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업지역

Search Result 813,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바람의 강도에 따른 강하먼지와 불용성 성분의 조성 특성

  • 김유근;박종길;문덕환;황용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1.05a
    • /
    • pp.42-45
    • /
    • 2001
  • 연안도시인 부산에서 상업지역을 제외하면, 모든 지역에서 북풍계열의 바람이 우세하였으며, 풍속의 빈도분포는 l~3 $^{m}/_{s}$에서 상업지역, 공업지역, 해안지역 그리고 농업지역순으로 높은 빈도를 보였으나, 또한 지역별 평균풍속과 최대풍속은 해안지역, 상업지역, 농업지역 그리고 공업지역 순으로 관측되어 공업지역의 경우 국지적인 영향이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지각농축계수는 토양기원인 Ca, K, Si는 1.0 이하의 분포를 보였으나, Cd, Cu, Pb 그리고 Zn은 10 이상의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Pb는 공업지역, 해안지역, 상업지역 그리고 농업지역 순으로 조사되었다.

  • PDF

A study on estimation of the unit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from the industrial site (공업지역의 비점오염원 원단위산정에 관한 연구)

  • Shon, Tae-Suk;Jang, Jong-Kyoung;Lee, Sang-Do;Ju, Dong-Jin;Shin, Hyun-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947-951
    • /
    • 2010
  • 본 연구는 강우시 A 공업단지와 B 농공단지의 공업지역에서 통계적인 오염물질 농도와 오염물질 특성을 찾아내기 위하여 모니터링 및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강우유출수 조사방법에 따른 원단위 산정을 위하여 유량가중평균농도(EMC)산정, 강우계급별 유량가중평균농도를 산정하였으며, 공업지역의 대표 유량가중평균농도(EMCz) 산정, 유출율을 산정하였으며, 앞에 산정한 자료를 이용하여 선정한 공업지역 원단위를 산정하여 기존 원단위 값과 비교분석 하였다. 이렇게 산출된 자료는 공업지역 비점오염원 최적관리를 위한 과학적 근거자료 제공 및 기초자료서의 활용, 모니터링을 통한 공업지역의 비점오염원의 관리대책 및 낙동강 수질개선을 위한 정책자료에 관한 기초자료 제공, 국내 실정에 부합하는 최적 비점오염원 저감시설의 설치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중화학공업부문의 업종별 생산 규모의 지역배분에 관한 연구

  • Yoon, Sang
    • Journal of the Korean Operations Research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 /
    • v.3 no.1
    • /
    • pp.49-54
    • /
    • 1978
  • 과거 우리나라 경제의 지속적인 고도성장을 주도해온 공업부문은 중화학공업부문의 확대로 오는 80년대에도 공업부문의 성장은 계속될 것으로 본다. 이에따라 공업용지와 용수의 급격한 증가가 예상되는 반면에 국사의 유한성 특히 경제용지 공업용지 조성가능지역의 제한성으로 공업용지와 공업용수의 공급면에서 많은 문제점이 나타날 것으로 본다. 그러므로 앞으로의 과제는 인구분산, 균형적인 지역개발등 지역개발을 중심으로한 경제개발계획수립이 요청되는 바 본 논문은 특히 공업용지와 공업용수의 종합적 이용을 기하기 위하여 한정된 자원의 합리적 배분을 지역공간적인 차원에서 다루어 보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도 L.P기법의 수학적이고 이론적인 해석은 생략하고 다만 L.P기법에 의한 지역계획수립에 적용한 실험을 토대로 하여 이 기법의 적용방법에 한하였으며, 앞으로 지역통계 자료의 보완과 더불어 좀더 수증적인 분석이 될 수 있겠끔 발전 보완시키고자 한다.

  • PDF

Chang in the Small Boat Building Industry: the Case of the Lake Washington Ship Canal (소규모 boat공업의 입지에 관한 연구 : Seattle 의 Washington 운하지역의 경우)

  • Lim, Yeong Dae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24
    • /
    • pp.1-18
    • /
    • 1981
  • 본 연구는 미국에서 boat공업의 중심지 중의 하나인 Seattle의 boat 공업의 입지와 그 변화를 고찰하므로서 소기업의 입지를 구명하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Seattle에서 소규모 boat제조업체가 가장 많이 집중한 Washington호와 Shilshole 만간의 운하지역을 연구지역으로 선정하려 이 지역내에 입지하고 있는 boat 제조업체의 기업주와 interview한 결과를 기본자료로 이용하였다. 이상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연구지역의 소규모 boat 공업은 boat제조에 흥미와 능력을 가진 기업가들이 boat 공업에 유리한 Seattle의 환경의 영향을 받아 그들의 기업을 그들의 오랜 거주 지역에서 시작하므로서 발생하게 되었다. 그러나 담수를 지향하는 이 공업의 입지상의 특색, 원료공급처와 제품판매처의 위치, 주위의 지형 그리고 지방정부의 정책에 기인하여 이 공업은 Chittenden Locks와 Portage 만간의 운하지역에 그 입지가 국한되었다. 다시 이 지역내에서는 주위의 지형과 토지이용, 기업의 재정적인 능력 때문에 이 운하지역에 연해있는 기존공장 혹은 건물을 이용하여 입지하게 되었다. 입지후에 이 공업은 원료공급처와 제품판매처와의 강한 linkage를 형성하고 있다. 더구나 원료공급처의 희소성에 기인한 공간적 독점과 소비자 및 제품의 특성 때문에 연구지역의 대부분의 소규모 boat 제조업체는 바로 근처에 있는 원료공급처 및 소비자와 긴밀한 contact를 하고 있고 이러한 contact를 통하여 그들의 입지를 존속시키고 있다. 한편 Seattle 이 가지고 있는 boat 공업에 유리한 기업환경의 덕택으로 이들 소규모 boat 제조업체들은 수요의 계절적인 변동에서 초래되는 노동력의 공급 때문에 곤란을 받을 뿐 장기적인 불황에 직면한 적은 없다. 이리하여 이들 업체들은 이러한 계절적인 변동에 대처하기 위해 생산 input 의 조절, 주위의 기존공장이나 건물의 병합을 통한 연속적인 확장 혹은 그들의 action space 내에 있는 기존공장이나 건물을 이용한 이동등과 같은 입지변화를 보여왔을 뿐이다. 이리하여 연구지역의 소규모 boat공업은 Seattle의 경제 system 내의 주요 subsystem의 하나로서 활발히 움직이고 있다. 그러나 만약 기업의 외부환경에서 초래되는 stress, 즉 주민의 소득저하, 타 recreation 산업이 쇠퇴하게 되면 이 공업 또한 쇠퇴될 것이다. 요컨대 담수 지향성과 관련된 입지상의 특색을 제외하고는 연구지역의 소규모 boat 공업은 타 소규모 공업과 동일한 입지상의 특색을 가지고 있다.

  • PDF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Pollutants from the Industrized Area (공업지역의 비점오염원 강우 유출 특성)

  • Kim, Min Ji;Song, Inhong;Park, Chang Eon;Jun, Sang Min;Park, Jihoon;Kim, Da Rae;Kang, Moon 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15-415
    • /
    • 2015
  • 공업지역의 경우 비점오염원의 유출원단위가 타 토지이용보다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고, 불투수면의 비율이 높아 강우 초기에 오염물질이 다량으로 유출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공업지역의 비점오염원 유출 특성을 파악하고 저감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강우 유출수에 대한 장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업지역을 대상으로 강우 발생에 따른 유출량 및 수질을 조사하여 비점오염원의 배출 특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지역은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의 위치한 공업지역 3지점으로 선정하였다. 비점 유출 조사는 초음파 유량계와 자동채수기를 이용하여 2014년 강우시에 지점별로 7회씩 총 21회를 실시하였다. 유출특성 조사를 위해 집수구역면적, 선행무강우일수, 총강우량, 강우지속시간, 유출지속시간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총유출량과 유출고, 유출률, 강우강도 등을 산정하였다. 강우유출수 샘플링은 국립환경과학원의 '강우 유출수 조사방법'에서 제시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수질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BOD_5$, $COD_{Mn}$, TOC, SS, TN, TP 총 6가지 항목에 대한 EMC를 산정하고 강우특성과 연계하여 분석하였다. 모니터링 결과 항목별 EMC 평균(범위)은 $BOD_5$ 2.2 (0.8~5.1) mg/L, $COD_{Mn}$ 4.0 (1.2~8.6) mg/L, TOC 5.4 (1.7~15.7) mg/L, SS 20.9 (2.0~88.9) mg/L, TN 2.4 (0.1~5.8) mg/L, TP 0.2 (0.0~0.9) mg/L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업지역 비점오염 원단위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Corporate Demands Analyses of Pilot Projects for the Industrial Area Revitalization: Focused on Busan Sasang Industrial Area (공업지역 활성화 시범사업에 대한 입주기업 요구사항 분석: 부산 사상공업지역을 중심으로)

  • Lee, Man-Hyung;An, Yun-Sang;Jeon, Byeong-Y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2 no.6
    • /
    • pp.127-139
    • /
    • 2021
  • This study investigates business demands for firms operating in the Busan Sasang Industrial Area for the proposed knowledge-industry innovation base. Diverse improvement arrangements are proposed for revitalization of the industrial area. For these purpose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examination of physical conditions and enterprise demands among firm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judging from the examination of physical conditions, the study area has presented a lower rate of roads and smaller individual lots of land, which would contribute to a worsening business environment for small business owners. Secondly, business request for industrial-area innovation, pilot project needs, and expected impacts demonstrated higher scores. Thirdly, an absolute majority of firms strongly supported the proposed knowledge-industry innovation base and requested an R&D center as the first anchor facility. Based on these findings, guidelines are proposed for an institutional rearrangement plan. First of all, specific field surveys dealing with networking issues and industrial dominance should be immediately carried out. In addition, the proposed knowledge-industry innovation base should be equipped with significant power of influence for the adjacent industrial areas. Lastly, major stakeholders should upgrade the cooperative mechanism for innovative change in the regional industrial complex.

A Study on Effectiveness of Air Pollution Monitoring System in Ulsan Area (울산지역의 대기환경 측정망 배치에 대한 효율성 분석)

  • 정광륜;이병규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11a
    • /
    • pp.132-133
    • /
    • 2000
  • 2000년 현재 울산지역에는 대기질 상태를 측정하고 있는 11개의 일반 대기환경 측정망이 있다. 각 측정소별 특징을 살펴보면 개운동, 여천동, 화산리, 원산리 측정소는 공업지역에 위치해 있으며, 상업지역에는 성남동 및 무거동 측정소, 그리고 야음동, 상남리, 신정동, 덕신리 및 대송동 측정소는 주거지역에 위치해 있다. 울산지역에는 1978년도를 시작으로 80년대, 그리고 90년대 중반까지 주로 공업지역을 위주로 대기환경측정망을 배치시켜 왔다. (중략)

  • PDF

경산시 지하수의 오염특성

  • 송성숙;박병윤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290-293
    • /
    • 2004
  • 경산시 지역의 지하수를 분석한 결과 pH는 5.2~8.3, COD는 0~l.6 mg/$\ell$, ${NH_4}^{+}$-N은 0~6.30 mg/$\ell$의 범위로 나타났다. 특히 ${NH_4}^{+}$/-N은 전체 채수 지역 중에서 86 % 정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나 상당 지역이 분뇨, 하수, 폐수, 비료 등으로 오염되어 있었다. 또한 가정하수, 분뇨오수 등의 인위적 오염원과 관계가 있는 Cl도 상당히 검출되었다. 지하수의 깊이에 따른 각 성분을 분석한 결과 DO는 150m이하에서 7.9 mg/${\ell}$, 150m이상에서 8.1 mg/${\ell}$로서 역시 깊이별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COD, ${NH_4}^{+}$/-N, ${NO_3}^{-}$/-N, ${NO_2}^{-}$/-N, T-N도 지표면에 가까운 150m이하 지하수에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토지 이용별 지하수질의 특성을 비교해 본 결과 DO는 공업지역에서 비교적 낮게 나타났으며, COD는 공업지역에서 평균 농도가 0.6 mg/${\ell}$로서 주거 및 상업지역 0.3 mg/${\ell}$, 농촌지역 0.5 mg/${\ell}$보다 비교적 높았다. 질소성분인 ${NH_4}^{+}$/-N, ${NO_2}^{-}$/-N, T-N 등은 주거 및 상업지역에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총질소의 경우 주거 및 상업지역의 평균이 7.35 mg/${\ell}$로써 공업지역 4.05 mg/${\ell}$, 농촌지역 5.31 mg/${\ell}$보다 매우 높게 나타났다.

  • PDF

소음 및 진동 방지대책

  • Korea Tire Manufacturers Association
    • The tire
    • /
    • s.80
    • /
    • pp.41-45
    • /
    • 1979
  • 편집자주 : 일반적으로 공해중에서도 가장 심한 것이 소음과 진동문제로 생각된다. 고무공업에 있어서의 소음과 진동은 지산업에 비해 다소 적다고 한다. 용도지역별로 보면 지산업과 마찬가지고 거주지역과 준공업지역에서 압도적으로 많다고 한다. 한편 최근에는 저주파진동(공기진동)까지도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한다. 본고는 일본 석천도방음공업(주)의 연구논문에거 발췌한 것으로, 특히 고무공장의 공해문제대책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