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정성 분위기

Search Result 227, Processing Time 0.049 seconds

화학적 구조 설계를 통한 수계 Cu-In-S 잉크와 액상셀렌화 법의 개발을 통한 고효율의 CISSe 태양전지 제작

  • O, Yun-Jeong;Yang, U-Seok;Kim, Ji-Min;Mun, Ju-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6.02a
    • /
    • pp.428-428
    • /
    • 2016
  • Copper indium sulfide (selenide) (CuIn(S,Se)2,CISSe)는 1.0~1.5 eV의 Direct band gap과 105 cm-1이 넘는 큰 광 흡수 계수를 가지고 있어 박막 태양전지의 흡수층으로써 연구되어 왔다. 최근 대량생산 및 저가 공정에 용이하다는 측면에서 용액 공정 기반 CISSe 태양전지 연구가 크게 주목 받고 있다. 용액공정 기반 중 하이드라진을 사용 한 경우 매우 높은 효율을 기록하였으나, 하이드라진 자체의 유독성과 폭발성 때문에 분위기 제어가 필요하고 여전히 저가화 및 대면적 제작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알코올 솔젤 기반 CISSe 태양전지 제작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으나, 결정립 성장 및 칼코겐 원자를 공급하기 위해 불가피하게 황화/셀렌화 후속 열처리 공정을 요구한다. 후속 열처리 공정은 폭발성의 황화수소/황화셀레늄 기체 분위기 제어와 고가의 장비를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매우 안정적이며 저가 용매인 물과 아민계 첨가제를 이용하여 Cu, In 전구체와 S, Se 이 포함된 Cu-In-S 잉크와 Se잉크를 제작하였다. 잉크 내에 S, Se을 첨가 함으로써 추가적인 후속공정 없이 비활성 가스 분위기에서 고품질의 CISSe 박막 제작을 가능케 하였다. 또한 Se 잉크 증착 횟수에 따른 결정 구조, 광학적 성질의 차이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수계 잉크를 대기 중에서 스핀코팅으로 박막을 제작한 후, Hot plate에서 건조하여 균일한 박막을 제조하고, 제작된 박막을 tube furnace에서 환원 분위기 및 비활성 가스 분위기에서 열처리 진행하여 $1.3{\mu}m$ 두께의 고품질의 CISSe 흡수층을 제작하였다. 이러한 흡수층에 대해 XRD, SEM, EDS 분석을 진행하여, 결정성, 미세구조, 및 조성을 확인하였으며, 제작된 흡수층 위에 버퍼층/투명전극층을 차례로 증착하여 CISSe 태양전지를 제작하여 셀 성능 및 양자 효율 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액상 Raman 분석을 통해 결정립 성장 과정 메커니즘을 제시하였다.

  • PDF

The Effect on the IS Psychological Empowerment on the Mitigation of IS Policy Resistance Through IS Role Stress: Focusing on the Moderation of IS Justice Climate (정보보안 심리적 권한이 업무 스트레스를 통해 정책 저항 완화에 미치는 영향: 공정성 분위기의 조절 효과)

  • Hwang, In-H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7 no.1
    • /
    • pp.1-12
    • /
    • 2022
  • An insider's information security incidents continue to occur,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strengthening information security within the organization. However, when strict information security policies and rules are applied to employees of the organization, it can result as an information security stress and resistance behavi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causes of insiders' negative information security behavior and factors that mitigate the cause. In particular, the study identifies how the mutual influence of individual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justice climate) factors mitigates negative behavior. In this study, a sample was obtained by surveying workers of organizations that reflect information security policies to insiders, and hypothesis testing was perform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role stres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on security policy resistance, and the justice climate strengthened the effe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Our results suggest a direction for reducing insider information security policy resistance, so it helps to establish a strategy for achieving internal information security goals.

The effect of individual perception of team climate for coopetition on the knowledge sharing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procedural justice and personal initiative (개인의 경쟁적 협력 팀 분위기 인식이 지식공유에 미치는 효과 및 절차적 공정성, 개인 주도성의 조절효과)

  • Park, Owwon;Han, Suji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4
    • /
    • pp.2112-2122
    • /
    • 2014
  • Most of the researches on coopetition are focused on the effect of coopetion on firm performance in the firm level. However, few studies attempted to find out the effect of coopetition in team and individual level.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effect of individual perception of team climate for coopetition on the knowledge sharing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procedural justice and personal initiative between the two variables. Empirical results using R&D researchers in research institutes of large-firms showed that individual perception of team climate for coopetition is positively related to knowledge sharing. In addition, we also found that procedural justice has positively strengthened the effect of coopetition on knowledge sharing. Finally, we addressed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Building an IS Environment and Support Structure for Insiders to Comply with IS: A Perspective on Improving the IS Related Justice Climate (내부자의 정보보안 준수를 위한 정보보안 환경 및 지원 체계 구축: 정보보안 공정성 분위기 강화 관점)

  • Hwang, In-H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7 no.5
    • /
    • pp.913-926
    • /
    • 2022
  • As information is recognized as a core competency of organizations, organizations are increasingly investing in policies and technologies for information security(IS). Recently, as information exposure accidents by people have occurred continuously, interest in IS behaviors of organization insiders is increasing.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IS environment and support structure established by the organization on the intention of individuals to comply with IS. We conducted a survey of employees in organizations with IS policies and tested the hypothesis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of AMOS 22.0 and Process 3.1 using 421 sampl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uthentic leadership and justice climate, which are factors that build an IS environment, and communication and feedback, which are factors supporting IS compliance, have a positive effect on employees' compliance intention. In addition, authentic leadership, punishment, communication, and feedback were found to reinforce the positive impact of IS justice climate. As the study suggested the overall structural design direction to be pursued to reinforce insider's IS behavior, and the results help to achieve the IS goal.

The Effect of the Hydrophobicity of Silicon Surface on the Formation of the Water Marks during HF-last Wet Chemical Processing (반도체 습식 HF 최종 공정 중 실리콘 표면의 소수성이 Water Mark형성에 미치는 영향)

  • Han, Jeong-Hun;Kim, Sung-Hwan;Park, Jin-Gu;Park, Jong-Jin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 /
    • v.7 no.10
    • /
    • pp.832-837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반도체 소자의 수율을 현저히 저하시키는 반도체 습식 세정 시 건조 후 웨이퍼 표면에 형성된 water mark의생성 원인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초순수수의 물방울을 다른 접촉각의 시편 위에 고의로 잔류시킨 후 질소 및 산소 분위기에서 건조시켰다. 건조 분위기와 상관없이 HF 처리된 소수성의시편 뿐만 아니라 친수성의 시편에서도 water mark이 관찰되었다. 생성된 water mark의 크기는 분위기에 무관하게 접촉각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그러나 산소 분위기에서 HF처리된 시편은 건조 후 질소 분위기에서 생성된 water mark의 크기보다 2배이상 크게 형성되었다. 이들 산소 및 질소 분위기에서 HF 처리된 실리콘 시편 위에 생성된 water mark의 성분을 AES(Auger Electron Spectroscopy)로 분석한 결과 water mark는 실리콘과 산소의 화합물 형태로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AAS(Atomic Absorption Spectroscopy)분석 결과 건조 분위기에 상관 없이 HF처리된 실리콘 시편 위에 물방울을 30분 잔류시 물방울 내의 실리콘 농도가 증가하였다. 또한 물방울내 ozone을 첨가하여 실리콘 표면을 산화 시켰을 때 물방울과 표면의 접촉각 감소와 water mark의크기의 증가를 초래하였다.

  • PDF

On Atmospheres for Firing the Thick Film Coper Conductors (Thick Film Copper Conductor 의 소결과 소성 분위기)

  • Lee, Joon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2 no.3
    • /
    • pp.193-198
    • /
    • 1991
  • Thick film copper conductors are of considerable interest in thick film industries because of both the potential cost saving compared to the noble metal conductors and the favorable properties in electrical conductivity, solderability, solder leach resistance and wire bondability, However, formation of the excellent copper thick film is a lot complicated due to easily oxidizing property of copper at high temperature. In order to get favorable thick film copper conductor, hybrid microcircuit industry utilizes majorly three kinds of firing atmosphere, such as nitrogen atmosphere, reactive atmosphere and air atmosphere. The processes and the three atmospheres for firing thick film copper conductor were extensively reviewed in this article.

  • PDF

Ceramic Matrix Composites의 내산화 코팅이 초고온 산화 특성에 미치는 영향

  • Jeon, Min-Gwang;Yu, Yeon-U;Nam, Uk-Hui;Byeon, Eung-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6.02a
    • /
    • pp.134-134
    • /
    • 2016
  • CMC(Ceramic Matrix Composites)는 $1500^{\circ}C$ 이상의 고온에서 내열성, 내산화성, 내식성이 우수하여, 초음속 비행체, 가스터빈 엔진 및 원자로용 초고온 부품 등에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특성은 비산소 환경에 국한되는 것으로 약 $400^{\circ}C$ 이상의 산화 분위기에는 탄소섬유가 산화되는 문제로 인하여 적용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CMC의 적용범위 확대를 위하여 내산화 코팅으로 CMC의 초고온 산화특성을 개선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장시간 초고온 산화환경 분위기에서 사용되기 위하여 안정적인 코팅기술이 최근 기술개발의 핵심현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pack cementation 공정을 이용하여 내산화성이 우수한 SiC 코팅층을 제조하였다. Pack cementation 공정에 사용된 코팅 분말은 57wt.% SiC, 30wt.% Si, 3wt.% B, 10wt.% Al2O3의 비율로 혼합된 것이다. 실험은 3D 직조된 CMC 모재를 혼합분말 내에 침적한 후, Ar 분위기에서 $1600^{\circ}C$, 4~12시간 반응시켜 수 마이크론 두께의 SiC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더 우수한 산화 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pack 처리된 CMC 표면에 초고온 세라믹인 TaC 소재를 진공플라즈마 코팅 공정으로 적층시켰다. 제조된 코팅층을 SEM, XRD를 이용하여 미세구조 및 결정구조를 분석하였으며, pack cementation에 따른 내산화 특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2000^{\circ}C$에서 산화 실험을 진행하였다. 산화 실험 이후 미세구조 및 결정구조 분석으로 산화거동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 PDF

대전된 분체의 정전기제전장치 제작 및 특성에 관한 연구

  • 김준삼;이련구;이동훈;엄상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88-94
    • /
    • 2000
  • 최근 플라스틱공업, 유기합성공업, 금속분체공업 및 사료공업 등의 기술이 진보함에 따라서 원료 및 제품을 분체로 취급하는 공정은 현저하게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며, 미립자의 제조, 분쇄, 건조, 분급, 혼합 등의 신공정에서는 유동이나 부유상태로 취급하거나 고온 분위기하에서 처리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이에 수반하여 분진폭발 위험성이 상당히 인식되고는 있으나 가스 또는 액체에 의한 폭발 위험성만큼 충분히 알려져 있지 않고 있다. /sup 1)/ 분진에 대한 최초의 폭발기록/sup 2)/은 1785년 이탈리아의 제분공정에서 일어난 사고였다.(중략)

  • PDF

The Effect of Microstructure on the Corrosion Resistance and the Adhesion Strength of the Zn-Mg Coatings (Zn-Mg 코팅의 미세구조에 따른 내식성 및 밀착성에 관한 연구)

  • Ra, Jeong-Hyeon;Bae, Gi-Tae;Lee, Sang-Yul;Nam, Gye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4.11a
    • /
    • pp.52-52
    • /
    • 2014
  • Zn-Mg 합금은 순수한 Zn 보다 우수한 내식성을 나타내며, 이러한 Zn-Mg 합금을 코팅공정에 도입하기 위하여 Zn-Mg 박막 합성의 최적 공정조건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비대칭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공정을 이용하여 합성한 Zn-Mg 박막은 Mg 함량이 증가할수록, 합성 분위기가 낮을수록 치밀한 미세구조를 나타내었다. 또한 Zn-Mg 박막의 미세조직이 치밀해질수록 내식성은 증가하나, 밀착성은 감소하였다.

  • PDF

구리 박막의 증착 분위기와 처리 과정에 따른 변화

  • Lee, Do-Han;Byeon, Dong-Jin;Jin, Seong-Eon;Choe, Jong-Mun;Kim, Chang-Gyun;Jeong, Taek-Mo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9.05a
    • /
    • pp.23.2-23.2
    • /
    • 2009
  • 기존에 사용되었던 알루미늄 배선 공정은 공정의 배선 크기가 줄어들면서 한계에 다다르고 있다. 따라서 이를 대체하기 위해 여러 가지 새로운 방법들이 고안되고 있으며, 그중 알루미늄을 비저항이 낮고 EM(electro-migration) 저항성이 뛰어난 구리로 대체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구리 배선은 이미 electroplating 공정을 이용해 산업에 적용되고 있으며, seed layer로는 sputtering 법을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sputtering 을 포함한 PVD 법은 대부분 종횡비나 단차 피복도가 좋지 않기 때문에 이를 CVD로 교체한다면 많은 장점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CVD 공정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많은 문제점들이 있는데, 이중 전구체에 대한 문제도 빼놓을 수 없는 이슈이다. Cu(dmamb)2 는 기존에 사용하던 $\beta$-diketonate 계열의 전구체보다 화학적으로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 CVD 공정에 적합하다. 이에 따라 구리 박막 증착의 공정 조건을 설계하고, 고품질의 박막을 증착하기 위한 다양한 처리법을 고안하여 증착 실험을 진행하였다. 기본적으로 구리는 확산력이 좋아 실리콘계열의 기판에서 확산력이 매우 좋아 기판 내로 확산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Ta, Ti 계열의 박막을 사용하여 확산을 방지하고 있다. 따라서 전이 금속 박막의 표면과 증착 분위기 등을 고려하여 구리를 증착하였으며, 표면의 미세구조 및 성분을 FESEM 등을 통해 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