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유 결합

검색결과 560건 처리시간 0.029초

공간영역질의의 효율적인 연산 공유를 위한 질의영역 밀집도 기반의 그룹화 기법 (Grouping Method Based Query Range Density for Efficient Operation Sharing of Spatial Range Query)

  • 임정현;신숭선;백성하;이동욱;김경배;배해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48-351
    • /
    • 2009
  • 유비쿼터스 사회를 실현하는 핵심기술인 u-GIS 공간정보 기술은 데이터 스트림 처리 시스템(Data Stream Management System)과 지리정보 시스템(Geography Information System)이 결합된 플랫폼인 u-GIS DSMS를 요구한다. u-GIS DSMS는 GeoSeonsor에서 수집되는 센서 테이터와 GIS의 공간정보 데이터를 결합하여 처리하는 공간영역질의가 다수 요구된다. 이런 공간영역질의들은 특정 지역에 밀집하게 등록되는 경향이 있으며, 유사한 프리디킷을 가질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특징은 공간영역질의가 특정 지역에 밀집되면 다수의 비슷한 연산들이 반복적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시스템 성능이 저하 될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영역질의 색인기법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VCR-Index와 CQI-Index 기법은 질의영역을 셀 구조나 가상구조로 분할하여 처리하기 때문에 자원 및 연산을 공유 할 수 없어 질의 처리 속도가 현저히 저하되기 때문에 대량의 공간영역질의 처리에는 부적합하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공간영역질의의 효율적인 연산 공유를 위한 질의영역 밀집도 기반의 그룹화 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은 질의영역의 밀집도를 이용하여 공간영역질의들을 그룹화 후 색인을 구성한다. 색인된 영역들의 데이터는 단일 큐로 구성 후 질의들의 프리디킷을 분석하여 자원 및 연산 공유기법을 통해 기존의 기법보다 처리 속도 향상 및 메모리 사용을 감소시켰다.

분산 협업 환경에서의 콘텐츠 공유 모델 (Contents Sharing Model in Distributed Collaboration Environment)

  • 허혜정;이주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79-87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분산된 협업 환경을 통합하는 콘텐츠 공유 모델을 제안한다. 확장 가능한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자원, 로컬 및 원격 콘텐츠 공유, 다중 사용자 상호작용 및 접근제어 특성들을 통합하여 결합된 하나의 모델을 제공한다. 다중 사용자의 상호 작용은 모든 사용자가 상호 작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지만, 그로 인해 오버랩이 발생할 수 있다. 그 오버랩을 관리하기 위해 접근 제어를 모델에 적용했으나 작업 흐름의 방해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 두 가지 사항을 중점으로 모델을 평가하기 위해 상호작용성에 대한 이용자 연구를 실시했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제안된 콘텐츠 공유 모델은 상호작용과 그 흐름을 방해 하지 않아 작업에 집중할 수 있는 분산 협업 환경을 제공한다.

벤젠 이합체와 그 치환체의 양자역학을 통한 π-π interaction의 계산

  • 조지성
    • EDISON SW 활용 경진대회 논문집
    • /
    • 제3회(2014년)
    • /
    • pp.385-397
    • /
    • 2014
  • 신약을 개발하거나 단백질 구조를 예측하는데 Molecular Mechanics (MM)의 방법을 사용한다. 하지만, MM 만으로는 자연현상에서 일어나는 결과를 정확하게 기술하기 어렵다. 본 연구는 기존의 MM 방법으로는 정확히 예측이 불가능한 비 공유결합 중 하나인 ${\pi}-{\pi}$ interaction을 양자역학 계산을 통해 정확한 예측이 가능한지 보았다. ${\pi}-{\pi}$ interaction 이란 생체 내, 의약 화합물에서 발견되는 결합이기 때문에, 단백질과 결합하는 구조의 예측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실험은 ${\pi}-{\pi}$ interaction을 갖는 Sandwich, T shape, 그리고 Parallel displaced 세 가지 모형을 가지고 양자역학 계산을 수행하였다. 양자역학 계산은 DFT의 세가지 함수 M06_2X, M05_2X, B3LYP를 이용하였다. 실험결과에서 세 가지 함수가 각기 다른 결과를 보였는데, M06_2X의 결과에서 ${\pi}-{\pi}$ interaction을 더 정확하게 계산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양자역학의 방법을 통해 MM에서는 예측이 불가능한 ${\pi}-{\pi}$ interaction을 계산 할 수 있고 이 부분을 고려하여 화합물 간의 결합구조를 예측을 향상시킬 수 있다.

  • PDF

중학교 과학2 교과서에 서술된 이온 결합 화합물과 분자 내용이 요구하는 인지 수준 분석(제II보) (Analysis of the Level of Cognitive Demands about Concepts of Ionic Compounds and Molecule on Science 2 Textbooks in Junior High School (II))

  • 강순희;방담이;김선정
    • 대한화학회지
    • /
    • 제56권6호
    • /
    • pp.739-750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과학2' 교과서에 서술되어 있는 '이온 결합 화합물'과 '분자'에 대한 내용이 요구하는 인지 요구도를 분석하였다. 우리나라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의하여 처음으로 '이온 결합 화합물'과 '분자' 내용들을 중학교에서 다루게 되었다. 분석에 활용한 6종 과학 교과서에 서술된 내용이 어떠한 인지 수준을 요구하는 지를 알아내는 분석틀은 영국에서 개발된 Curriculum Analysis Taxonomy의 3종류 분석틀을 사용하였다. 이 3종류 분석틀에 의하여 분석한 '과학2' 교과서에 서술된 내용이 요구하는 인지 수준들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순물질과 혼합물'에 대해서 대부분의 교과서가 대부분 분류 포섭이나 분류 위계를 하고 있어서 후기 구체적 조작 수준이다. 그러나 모든 교과서가 혼합물 속에 들어 있는 각각의 순물질들이 본래의 성질을 잃지 않고 그 성질이 보존된다는 것을 알게 하고 있기 때문에 초기 형식적 조작 수준이다. 둘째, '이온 결합 화합물'과 '분자'에 대해서 교과서 모두 초기 형식적 조작 수준으로 판정되었다. 그 자체의 규칙을 따르는 가상의 계로부터 연역적인 비교를 통하여 실체를 간접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형식적 모델을 사용한다거나 또는 원자가 구조를 가진다는 것을 설명하기 때문에 형식적 조작 수준이다. 셋째, '이온 결합', '이온 결합 화합물', '화학식', '공유 결합', '공유 결합 화합물', '분자식' 등의 용어들을 사용하는 '과학2' 교과서가 많이 있었다. 이러한 용어들은 중학교 '과학3'에서도 그리고 고등학교 '과학'에서도 사용되지 않고 있으며 고등학교 '화학I'과 '화학II'에 가서야 사용되는 용어들이다.

오류 상호 인지 기능을 갖는 멀티미디어 공동 작업 환경을 위한 소프트웨어 구조 (A Software Architecture for a Multimedia Collaboration Work Environment with An Error Mutual Awareness Function)

  • 고응남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05-208
    • /
    • 2005
  • 상호 인지란 상호 작업 이해, 참여자 관계 설정 등 결합이라는 구현 기술을 말한다. 인지의 구현 방법에는 파일 공유, 윈도우 복사, 윈도우 오버레이, 또는 윈도우 공유 등이 있는 데 본 연구에서는 윈도우 오버레이 기능에 세션 제어, 발언권 제어 등을 추가한 윈도우 공유 방법을 기술한다. 본 논문에서는 오류 상호 인지 및 제어 기능이 있는 멀티미디어 공동 작업 환경에서의 소프트웨어 구조에 대하여 기술한다. 그 구조로는 분산 복제형 구조(CARV)이다. 분산 복제형 구조는 중앙 집중형 구조(CACV)와 복제형 구조(RARV) 두개의 장점을 취합한 형태이지만 복제형 구조처럼 완전한 대칭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지는 않다.

  • PDF

웹 기반 멀티미디어 공동 작업 환경에서 오류 상호 인지 및 제어 시스템 (An Error Mutual Awareness and Control System for a Web Based Multimedia Collaboration Work Environment)

  • 고응남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상)
    • /
    • pp.237-240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URL 동기화 기능을 갖는 멀티미디어 공동 작업 환경에서 오류 상호 인지 및 제어에 대하여 기술한다. 웹 기반 공동 작업 환경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들은 사용자의 명령, 또는 오류가 발생된 응용들을 제어 가능하며 상호 작용 가능하다. 상호 인지란 상호 작업 이해, 참여자 관계 설정 등 결합이라는 구현 기술을 말한다. 파일 공유, 윈도우 복사, 윈도우 오버레이, 또는 윈도우 공유 등 인지의 구현 방법이 있는데 웹 기반 멀티미디어 공동 작업 환경에서 오류 발생시 오류도 하나의 응용으로 취급하여 처리한다. 즉, 윈도우 오버레이 기능에 세션 제어, 발언권 제어 등을 추가한 윈도우 공유 방법을 제안한다.

  • PDF

2.1 GHz 대역 다중빔 이동위성통신 시스템과 이동통신 시스템간 주파수 공유 (Frequency Sharing between Multi-beam Mobile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2.1 GHz Band)

  • 정남호;김희욱;오대섭;구본준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102-107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2.1 GHz 대역 다중빔 이동위성통신 시스템과 이동통신 시스템간 간섭 시나리오를 분석하고, 두 시스템간 주파수 공유를 위한 간섭 평가 방법을 제시하였다. 최소결합손실 방법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이동위성통신 시스템으로의 간섭 및 이동위성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의 간섭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분석 결과로부터 두 시스템간의 동일 주파수 공유를 위한 이격 거리를 도출하였다.

산업 안전 서비스를 위한 IP-USN 기반 멀티미디어 공동 작업의 동적 오류 관리기 (A Dynamic Error Manager of Multimedia Collaboration Works based on IP-USN for Industry Safety Services)

  • 고응남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27-130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산업 안전 서비스를 위한 오류 상호 인지 및 제어 기능이 있는 IP-USN 기반의 멀티미디어 공동 작업 환경에서의 동적 오류 관리기에 대하여 기술한다. 산업 안전 서비스를 위한 동적 오류 관리를 위해서 상호 인지가 필요하다. 상호 인지란 상호 작업 이해, 참여자 관계 설정 등 결합이라는 구현 기술을 말한다. 인지의 구현 방법에는 파일 공유, 윈도우 복사, 윈도우 오버레이, 또는 윈도우 공유 등이 있다. 산업 안전 서비스를 위하여 윈도우 오버레이 기능에 세션 제어, 발언권 제어 등을 추가한 윈도우 공유 방법을 기술한다.

안드로이드 기반 상황 인지 플랫폼 (A Context-aware Platform based on Android)

  • 김바울;김경덕;김상욱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22-225
    • /
    • 2010
  • 휴대전화는 다양한 기술들이 융합되고 유비쿼터스 환경과 결합되면서 진화하고 있다. 이런 모바일 환경으로 인해 사용자의 상황을 인식하는 상황인식 기반 서비스들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사용자들은 그 상황을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보기를 원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사용자의 주변 상황을 인지하고 그 상황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컨텍스트폰 플랫폼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플랫폼은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의 주변 상황을 실시간으로 수집하며 사용자간 자동 상황 공유 메커니즘을 지원한다. 또한 사용자 연락처의 상황 수집과 컨텍스트폰 플랫폼간 논리적인 연결을 위해 컨텍스트 서버를 구축하였으며 서버는 사용자간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는 상황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간 상황 정보를 전달해 준다. 또한 플랫폼이 수집하는 상황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 컨텍스트 뷰어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였으며 모바일 스크린에 시각화하였다.

신뢰적인 개방형 공유 인증 프로토콜 프레임워크 (A Framework for Trustworthy Open Shared Authentication Protocol)

  • 박승철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8C권6호
    • /
    • pp.389-396
    • /
    • 2011
  • 최근 들어 현재의 인터넷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서비스 제공자 중심적인(service provider-centric) 고립형(isolated) 인증 모델의 사용자 편의성 부족, 고비용 구조, 그리고 프라이버시 보호 어려움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단일 사인온(single sign-on) 기반의 공유 인증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인증 제공자(authentication provider)의 인증 결과가 다수의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에 의해 공유되는 공유 인증(shared authentication) 모델이 실제 인터넷 환경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사용자, 서비스 제공자, 그리고 인증 제공자간의 인증 보증 수준(level of authentication assurance)과 인증 정보 보호 수준(level of authentication information protection)에 대한 신뢰가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은 사용자 중심적인(user-centric) 동작과 개방형 신뢰 제공자 네트워크(trust provider network)와 결합된 신뢰적이고 프라이버시 보호가 가능한 공유 인증 프로토콜에 대한 프레임워크를 제시한다. 제안된 공유 인증 프로토콜 프레임워크는 상호동작 가능한 개방형의 신뢰적인 인증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기존 공유 인증 연구들과 차별화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