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유교통서비스

Search Result 93,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Analy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ference on Shared Transport Service and the features of Rental Apartments (임대아파트 특성과 공유교통서비스 선호간의 관계 분석)

  • Shin, Doh Kyoum;Byun, Wanhee;Do, MyungSik;Kee, Ho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8 no.3
    • /
    • pp.14-33
    • /
    • 2019
  • MaaS, which provides all-in-one service for comfort mobility for customers, has been popularly researched and developed mainly in Europe. Even in Korea, the research on MaaS is also carried out which is fit to the mobility environment and needs of Korea. Korea Land & Housing Corporation(LH) also carries out research on MaaS called 'Integrated Mobility' for the residents living in LH public apartments. This study categorised the around 800 public apartments into 12 groups based on 3 key characteristics, then analysed the preference on shared-transport services by the residents of representing apartments for the each group using C&RT method. The results show that the preference on shared-transport services such as car-sharing and ride-sharing (carpool) were higher in the apartments which are located in medium or small cities or lived by the more handicapped resident groups in mobility such as the elderly. The study suggests the method to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s' preference on shared transport services and bounded ertain areas such as apartments or districts and then to introduce shared transport service fit to target areas.

Service Model Research of Bicycle-sharing based on Mobility-as-a-Service (MaaS) (MaaS(Mobility-as-a-Service)기반 공유자전거 서비스 모델연구)

  • Yang, Wang;Lee, Sung-pil
    • Journal of Service Research and Studies
    • /
    • v.9 no.4
    • /
    • pp.19-40
    • /
    • 2019
  • Mobility as a Service is a service conception to achieve the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Its aims to improve the travel experience. In one platform, it connects various transportation modes to offer service and users only need to pay in one time for the whole travel. But the single MaaS platform easily faces the problems such as low user traffic, low retention rate and the access to markets of the this service is still unfound. From the perspective of bicycle-sharing, this research makes the MaaS concept into bicycle-sharing to build a better service model. The bicycle-sharing combine with the MaaS concept is innovative in business model, travel model and service architecture. In addition, this research also tests users' expectations for service model. The research shows that MaaS-based bicycle-sharing could offer flexible and convenient travel experience in the aspects of combined transportation, travel, transfer and payment, and it also makes it possible to make travel services according to need, and sustainable transport.

Research on Service Design of the Sharing Taxi Safety For Female Passengers in their 20s and 30s (20-30대 여성 승객을 위한 공유택시 안전 서비스디자인 연구)

  • YIN, JINGJI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25-326
    • /
    • 2019
  • 서비스화(servitization)와 공유경제 패러다임이 확산되면서 서비스 산업에서도 IT기술을 융합시킨 다양한 형태의 새로운 비즈니스가 성공적으로 정착되고 있다. 특히 대중교통 서비스 산업에서 우버(Uber) 택시는 IT기술과 공유경제 개념을 절묘하게 접목시킨 새로운 차원의 성공적인 공유택시 비즈니스 모델로 자리매김하였고, IT기술을 적용한 교통예약 소프트웨어는 공유택시의 차별적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 공유택시 예약 프로그램은 택시이용자에게 신속하고 편리함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에너지 절약, 교통체증으로 인한 스트레스 완화 등의 많은 사회적 혜택과 이익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최근 중국에서는 보다 진보된 공유택시 예약 프로그램이 공유택시에 접목되면서 공유택시 이용객이 급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공유택시 차별화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소프트웨어 시장의 경쟁도 가속화 되고 있다. 그러나, 이용객을 대상으로 강력범죄 발생빈도 증가와 이로 인한 부정적인 여론의 급속한 확산은 공유택시 산업발전에 심각한 방해요인이 되고 있지만, 근본적인 해결방법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유택시 예약 프로그램에 이용객의 안전을 위한 컨텐츠 개발과 적용을 통해 공유택시 이용객의 불안해소와 공유택시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중국현지의 공유택시 이용객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며, 고객여정맵(CJM)과 Kano 분석을 통해 결과와 시사점을 도출할 계획이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raffic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Crowd Sourcing (크라우드 소싱 기반의 교통 정보 서비스 설계 및 구현)

  • Kim, Garam;Park, Dohun;Yoo, Jaesoo;Bok, Kyoung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2
    • /
    • pp.1-9
    • /
    • 2022
  • To provide real-time traffic conditions, crowd sourcing based traffic information services in which users directly report and share traffic conditions are being developed. However, the existing traffic information service provides limited traffic conditions because it only shares information reported by specific service participants. In this paper, we design and develop a crowd sourcing based traffic information service that provides real-time traffic conditions by collecting direct reports from users and public traffic conditions. The proposed service allows users to directly report traffic conditions by voice and text, and collects and integrates traffic conditions published by external organizations. The collected traffic conditions are provided in real time through a push service, and new traffic conditions are transmitted when the user's location changes. The proposed service can report traffic conditions and share real-time traffic conditions through an Android app.

VTS 데이터 공유를 위한 웹 서비스 설계

  • Kim, Ju-Yeong;Choe, Jung-Yong;Lee, Byeong-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128-129
    • /
    • 2013
  • e-Navigation의 도입에 따라, 선박 교통 정보의 대한 공유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선박 교통 관제 시스템인 VTS(Vessel Traffic Service) 시스템에서도 효율적인 관제와 e-Navigation에 도입에 따라 VTS 시스템간 데이터 공유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국제항로표지협회(IALA,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Marine Aids to Navigation and Lighthouse Authorities)에서는 VTS간 데이터 교환을 위한 표준 포맷인 IVEF(Inter VTS Exchange Format)을 제정하였다. IVEF는 XML 형태로 다양한 플랫폼에서 활용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VTS 시스템 간 데이터 교환을 위한 표준 포맷인 IVEF를 이용하여 VTS 시스템 간 데이터 공유를 위한 웹 서비스에 대해 설계하고, 이를 응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5G City Service Data Collecting and Sharing System (5G 기반의 스마트시티 서비스 데이터 수집 및 공유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Jang, Sooyoung;Han, Mik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10a
    • /
    • pp.21-23
    • /
    • 2019
  • 5G 기반의 스마트시티 서비스 데이터 수집 및 공유 시스템은 5G 융합서비스 플랫폼의 시스템컴포넌트로 설계 및 개발된 시스템이다. 본 시스템은 크게 데이터 수집 서브시스템, 데이터베이스 서브시스템, 및 데이터 공유 서브시스템 세 서브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범용성, 확장성, 유연성 및 개방성에 중점을 두고 설계 및 개발되었다.

VTS 관제구역 간 정보공유 활성화 필요성에 관한 연구

  • 박상원;정민지;박혜리;박한선;천민수;유윤자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11-12
    • /
    • 2022
  • 선박교통관제 기본계획에 따라, 우리나라는 '26년까지 전 연안해역에 관제구역을 설치하여 안전관리를 강화할 예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관제구역 사각지대를 없애고 연속적인 관제 실현을 위한 관제구역 간 정보공유 활성화의 필요성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연안해역을 대상으로 해상교통 및 해양사고조사를 통해 우리나라 연안해역의 해상교통환경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해상교통관제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VTS 센터 간 정보공유 현황을 조사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IALA에서 권고하고 있는 IVEF 서비스의 현황을 조사하고 정보공유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관제구역 간 정보공유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나아가 IALA 표준을 개정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Model of Location Referencing Systems for ITS (ITS용 위치참조체계의 모델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 최기주;이광섭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b
    • /
    • pp.191-191
    • /
    • 1998
  • ITS를 구성하는 서비스나 기능이 대부분 동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어, 앞으로는 이를 효율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공간데이터(Spatial Data)가 필요하다. 특히, 대부분의 ITS서비스와 기능이 정보의 신속한 전달을 위해서 유무선통신을 사용할 것이다. 또한, 최정 사용자서비스와 응용분야가 공간데이터라는 기본적인 정보를 공유하므로써 위치에 대한 정적·동적교통정보를 제공받게 된다. 정보사용자가 사용하는 공간데이터가 상이하다면, 정보의 공유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정확하게 제공되지 않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이러한 이유는 정보사용자가 자신들의 정보수집, 정보전달, 정보분석 등의 목적에 적합한 공간데이터를 제작하여 유지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정보의 공유를 위해서는 상이한 공간데이터들 간에 동일한 교통정보를 공유하도록 하는 조작이나 방법이 필요하다. 서로 다른 원본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통합하고 이를 ITS서비스와 기능을 위한 각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수준을 가지고 있는 공간데이터(수치지도 데이터)의 해상도, 위치정확도, 속성정확도, 정밀도, 범위 등과 같은 문제들이 최종 응용시스템에 적용되어져야 하고, 이를 통해 공간적인 위치와 수치지도를 구성하는 각종 엔터티가 참조되어야 할 것이다. 이뿐 아니라, 향후 데이터 공유의 방법에 있어서도, 각종 무선통신의 발달과 인터넷과 같은 정보전달매체의 대중화가 이루어짐에 따라, 정보의 공유가 동시적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기관주도로 제작된 전국범위의 수치지도를 하여, ITS용 네트워크데이터구성을 위한 기능분석과 사양을 제시를 함으로써, 이에 대한 프로파일 개발한다. 정보공유를 위한 위치참조모델(LRM)과 프로파일을 ITS데이터에 적용함으로써, 위치참조모델의 기능과 적용성을 평가한다.키기 위한 향후의 연구과제를 제시한다.Si결정의 크기를 비교하였을 때 45$\mu\textrm{m}$ 이하의 분말을 섞어 압출하였을 때 가장 작은 초정 Si입자 크기를 얻음 을 볼 수 있었다. 주의 Fairfax County에 소재한 주간 고속도로 66번(I-66)과 인접 교통망의 교통자료를 사용하여 각종 돌발교통 혼잡 상황을 전제로 한 Traffic Simulation과 정보제공시나\리오를 INTEGRATION Model을 이용해 실행하였다. 그 결과 적응형 알고리즘이 개개인의 최단시간 경로를 제공하는 사용자 평형 경로안내전략에 비해 교통혼잡도와 정체시간의 체류정도에 따라 3%에서 10%까지 전체통행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출발참, 구성대외개방선면축심, 실현국제항선적함접화국내항반적전항, 형성다축심복사식항선망; 가강기장건설, 개피포동제이국제기장건설, 괄응포동개발경제발전적수요. 부화개시일은 각 5월 26일과 5월 22일이었다. 11. 6월 중순에 애벌레를 대상으로 처리한 Phenthoate EC가 96.38%의 방제가로 약효가 가장 우수하였고 3월중순 및 4월중순 월동후 암컷을 대상으로 처리한 Machine oil, Phenthoate EC 및 Trichlorfon WP는 비교적 약효가 낮았다.>$^{\circ}$E/$\leq$30$^{\circ}$NW 단열군이 연구지역 내에서 지하수 유동성이 가장 높은 단열군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사실은 3개 시추공을 대상으로 실시한 시추공 내 물리검층과 정압주입시험에서도 확인된다.. It was resulted from increase of weight of single cocoon. "Manta"2.5ppm produced 22.2kg of cocoon. It

  • PDF

자율주행 대중교통 공공성 확보를 위한 쟁점과 개선방향

  • Kim, Gyu-Ok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24 no.1
    • /
    • pp.73-83
    • /
    • 2019
  • 현재 자율주행 셔틀, 택시, 공유 차량을 이용한 교통서비스제공의 실현 가능성을 검증하는 단계에 있으며, 세계 각국에서는 자율주행 셔틀을 활용한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실증을 경쟁적으로 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자율주행 셔틀 기술 개발과 실증 현황을 소개하고 대중교통 분야에 적용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을 검토하여 서비스제공 측면, 자율주행 기술과 안전성 확보 측면, 인프라 확충 측면, 수용성 개선 측면의 쟁점을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쟁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과 정책 제언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