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진주 시험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25초

재활용 암버력 - 토사의 회복탄성계수 예측 모델 (A Prediction Model of Resilient Modulus for Recycled Crushed-Rock-Soil-Mixture)

  • 박인범;목영진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147-155
    • /
    • 2010
  • 재활용된 암버력-토사의 회복탄성계수 예측모델이 개발되었다. 반복삼축시험을 통한 회복탄성계수의 전통적 평가방법은 큰 입경을 가진 자갈에는 실현 불가능하다. 미세한 차이가 있는 비선형 전단탄성계수를 이용하여 회복탄성계수를 산출하는 대체기법을 제안하였다. 현장에서 측정한 최대전단탄성계수와 대형공진주 시험으로 구한 감소곡선을 이용하여 회복탄성계수 예측모델을 개발하였다. 이 예측모델을 김천의 고속도로공사현장에서 재활용한 암버력-토사에 적용하여 모델인자 $A_E,\;n_E,\;{\varepsilon}_r,\;{\alpha}$를 각각 9618, 0.47, 0.0135, 0.8로 제안하였다.

공진주 시험기를 이용한 국내 노상토의 동적 물성치 (Dynamic Properties of Korean Subgrade Soils Using Resonant Column Test)

  • 김동수;정충기;홍성영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0권2호
    • /
    • pp.85-96
    • /
    • 1994
  • 공진주 실험기는 전단탄성계수, 영계수 및 감쇠비로 표현되는 지반의 동적물성치를 연구하기 위한 중요한 실내 실험법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Stokoe식 공진주 실험기를 이용하여 전단 변형률 10-4%-10-1% 범위에서 대표적인 국내 노상토의 동적 물성치를 연구하였다. 전단탄성계수와 감쇠비는 한계변형률 Ix10-3%부근에서 부터 변형률의 영향을 받기 시작 하였다. 한계 변형률 이하에서 최대 전단탄성계수(Gmin)는 구속압 (Qc)에 따라 (Qc)0.61에 비례하여 증가하였고 최소감쇠 비(Dmin)는 1%-5.7% 범위에 분포하였다. 한계 변형률 이상에서 정규화 탄성계수 감소곡선은 Ramberg-Osgood식으로 잘 나타낼 수 있으며 Seed와 Idriss가 사질토 를 이용하여 얻은 감소곡선과 거의 일치하였다.

  • PDF

재활용재료를 이용한 지하매설물용 뒤채움재 - 설계입력변수 정량화 (Backfill Materials for Underground Facility with Recycling Materials - Quantification of Design Parameters)

  • 이관호;김성겸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91-96
    • /
    • 2011
  • 지하매설물은 국가기간시설물로서 설계, 시공 및 유지관리가 적정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지하매설물 파손의 주요 원인 중의 하나는 부적절한 뒤채움재의 시공이다. 부적절한 뒤채움재 시공은 특히, 원형관로의 시공시 발생하며, 부적절한 다짐으로 인한 침하 및 내구성저하로 인한 파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으로 유동성뒤채움재를 이용할 수 있다. 유동성뒤채움재는 초기유동성, 시간에 따른 자기강도발현, 무다짐공법 적용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발생토사, 정수장슬러지 및 폐타이어분말 등 재활용 재료를 이용한 유동성 뒤채움재의 기본물성을 평가하였다. 각각의 재활용재료에 대한 입도 및 비중을 평가하였고, 최적배합설계를 결정하였다. 지반 및 도로공학적 설계입력변수 결정을 위해 일축압축시험, 삼축압축시험, 공진주시험 등을 수행하였다.

다짐된 궤도 흙노반 재료의 전단탄성계수(G)-전단변형률(γ)-포화도(S) 관계특성 분석 (Analysis of Shear Modulus(G)-Shear Strain(γ)-Degree of Saturation(S) Characteristics of Compacted Subgrade Soil used as Railway Trackbed)

  • 최찬용;이성혁;임유진;김대성;박재범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127-13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철도 궤도하부 다져진 흙노반의 강성 평가를 위하여 Stokoe 방식의 고정단-자유단 중형 공진주 시험기(D=10cm, L=20cm)를 이용, 구속압 및 전단변형률 증가시 포화도(S)변화에 따른 전단탄성계수의 분포변화를 조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포화도가 증가할수록 최대전단탄성계수는 감소하고 정규화 전단탄성계수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포화도(S)~전단탄성계수(S)~전단변형률(${\gamma}$) 사이의 고유한 감소 관계특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특성수립 가능성을 기반으로 향후 광범위한 추가시험을 통하여 예측모델을 수립하고 소정의 모델계수 값들을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풍화토의 비배수 삼축압축시험시 전체 변형률 영역의 거동에 관한 연구 (The Behavior of Overall Strain Range in Undrained Triaxial Compression Tests for a Weathered Soil)

  • 안영대;오세붕;고동희;김동수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29-39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미소변형률에서 파괴규준을 포함하는 대변형률에 이르는 전체 변형률 영 역의 거동을 획득하기 위하여, LVDT를 장착하여 국부변위를 측정한 삼축압축시험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결과 미소변형률(0.001% 수준)에서 대변형를까지(10%)의 거동을 합리적으로 구할 수 있었으며, 불교란 및 교란 풍화토 시료에서의 변형계수가 미소변형률 영역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공진주(RC)시험과 비배수 삼축압축시험에서 구한 정규화 전단변형계수$(G/G_{max})$ 곡선이 일치한 반면 최대전단변형계수$(G/G_{max})$는 포화도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났다. 또한 비등방경화 구성모델의 계수 연구를 통하여 전체 변형률 영역 거동을 합리적으로 예측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국내 보조기층 재료의 변형특성을 고려한 전체 변형률 영역의 구성모델 개발 (Development of whole Strain Range Constitutive Model Considering Deformational Characteristics of Subbase Materials in Korea)

  • 권기철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6권3호
    • /
    • pp.65-77
    • /
    • 2004
  • 보조기층 재료의 변형특성은 역학적 포장설계에 있어서 대단히 중요한 입력변수이다 국내에서 사용되는 보조기층 재료는 대부분 입상의 자갈질 흙으로서, 실제 시공현장에서 7종의 시료를 채취하였다. 보조기층 재료의 변형특성 평가를 위하여 공진주/비틂전단시험 삼축압축시험,자유단공진주시험을수행하여 탄성계수에 대한 여러 영향요소를 검토하였다. 보조기층 재료의 탄성계수에 대한 하중주파수 및 하중반복횟수의 영향은 매우 작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공학적 관점에서 무시가능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보조기층 재료의 탄성계수는 구속응력과 변형률 크기에 대단히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표적인 정규화탄성계수 감소곡선과 구성모델을 제안하였다.

  • PDF

강화노반 및 궤도하부노반 재료의 회복탄성계수 (Resilient Moduli of Sub-ballast and Subgrade Materials)

  • 박철수;최찬용;최충락;목영진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54-60
    • /
    • 2008
  • 다층 탄성모델에 근거한 철도노반 설계는 열차의 반복 윤하중에 의한 궤도 하부 구조의 거동을 반영하는 응력 의존적인 회복탄성계수$(E_R)$가 각 층의 중요한 입력물성치가 된다. 그러나 반복하중을 가하는 기존의 회복탄성계수 시험법은 비용이 고가이고 시험장비와 숙련도에 따라 결과의 일관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어 실질적인 적용에 어려움이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동적물성치를 이용한 대체 회복탄성계수 시험법을 적용하여 철도노반의 회복탄성계수를 결정하였다. 강화노반에 주로 사용되는 쇄석의 회복탄성계수는 측정된 동적물성치와 열차 운행 중 경험하는 강화노반의 응력을 고려하여 결정되었고, 체적응력과 축차응력의 거듭제곱 형태로 예측모델을 나타내었다. 쇄석의 회복탄성계수는 체적응력이 증가함에 따라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축차응력이 증감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상 하부노반의 주재료인 SM계열 토사 재료에 대하여 회복탄성계수를 평가하였고, 축차응력만을 이용한 거듭제곱 형태의 예측모델과 상관성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여러 가지 입도분포를 갖는 섬유혼합토의 동적변형특성 (Dynamic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Fiber Reinforced Soils with Various Gradation)

  • 목영진;정성용;박철수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39-47
    • /
    • 2005
  • 최근 들어 섬유혼합토가 도로 및 철도의 성토노반, 기층재료로 활용되기 시작하여 섬유혼합토의 변형특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공진주시험을 통하여 섬유혼합토의 거동특성과 보강효과를 평가하였다. 여러 가지 입도의 사질토에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재질의 단섬유(staple fiber)를 중량비 0.3%로 혼합하여 시료를 성형하였다. 섬유혼합토의 최대전단변형계수는 양입도일수록 증가해, 비혼합토에 비해 최대 30%까지 증가하였다. 양입도의 전단변형계수는 빈입도보다 모든 전단변형률 범위에서 구속압에 관계없이 더 커, 양입도일수록 보강효과가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낮은 구속응력 단계에서 지반의 탄성계수에 대한 구속응력의 영향 (The Effect of Confining Pressure on Modulus of Soils at Low Confining Pressures)

  • 권기철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57-63
    • /
    • 2004
  • 공용상태 포장에서 노상토 및 보조기층 재료가 경험하는 구속응력 범위는 150㎪ 이내이다. 따라서 포장 시스템 설계 및 해석에서 낮은 구속응력 단계의 변형특성은 매우 중요한 물성치이다. 실제 포장시공 현장에서 노상토 및 보조기층 재료를 채취하였으며, 낮은 구속응력 단계에서 탄성계수에 대한 구속응력 영향 평가를 위하여 공진주시험(RC) 및 자유단공진주시험(FFRC)을 수행하였다. 흥미롭게, 낮은 구속응력 단계에서는 구속응력과 탄성계수의 관계가 대수공간보다는 선형공간에서 더욱 적합한 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낮은 구속응력단계에서 구속응력의 탄성계수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는 새로운 모델을 제안하였다.

다양한 시험 방법을 이용한 서해안 송도 지역에 분포하는 실트질 모래의 최대 전단탄성계수 평가 (Evaluation of Maximum Shear Modulus of Silty Sand in Songdo Area in the West Coast of Korea Using Various Testing Methods)

  • 정명훈;이강원;김명모;권형민;정충기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9호
    • /
    • pp.65-75
    • /
    • 2005
  • 흙의 최대 전단탄성계수는 동적/정적 지반구조물 설계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하는 기본 토질상수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해안 송도 지역의 실트질 모래에 대해 표준관입시험, 콘관입시험, 자가굴착식 공내재하시험, 다운홀 시험, 탄성파 탐사 콘관입시험, 공진주 시험 등을 수행하여 최대 전단탄성계수를 구하고 그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다운홀 시험을 기준으로 표준관입시험 및 콘관입시험에 대한 경험식으로 구한 최대 전단탄성계수를 비교하고 새로운 경험식물 제안하였다. 제안식으로 구한 전단탄성계수는 다운홀 시험 결과와 비교적 잘 일치하였으며, 제안식을 이용하여 적절히 지반의 최대 전단탄성계수를 평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