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유 모델

Search Result 1,444,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The Business Model for the Sharing Economy between SMEs based on Business Model Canvas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기반의 기업 간 공유경제 비즈니스 모델)

  • Woo, Chae-ryeon;Cho, Min-Je;Choi, Hyung-Rim;Lee, Kang-Bae;Kim, Doo-Hwan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21 no.5
    • /
    • pp.41-54
    • /
    • 2016
  • Because of the recession of the world economy, small businesses face with many problems in securing their required labor force, capital, technology, among others. As an alternative to address those difficulties, there is a research to introduce the "sharing economy", which shares and changes resources. However SMEs have difficulties in actually introducing the sharing economy and the introduction of inter-company because sharing economy business models do not exist. This research has presented the business model for the sharing economy that is necessary in the introduction and operation of the said economy among SMEs. In order to design the business model for the B2B sharing economy, this research has drawn the components needed to design the business model through a preceding study on existing business models. Based on this and the preceding study, this research has presented the business model, which can be introduced to the sharing economy among SMEs. In addition Business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will be a guideline for introducing shared economic conditions for each SMEs.

A Quality Control Model for Shared University in Service Era (서비스시대 공유대학 품질관리모델 연구)

  • Kim, Hyunsoo
    • Journal of Service Research and Studies
    • /
    • v.8 no.4
    • /
    • pp.1-12
    • /
    • 2018
  • This study suggests a way to implement shared economic model of educational service in service era. As most shared economic models are innovating high-cost, low-quality structures in existing economies, there is a need for innovation models that improve high-cost low-quality structures to high-quality, low-cost structures in education services. Especially, since higher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are in urgent need of innovation, this study studied shared university model focused on higher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In order to provide educational services at low cost and high quality, it is necessary to use idle resources, so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shared economic model. Shared universities require a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supplier quality control, as the existing limited supplier group become widespread. Normative quality control is also needed to cultivate students as competent talent. In addition, in order to provide high-quality higher education services at a low cost, it is necessary to base the process quality management using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Therefore, educational service quality management is a process of quality control that is well-balanced in terms of suppliers, customers, and processes.

Advancing Reproducibility in Hydrological Modeling: Integration of Open Repositories, Cloud-Based JupyterHub, and Model APIs (온라인저장소, 클라우드기반 JupyterHub와 모델 APIs를 활용한 수자원 모델링의 재현성 개선)

  • Choi, Young D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18-118
    • /
    • 2022
  • 지속적인 학문의 발전을 위해서는 선행연구에 대한 재현성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컴퓨터와 소프트웨어의 급속한 발달로 인한 컴퓨터 환경의 다양화, 분석 소프트웨어의 지속적 최신화로 인해서 최근 구축된 모델도 짧게는 몇 달, 길게는 1~2년후면 다양한 에러로 인하여 재현성이 불가능해지고 있다. 이러한 재현성의 극복을 위해서 온라인을 통한 데이터와 소스코드의 공유의 필요성이 제시되고 있으나, 실제로는 개인마다 컴퓨터 환경, 버전, 소프트웨어 설치에 필요한 라이브러리의 버전 또는 디렉토리 등이 달라 단순히 온라인을 통한 데이터와 소스코드의 공유만으로 재현성을 개선하기는 힘든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이러한 컴퓨터 모델링 환경의 공유는 과거의 형태와 같이 데이터, 소스코드와 매뉴얼의 공유만으로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자원 모델링의 재현성 개선을 위해 1) 온라인 저장소, 2) 클라우드기반 JupyterHub 모델링 환경과 3) 모델 APIs 3개의 핵심 구성요소를 제시하고, 최근 미국에서 개발된SUMMA(Structure for Unifying Multiple Modeling Alternative) 수자원 모델에 적용하여 재현성 달성을 위한 3개의 핵심 구성요소의 필요성과 용이성을 검증하였다. 첫 번째, 데이터와 모델의 온라인 공유는 FAIR(Findable, Accessible, Interoperable, Reusable) 원칙으로 개발된 수자원분야의 대표적인 온라인 저장소인 HydroShare를 활용하여 모델입력자료를 메타데이터와 함께 공유하였다. 두 번째, HydroShare에서 Web App의 형태로 제공되는 클라우드기반 JupyterHub환경인 CUAHSI JupyterHub(CJH)와 일루노이대학에서 제공하는 CyberGIS-Jupyter for water JupyterHub(CJW)환경에 수자원모델링 환경을 컨테이너(Docker) 환경을 통해 구축·공유하였다. 마지막으로, 클라우드에서 수자원모델의 효율적 이용을 위해 Python기반의SUMMA모델 API인 pySUMMA를 개발·공유하였다. 이와같이 구축된 3개의 핵심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2015년 Water Resources Research에 게재된 SUMMA 논문의 9개 Test Cases 중에서 5개를 누구나 쉽게 재현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재현성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의 증가로 Open과 Transparent Hydrology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 클라우드 기반의 모델링 환경구축 및 제공이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HydroShare와 같은 온라인 저장소, CJH와 CJW와 같은 클라우드기반 모델링환경, 모델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모델 APIs는 급속도로 발달하고 있는 컴퓨터 및 소프트웨어 환경에서 핵심구성요소이며, 연구의 재현성 개선을 통해 수자원공학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 Efficient Consistency Model for Software Distributed Shared Memory Systems (소프트웨어 분산 공유메모리 시스템 상에서 효율적인 일관성 모델)

  • 김태규;홍영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a
    • /
    • pp.133-135
    • /
    • 1998
  • 분산 공유메모리 시스템(DSM)의 성능 향상을 위해 일관성 모델의 측면에서 많은여구가 진행되었다. 분산 공유메모리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가장 큰 요인은 거짓 공유 문제와 별도의 통신비용 문제를 들 수 있는데 , 동기화 연산에 의한 일관성 유지 방법, 흠-기반 접근방법 등의 보다 완화된 메모리 모델로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연구가 진행되어 왔고, 어느 정도 타당한 결과를 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동기화 연산에 의한 일관성 모델을 기초로 동적 흠-기반 접근 방법을 제안하며, 이것은 흠에서의 이점 및 부하를 여러 프로세서에게 분산시켜 시스템 전반의 성능 향상을 가져온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HLRC Protocol for Software Distributed Shared Memory System (소프트웨어 분산공유메모리 시스템을 위한 HLRC 프로토콜의 설계 및 구현)

  • 윤희철;이상권;이준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624-626
    • /
    • 2000
  • 통신 오버헤드 및 거짓 공유(false sharing)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어 분산공유메모리 시스템을 위한 다양한 메모리 모델등이 제안되었다. HLRC(Home based Lazy Release)[1]는 Keleher에 의해 제안된 LRC[2] 모델에 home 개념을 도입한 모델로서 최근의 소프트웨어 분산공유 메모리 시스템에서 널리 채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HLRC 모델을 기반으로 한 메모리 일관성 프로토콜의 설계, 구현, 그리고 성능 측정 결과에 관하여 기술한다.

  • PDF

Propose on Sharing Accommodation Service Model through Comparison Research (비교연구를 통한 새로운 공유숙박 서비스 모델 제안)

  • Xie Xuanna;Lee Sungpil
    • Journal of Service Research and Studies
    • /
    • v.11 no.3
    • /
    • pp.17-30
    • /
    • 2021
  • In the context of Sharing Accommodation has become a new type of accommodation choice for custom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existing defects of Sharing Accommodation Services through insight into the pain points of customer experience, so as to improve customer satisfaction. In this study, Airbnb and Tujia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for comparative study. By collecting and sorting out references, the research background of Sharing Accommodation is analyzed in depth. Research methods of Service Design, such as Customer Journey Map and Service Blueprint, are adopted to gain insight into customer needs, identify pain points and propose hypothesis of service optimization. Tools such as Kano Model and Potential Customer Satisfaction are used to test and determine three schemes for optimizing the service. Finally, the results are displayed through Service Scenario. The research results can help operators of Sharing Accommodation to identify and improve the elements of service and provide a higher quality customer experience, thus promoting the healthy development of Sharing Accommodation market.

Design of the Next Generation Information Sharing Model for Educational Contents (차세대 교육정보공유모델 설계)

  • Lee Jae-Won;Kang Yun-Hee;Choi Eun-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779-782
    • /
    • 2006
  • 21세기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수많은 정보가 다양한 곳에서 빠르게 생산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공유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외 교육정보공유모델을 분석하여 교육콘텐츠의 다각화, 맞춤형 정보서비스, 지능형 학습 에이젼트 등의 차세대 정보기술변화를 고려한 차세대 교육정보공유모델을 세 가지 측면에서 설계하였다. 설계된 모델은 능동적이고 사용자 중심의 교육정보공유모델을 구축을 위한 참조 모델로서 활용될 수 있다.

  • PDF

ObjectPeerWork : Framework for the Development of Peer-to-Peer Applications based on Shared Object Model (ObjectPeerWork : 공유 객체 모델 기반의 피어투피어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프레임워크)

  • Kang, Un-Gu;Wang, Chang-Jong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7 no.6
    • /
    • pp.630-640
    • /
    • 2001
  •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ObjectPeerWork, which is a framework for the development of shared object model-based P2P(Peer-to-Peer) applications. The shared object model can prevent the computing power decrease on the way of resource management by incorporating the resource management function into resources themselves, and raise reliability on shared resources by improving the security problems. Also this model assures expandability by means of distributed component-based request broker manager and module container. The ObjectPeerWork based on this shared object model is a framework which makes the implementation of the enterprise information system possible, and makes distribution of the computing power and efficient resource management possible by improving the weakness in the general P2P model.

  • PDF

Reproducibility Approach for Enhancing Accessibility of Deep Learning Models Using the Korea Research Data Commons (국가연구데이터커먼즈를 활용한 딥러닝 학습 모델 접근성 향상을 위한 재현 방안)

  • Sang-baek Lee;Dasol Kim;Sa-kwang Song;Minhee Cho;Mikyung Lee;Hyung-Jun Yi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311-313
    • /
    • 2023
  • 딥러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 사이에 딥러닝 모델의 적용 및 재현이 중요한 작업으로 자리잡았다. 하지만 모델을 재현하고 활용하는데 있어 다양한 환경과 자원의 한계가 발생하여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국가연구데이터커먼즈체계인 KRDC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딥러닝 학습 모델의 재현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딥러닝 연구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도 학습 모델의 적용 및 활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KRDC 프레임워크는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와 태스크를 정의하고, 워크플로우로 구성, 학습 모델의 재현 및 활용을 지원한다.

A Study on Optimization of Decision Tree based State Tying Model (결정트리 기반 상태공유 모텔 최적화에 관한 연구)

  • 한명희;이호준;김순협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3.11a
    • /
    • pp.17-20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공유 모델링의 대표적인 방법인 결정트리 기반 상태공유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그 출력 확률 분포의 혼합 가우시안 수를 줄임으로써 모델을 최적화하고자 하였다. 결정트리 기반의 상태공유 모델링은 일반적인 방법을 따랐으며 혼합 가우시안 수를 늘려 인식률이 최대가 되는 지점에서 혼합 가우시안을 클러스터링하여 그 수를 줄였다. 클러스터링 시에 필요한 거리 측정 방법이나 가까운 두 가우시안의 합성 방법을 여러 기법을 실험하였다. 이때 인식률은 클러스터링 이전인 97.2%를 유지하였으며 총 혼합 가우시안의 감소율은 1.0%를 보임으로써 모델을 최적화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