다. 이번에 식약처가 공유한 '식품용 기구 및 용기 포장공전'에는 기준 및 규격의 목적, 수록 범위, 구성 등의 총칙과 함께 공통기준 및 규격, 재질별 규격, 기구 및 용기 포장의 시험법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번호부터 시리즈로 2018년도판 공전을 통해 식품용기구 및 용기 포장의 최신규제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 PDF

포장과 법률 - 식품용 기구 및 용기·포장 공전 ③

  • (사)한국포장협회
    • 월간포장계
    • /
    • 통권305호
    • /
    • pp.106-114
    • /
    • 2018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류영진)는 최근 "기구 및 용기 포장의 기준 및 규격" 고시 전문(고시 제2018-11호, 2018.2.27.)을 공유했다. 이번에 식약처가 공유한 '식품용 기구 및 용기 포장공전'에는 기준 및 규격의 목적, 수록 범위, 구성 등의 총칙과 함께 공통기준 및 규격, 재질별 규격, 기구 및 용기 포장의 시험법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번호부터 시리즈로 2018년도판 공전을 통해 식품용 기구 및 용기 포장의 최신 규제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 PDF

포장과 법률 - 식품용 기구 및 용기·포장 공전 ①

  • (사)한국포장협회
    • 월간포장계
    • /
    • 통권301호
    • /
    • pp.114-120
    • /
    • 2018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류영진)는 최근 "기구 및 용기 포장의 기준 및 규격" 고시 전문(고시 제2018-11호, 2018.2.27.)을 공유했다. 이번에 식약처가 공유한 '식품용 기구 및 용기 포장 공전'에는 기준 및 규격의 목적, 수록 범위, 구성 등의 총칙과 함께 공통기준 및 규격, 재질별 규격, 기구 및 용기 포장의 시험법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번호부터 시리즈로 2018년도판 공전을 통해 식품용 기구 및 용기 포장의 최신 규제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 PDF

스마트 공공서비스를 위한 N-스크린 서비스 플랫폼 표준규격에 대한 연구 (Research for Standards of N-Screen Service Platform for Smart Public Services)

  • 이정헌;이희주;정운교;이승택;장연상;강상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호
    • /
    • pp.277-291
    • /
    • 2012
  • 스마트폰/스마트패드와 클라우드 컴퓨팅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N-스크린 서비스가 관심받기 시작했다. 하지만 다양한 OS/플랫폼으로 인하여 콘텐츠 개발시간과 비용이 증가하면서 N-스크린 서비스 활성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최근 차세대 웹표준으로 예측되고 있는 HTML5 기반의 N-스크린 서비스 플랫폼 표준규격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로 수립된 표준규격은 서비스 제공자 측면에서 서비스 인프라 및 단말기에 무관하게 효율적이고 용이하게 N-스크린 서비스를 개발/제공하기 위한 표준규격을 수립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로 수립된 표준규격은 N-스크린 서비스 시나리오 적용을 통하여 표준규격의 적정성을 검토하였다.

촬영 및 투시용 X선 장치의 기본안전과 필수 성능에 관한 개별 기준규격의 동향 (The Tendency of Medical Electrical Equipment - IEC 60601-2-54: Particular Requirements for the Basic Safety and Essential Performance of X-ray Equipment for Radiography and Radioscopy)

  • 노영훈;김정민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8권4호
    • /
    • pp.331-336
    • /
    • 2015
  •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의료기기의 전기 기계적 안전에 관한 공통기준규격"이 IEC 60601-1 [3판] 따라 개정되었고 IEC-60601-1의 개별규격인 IEC 60601-2-54 또한 촬영 및 투시용 X선 장치의 기본 안전과 필수 성능에 관한 개별 기준규격으로 고시화 될 예정이다. 따라서 개별 규격의 도입에 앞서 주요 요건을 소개하고자 이 기술보고서를 작성하였다. IEC 60601-2-54의 목적은 촬영 및 투시를 위한 의료용 전기기기(이하 ME 기기) 및 ME 시스템에 요구되는 기본 안전과 필수 성능 요구사항을 확보하려는 것이다. IEC 60601-2-54는 방사선 촬영 및 투시장치의 X선 고전압장치, X선 기계장치, 방사선 방어 등에 관한 내용이다. 의료기기의 전기 기계적 안전에 관한 공통기준규격, 의료기기의 전자파 안전에 관한 공통기준규격, 의료기기의 방사선안전에 관한 보조기준 규격이 본 규격에 적용되었다. IEC-60601-2-54가 고시화될 경우 촬영 및 투시용 X선 장치의 기본 안전과 필수 성능에 관한 이해를 넓히고 국내 의료기기 산업의 국제화에 일조할 것이라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