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적공간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8초

휴대전화의 이용으로 인한 개인의 공간인식과 행태의 변화 (Impacts of Mobile Communications on the Space)

  • 황주성;유지연;이동후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34권
    • /
    • pp.306-340
    • /
    • 2006
  • 휴대전화의 확산은 '이동 중 연결성'과 '상호작용성'을 증대시킴으로써 공간을 새롭게 구성하고 활성화할 것으로 주장되고 있다. 또 다른 한편에서는 공적 공간을 사사화함으로써 공간 규범을 파괴하는 것으로 이야기되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휴대전화의 이용으로 공간의 인식과 행태, 그리고 공적 공간의 역할에서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론적 검토와 실증적 조사 분석의 연구 결과, 첫 번째로 살펴본 시공간의 미시적 조정과 다의적 장소성을 통하여 휴대전화의 이용이 고정된 장소의 논리를 벗어나 조정과 활용이 가능한 공간이라는 인식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살펴본 모바일 친구와의 항시적 연결성을 통하여 휴대전화의 이용이 공간적 공존과 분위상의 공유로 공간에서의 사회적 행태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세 번째로 살펴본 공적 공간의 의미와 역할 변화를 통하여 휴대전화의 이용행태는 공간적 특성에 지배적이며, 공간의 의미와 인식 변화에 따른 공간적 규범이 정착될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아파트 공적공간 구성방식에 대한 거주자 요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r needs for the public space in apartment dwelling units)

  • 방정훈;박수빈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9-34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dentifying the user needs for the planning of public space in apartment dwelling units. 298 apartment residents in Haeundae, Pusan responded to the structural questionnaire, which included the residents' satisfaction for the location and size of the living room, the kitchen and the dining room, the space usage of the living room and the dining room, and preferred layout of the public space.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important household characteristics to consider are identified as family life cycle and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2) The levels of residents' satisfaction were differed by the household characteristics and the types of apartment. 3) Activities related to recreation, entertainment, and family meals in living room and formal and informal entertainments in the dining room were occurred in different way as to the household characteristics and the types of apartment. 4) The younger families in the smaller sized apartments had more diverse preference to the layout of the public space.

  • PDF

주상복합아파트의 공적공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ublic Space of Mixed-Use Housing)

  • 장경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83-186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ctualize the planning method of the Mixed-use Housing. Enter in 2000 years, contruction of Mixed-use Housing is rapidly increasing with acrovill and tower palace as its starting point. Mixed-use Housing is topology that mix function of residential and business and commercial facilities by kind of mixed-use development. And, Mixed-use Housing which is located in busy urban commercial strict should meet the demand not only as functional city. And it is a type of urban housing that located in busy urban commercial district demands function of residential. As for locational situation and types of public space researched and analyzed in this thesis, those space were left alone with short analyzation on main consumers level as well as short recognition of public space for all of the six combined facilities of dewelling and commercing

  • PDF

공간의 성격변화에 따른 Hybrid Policing의 치안활동 영역에 관한 이론적 고찰 (A Study on the Hybrid Policing of Policing Space Follow Character Alteration of Space)

  • 서진석
    • 시큐리티연구
    • /
    • 제11호
    • /
    • pp.87-104
    • /
    • 2006
  • 공간의 성격 구분에 있어 기존의 공적인 공간과 사적인 공간의 이분법적 구분법이 가능했을 때는 치안제도에 있어서도 공적인 치안만으로 사회질서유지가 가능하였다. 그러나 자본주의의 발달로 인해 거대 사적 재산층이 형성되면서 사적인 공간의 규모가 커지고 그에 따른 사적인 치안제도의 필요성이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거대 자본가들은 자신들의 재산과 신변보호를 위한 별도의 치안제도를 두기 시작한 것이다. 그러나 사회변화 양상이 더욱 다양화 되고, 경제규모가 커지면서 공간의 성격도 단순한 이분법적 구분으로 설명할 수 없는 공간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즉, 공적인 공간과 사적인 공간의 중간계층인 제3의 공간이 형성된 것이다. 제3의 공간은 기존의 공적인 치안과 사적인 치안외의 추가의 치안수요를 창출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치안수요를 담당할 치안제도를 혼성적 치안이라고 한다. 혼성적 치안제도는 공적인 치안과 사적인 치안의 성격과 법적 지위가 혼합된 치안제도로서 치안수요의 다양화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Johston에 의하면 혼성적 치안제도의 수요는 더욱 늘어날 것이며, 미래 치안제도의 모델이 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청원경찰제도나 특수경비원제도의 경우 혼성적 치안의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향후 치안수요의 다양화 추세에 따라 혼성적 치안제도의 한국적 모델을 개발하여 한국 사회의 치안 지수를 향상시키는데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 PDF

도시발전 전략에 있어 정체성 형성과 공적 공간의 구축에 관한 비판적 성찰 (A Critical Reflection on Formation of Regional Identity and Construction of Public Space in Urban Development Strategy)

  • 최병두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604-626
    • /
    • 2008
  • 최근 도시발전 전략으로 정체성의 형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는 한편으로 인간의 존재론적 안전감을 위해 상실된 전통적 정체성의 규범적 복원, 다른 한편으로 도시들 간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도시 이미지의 전략적 제고라는 이중성을 가진다. 이러한 이중성은 근대적 정체성에 대한 포스트모던 이론가들(라캉, 푸코, 들뢰즈 등)의 비판과 이에 대한 대안으로 공적 공간을 통한 정체성을 강조하는 아렌트나 하버마스의 논쟁 속에 반영되어 있다. 이 논문은 정체성 개념이 담고 있는 도시 정책적 함의를 고찰하는 한편, 이 개념이 실제 정체성 고양을 명분으로 한 도시 발전 전략에서 어떻게 왜곡되게 원용되고 있는가를 비판하고자 한다. 특히 이 논문은 포스트모던 이론가들의 입장을 현실의 의사적 정체성에 대한 비판과 관련시키는 한편, 공적 공간을 통한 진정한 정체성의 형성을 강조하는 비판이론가들의 주장을 도시발전 정책의 규범적 대안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 PDF

주상복합아파트 공적공간의 특성에 관한 연구 -울산광역시 주상복합아파트를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Characters of Apartment Complex Public Space -Based on apartment complexes in Ulsan-)

  • 정지향;이옥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11-18
    • /
    • 2008
  • With recent trends, multi-purpose building is becoming an important thing to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space of multi-purpose apartment (public living place) with the interest in health and sports and social trend of "well-be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meaning of spatial function and role multi-purpose building by finding the spatial composition and constitutional characteristics and analyzing the spatial design of those apartments. Method of the study is to summary the spatial composition and constitutional characteristics by materials of building approval and pamphlets in model houses as there is no case of multi-purpose apartment completed in Ulsan. Among many factors of inner space, approachability, openness and amenity are selected by pre-research and it is analyzed to confirm if these factors are applied and planned appropriately. Based on analyzed materials, the study identifies the spatial composition and co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of multi-purpose building that is planning to be constructed in Ulsan and suggests the problem and improvements. The space of multi-purpose apartment should be purposed to accommodate daily activities and has the meaning of existence when it is provided appropriately. In addition, the space should be designed to provide various functions and purposes for cultural enhancement of citizen in the apartment.

노인 요양시설의 위계적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ierarchical Space Organization of Elderly Care Facilities)

  • 권순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34호
    • /
    • pp.96-105
    • /
    • 2002
  • Elderly care services are health, mental health, social health, and residential services provided to temporarily or chronically disabled older persons over an extended period of time with a goal of enabling them to function as independently as possible. And elderly care facilities such as nursing homes are places in which elderly care services have to be delivered effectively. It is, therefore, desirable to compose the space of elderly care facilities to meet the mental and physical abilities of frail elder people. This study has proposed the hierarchical space organization of elderly care facilities with an aim to fulfill the goals of them. Frail older people in hierarchically designed homes are anticipated to use the inner and outer spaces of care facilities as independently as possible in accordance with their physical and mental abilities.

일본 도심 소규모 단독주택 내 공적공간(LDK)의 평면과 입체의 조합유형 (The Composition Types of Layout and Three-dimensional of the Public Space(LDK) in Small Houses in Japan)

  • 신미옥;윤춘섭;김남효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92-100
    • /
    • 2016
  • Recently, new detached houses on a small plot in low-rise residential urban area have attracted more public interests than ever before. This study aims to categorize basic types of interior plans in small urban detached houses by analyzing the layouts of the public space(LDK) within them which are popular in Japan.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Unit floor plans were basically classified as 16 types according to the layout of LDK. Among these, the LDK type in a straight line shows the most at 28.9%. Again, these plans were sub-classified into 38 types by plan composition. The new 'LDKL' (a new term the authors propose to be used) type was observed in cases where K was directly connected to L. This type appears at 9 out of 38 types. In the connection of LDK, the LDK type shows the most at 60.8%; secondly the L-DK type at 29.9%; thereafter the LD-K type at 6.2%; and lastly L-D-K type, the least frequently at 1.0%. The cases of inter-level connection between LDK and the surrounding space were observed in various cases such as the open workplace of the upstairs hallway visually connected with LDK through the void space and as the attic space of the pitched roof visually linked to it.

역공간(Liminal Space) 개념으로 해석한 현대도시 공공공간의 혼성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ybrid Characteristics of Public Space in Contemporary Cities Reinterpreted by the Idea of Liminal Space)

  • 조경진;한소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49-59
    • /
    • 2011
  • 본 연구는 현대 도시 공공공간의 특성에 관하여 역공간 관점의 해석을 시도한다. 새로운 유형의 공공공간의 양상은 기존 공공영역과 공공성에 관한 문화정치적 담론, 공적영역과 사적영역의 혼재에 따른 도시문화적 담론 등의 해석으로만 조망하기 어려울 정도로 다양하고 복합적이다. 현대 공공공간의 다층적이고 유연한 성격을 포착하는 데는 역공간의 개념이 유용하리라는 것은 본 연구의 가설이다. 역공간이란 그 속성상 이곳과 저곳에 속하지 않은 상태를 기본조건으로 삼고 있고, 제의 과정을 경험하면서 시간적인 전개를 기저에 깔고 있다. 이러한 속성은 기존 공공공간에 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첫째, 공공공간과 사적공간, 반공공공간과 반사적공간 등으로 구분되는 층위적 개념에서 보다 연속적 속성을 부각하는데 유용하며, 둘째, 공적영역과 사적영역이 장소에 기반을 둔 고정적인 상태가 아닌 시간에 따라 변화가 가능한 속성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이러한 이론적 기획을 바탕으로 도시 공공공간의 몇 가지 사례와 그 특성을 살펴본다. 사례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는 것은 현대도시 공공공간의 혼성적 특성이 도시 공간에 활력을 주는 데에 기여한다는 것이다. 역공간 관점의 해석은 공공공간의 지평 확장과 재인식에 기여한다. 첫째, 공공공간의 지형도는 끊임없이 진화한다. 관리 주체나 소유의 관점에서 공공공간은 명확한 경계를 지니지만 혼재성의 관점에서 실제로 인식되고 활용되는 공공공간의 범위는 확장된다. 둘째, 같은 맥락에서 공적공간의 활성화는 사적인 공간과의 관계를 원활하게 접속할 때 활성화할 수 있다. 그러므로 공적영역과 사적영역을 긴밀하게 결합하는 세심한 전략과 고려가 필요하다. 셋째, 역공간으로 본 공공공간은 그 영역과 범위가 다양하게 변동 가능하다는 점이 강조된다. 이 연구의 실천적인 함의는 역공간적 속성을 고려한 공공공간의 도시 설계와 이를 수용하는 유연한 도시 관리가 요구된다는 점이다.

디지털 컨버전스에 최적화된 공적융합공간 개발 시론 (A Preliminary Study on Public Convergent Space optimized for the Digital Convergence Era)

  • 김동섭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79-91
    • /
    • 2012
  • In the Digital Convergence era, the center of social networking is moving into on-line space. This means also that space for public is moving into the on-line space. Along with this, spaces in commercial area, offered as attraction factors, are taking a role as a public space. So, this paper defines these spaces mentioned above as public space and the like. Liberal and affluent communication of Digital Convergence has caused in new spatial cognitions such like, constant social space, flowing space, temporary space, and multiple space. This means the hybridization of on-line and off-line space and the advent of public convergent space. However, it is on-line-centered convergence and has positive effects and negative effects on relationship. This paper suggests the optimization of public convergent space to solve the problems and make better a public space for relationship. For achieving this, social disclosure is grasped as the common way to start relationship both off-line and on-line, and it is proved that social disclosure has three characters such as self-presentation, corporeality, and subjectivity. Subsequently, the differences of the roles of off-line and on-line space are separated by each individual character. These are self-presentation of performance vs. storytelling, corporeality of embodiment vs. disembodiment, and self-subjectivity vs. inter-subjectivity. By recognizing that there are multilevel spectrums between the formers and the latters, this paper presents the direction of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public convergent space which offers the right of manipulation of self-disclosure. It will be used for presenting the prototype of public convergent spa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