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중보건

검색결과 329건 처리시간 0.027초

VLAD 관리도의 설계 (Design of Variable Life-Adjusted Display (VLAD) Charts)

  • 이재헌;정상현
    • 응용통계연구
    • /
    • 제20권3호
    • /
    • pp.597-604
    • /
    • 2007
  • 현대 사회에서 건강관리와 공중보건 분야의 이상원인 탐지와 감시를 위하여 관리도 기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외과의사의 수술 수행성과의 변화나 만성병과 전염병 등의 비율 변화를 탐지하는데 관리도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건강관리와 공중보건 분야에서 많이 사용하는 VLAD (variable life-adjusted display) 관리도를 소개하고, 이 관리도에서 관리한계선을 설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보건지소 공중보건 일반의사의 업무수행정도와 수련개선방안 (Assessment of the Activities of General Physicians in Health Subcenters and a Scheme to Improve the Training Program)

  • 박정한;천병렬;우극현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19권2호
    • /
    • pp.193-202
    • /
    • 1986
  • 공중보건 일반의사들의 업무수행 정도와 진료, 예방 및 보건증진 사업 수행에 필요한 기본적인 수기의 수행능력을 평가하고 그들의 업무 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개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1982년과 1983년에 배치된 공중보건 일반의사들 가운데 남부 4개도(경북, 경남, 전북, 전남)에서 출신학교별로 비슷한 비율로 120명을 무작위로 뽑아 1984년 1월 9일에서 2월 10일 사이에 설문지를 이용한 집단면담을 하였다. 면담에 응한 97명 가운데 본 조사에 필요한 자료를 제시할 수 있었는 86명으로 부터 얻은 자료를 분석하였다. 보건지소의 진료실적은 2종 보험실시 지역이 1일 평균 $30{\sim}40$명으로 환자가 많으나 그외 지역은 $3{\sim}4$명으로 매우 저조하였다. 또한 예방 및 보건증진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한다고 답한 사람은 조사대상자의 2%에 불과했다. 63가지 기본적인 임상수기 가운데서 자신있게 할 수 있다고 한 사람이 50%이상인 것은 근육주사, 정맥주사, 외상치료와 같이 간단한 것으로 12가지에 불과했고 임산부관리, 응급환자처치, 예방 및 보건증진 사업등에 필요한 수기에 자신이 있는 사람은 10%도 못 되었다. 국립보건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공중보건 일반의사들의 실무교육이 현지 사정과 맞지 않는것이 많아 실무에 큰 도움이 안 된다고 했으며, 도립병원이나 지방 종합병원에서 받은 임상수련이 실무에 많은 도움이 된다고 한 사람은 38.8%였으며, 별도움이 안된 이유 가운데 전문의가 없거나 있어도 무관심하여 수련지도가 부족한 탓이라고 한 사람이 48.4%로 가장 많았다. 공중보건일반의 실무교육은 교육내용을 실무종사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현지 사정에 맞도록 개선해야할 것이며, 실무종사자들 가운데 유능한 사람을 강사로 활용하고, 국립보건원에 모아 교육시키는 것보다 전국을 몇개의 지역으로 나누어 지방에서 교육을 시키는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임상실습은 4개월이 적당할 것으로 생각되며, 수련기간 동안에 필수적으로 익혀야 할 수기를 수첩으로 만들어 실습사실을 지도전문의에게 확인 받게하며, 보건사회부에서는 수련지도에 관한 지침을 마련하여 수련병원에 배부하고 수련상황을 평가하도록 한다. 최소한 기본 4과에 전문의를 갖춘 병원을 수련병원으로 선정하여야 할 것이다. 공중보건 일반의사들이 현지에서 당면하는 문제해결을 도우고 사업추진을 위한 동기를 유발하기 위해 보수교육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보건사회부는 재정 및 행정적 지원을 하는 것이 좋겠다. 도를 몇개지역으로 나누어 지역마다 지도위원회를 구성하여 공중보건 일반의사들을 순회지도 하고 자문에 응하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공중보건의들의 정보 요구 및 이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formation Need and Use of Public Health Doctors)

  • 홍기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59-283
    • /
    • 2000
  • 본 연구의 목적은 공중보건의들이 환자 치료와 학술적인 연구를 하기 위해 요구하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000년 10월 23일부터 11월 11일까지 3주 동안 공중보건의 298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이용자들의 정보요구와 이용행위로 정보수집방법과 정보원, 그리고 도서관 이용정도와 만족도를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중보건의들은 환자치료와 최근의 연구동향을 알고자할 때 정보를 가장 많이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이 이용하는 정보원은 단행본(교과서)과 학술지로 인쇄본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공중보건의들이 그들의 정보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선호하는 정보수입방법은 인터넷 검색과 동료들로 그 이유는 정보접근의 편이성과 정확성 최신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3) 이용자의 50.3%가 정보이용에 어려움을 느낀다고 하였는데 그 이유는 주로 지역적인 문제와 문헌전달의 지연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공중보건의들은 정보가 필요할 때 주로 도서관을 이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얻는 경향이 있으나 대체적으로 보아 도서관 이용빈도수는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공중보건치과의사에게도 기회를 주세요'

  • 백승엽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36권5호통권348호
    • /
    • pp.368-369
    • /
    • 1998
  • 공중보건치과의사 및 공직치과위생사들이 사재를 쏟아 부어 겨우 행사를 마무리하는 경우도 종종 생기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은 결국 일선에서의 참여 의욕저하라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초래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보건복지부에서 관련지침을 내려보내 줌으로써 각 보건소 및 보건지소의 예산에 적정 수준의 구강보건사업비가 책정될 수 있도록 하거나, 치협이 각 지역의 치과의사회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업무 협조 요청을 함으로써 매년 일정수준의 구강보건사업비를 지원할 수 있도록 이끌어내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