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원사

검색결과 235건 처리시간 0.022초

인터뷰 - 안양예술공원으로 보는 지역건축에 대해서 최승원 건축사 _ 앙가주망 건축사사무소 (Interview - About the local architecture seen from Anyang Art Park _ Architect Choi, Seungwon)

  • 장영호
    • 건축사
    • /
    • 통권589호
    • /
    • pp.126-141
    • /
    • 2018
  • 안양공공예술프로젝트(APAP)는 한국에서 가장 성공적인 공공예술사업으로 손꼽힌다. 낙후된 유원지와 중소 도시 도심에 예술조형물로 활력을 불어넣고, 우수한 국내외 작가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해 도시의 격을 높여 시민의 자산으로 정착됐다는 평가를 받는다. 서울시의 도시 게릴라 프로젝트나 광주 비엔날레의 도심 조형물 설치 작업인 '폴리 프로젝트'가 벤츠마킹한 대상이 되기도 했다. APAP는 2005년 만안구 안양유원지를 정비해 예술공원으로 조성하는 것으로 시작돼 2007년에는 이를 도시공원화 작업으로 확대하며 평촌 일대에 공공조형물이 조성됐다. 2010년에는 골목 안으로 들어가 주민들과 함께 공동체 복원을 위한 프로젝트로 진행됐다. 특히 안양예술공원 안에 있는 안양 파빌리온(구 알바로 시자 홀)은 포르투갈 출신의 세계적인 건축사 알바로 시자(1992년 프리츠커상 수상)가 설계한 작품이다.(그는 이 작품에 이어 파주출판단지에 '미메시스 아트 뮤지엄'을 만든다.) 당연히 안양시 차원에서 추진된 공공예술사업에는 건축사 등 많은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최승원 건축사는 "지방건축발전에 기회가 오면 건축사가 적극 자문하여야 지방다운 건축이 살아나고 꽃피울 수 있다"고 강조한다. APAP 초창기부터 참여해 역할을 해온 최승원 건축사에게 안양예술공원으로 보는 지역건축에 대해 들어봤다.

  • PDF

세계의 국립공원-북미의 국립공원

  • 한국자연공원협회
    • 공원문화
    • /
    • 통권68호
    • /
    • pp.135-142
    • /
    • 1997
  • 본 란은 독자 및 회원 여러분들의 요청에 따라 각국의 국립공원을 대륙별로 발달사.관리체계 등을 시리즈로 소개합니다.

  • PDF

공원 사인 디자인 체계 분석 및 제안 (Analysis and a Proposal of a Framework for Park's Sign Design)

  • 박은영;박영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207-216
    • /
    • 2009
  • 주 5일제의 영향은 여가시간 증가로 인한 가족 유대관계 향상이라는 결과를 가져왔다. 가족 간의 친밀함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 중에서 놀이공원의 방문이 많이 애용되고 있으며 특히 공적공원의 관람은 저렴한 가격으로 서민들이 쉽게 찾을 수 있는 점 이외에도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관람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법의 일환인 사인디자인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넓은 공간에서 동선을 고려하지 않은 안내표지판의 배치, 주변 환경의 조화를 고려하지 않은 사인들, 전체 공원 안내사인 디자인의 일관성 부족 등 공적공원의 특성을 제대로 살리지 못하는 문제를 중심으로 사인디자인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서 국내외의 대표적인 공공원과 사공원을 분석하여 그 문제점을 도출한 후 사인의 종류를 분류하였으며 사인의 종류에 따른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나아가서 공원 방문객의 편리성 및 공원사인에 대한 사용성과 사인디자인에 관한 기대요소를 선정하여 평가함으로써 제안하는 디자인의 객관성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각 공원의 특성에 따른 각 사인 체계의 사용성 및 사용자 요구도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기대치에 부응 할 수 있는 공적공원 및 사적공원이 나아가야 할 사인체계의 디자인 방안을 제안하였다.

내장산 집단민원

  • 한국자연공원협회
    • 공원문화
    • /
    • 통권41호
    • /
    • pp.23-27
    • /
    • 1988
  • 1967년 우리나라에 국립공원제도가 도입실시된 이래 20년동안 전국의 국립공원은 주무부처인 건설장관으로부터 각시.도지사가 관리권을 위임받아 해당 시장.군수에 의해 실질적으로 관리돼 왔었다. 1970.9.9 설악산, 1980.8.8. 내장산 그밖의 자연공원에 케이블카가 시설된것도 잘아는 일, 또한 탐방객이 많은 공원일수록, 심지어 대가람의 코밑에까지 집단시설등 용도지구가 설계되고 용돼 왔다. 내장산의 내장사 지구의 경우는 12년전 관리소에서 2.7km 떨어진 아래로 집단시설지역을 변경, 강제이주시킨후 그자리에 "케블카" 를 시설했고, 철거된 잔디녹지가 음성적인 상가로 둔갑되어가도 관리소로선 잡상근절책을 세우지 못한채 작년 8월 국립공원관리공단에 인도됐다. 이와 같이 대부분의 공단관리소들은 지자단분가 물려준 어려운 숙제를 넘겨받아 큰시련을 겪고 있다. 그당시는 심묵또는 양해가 됐던 똑 같은 문제도 공단이 관리를 맡은이후 부터는 몹시 따갑게 비판해 오고 있다. 사사건건제동을 걸고 있는듯 하기고 하고 어차피 해결해야할 문제들도 많아 노출된 것부터 하나하나 단편적일지라도 파고들어 소리의 진의를 듣고 냉정한 대비책을 세워야 한다고 본다.

  • PDF

계룡산국립공원의 탐방패턴 (Visiting Pattern is Kyeryongsan National Park)

  • 이준우;권태호;최송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41-346
    • /
    • 2001
  • 계룡산국립공원의 탐방객 수는 매년 조금씩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천제 탐방객 중 56.4%가 접근성이 용이한 동학사지구로 탐방하고 있었다. 이용이 가장 많은 기간 중 일요일에 4개의 매표소를 기준으로 정상을 향한 등반비율을 각각 갑사매표소(72.2%), 천장(47.7%), 동학사(30.6%), 신원사(6.9%)의 순으로 조사되었으며, 나머지는 등반하지 않고 매표소 근처만을 탐방한 후에 되돌아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계룡산국립공원의 탐방패턴은 지역별, 요일별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