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식

Search Result 2,962,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Comparison of Sediment Transport Formulas in KU-RLMS Model in the Han River Downstream Area (한강하류부에서 KU-RLMS 모형의 유사량공식 비교)

  • Lee, Nam-Joo;Lee, Sam-Hee;Park, Su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48-348
    • /
    • 2011
  • 신곡수중보와 전류수위표 사이의 한강 하류부는 홍수기에는 침식에 의한 하상저하가 지배적이고, 비홍수기는 조석에 의해 하류로부터 유입된 부유사의 퇴적으로 인한 하상상승이 지배적인 지역이다. 본 연구는 평면 이차원 하상변동 예측모형인 KU-RLMS 모형을 적용하여 한강 하류부의 지형변화를 예측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KU-RLMS 모형에 포함되어 있던 van Rijn 공식, Ackers-White 공식, Engelund-Hansen 공식 이외에 Colby 공식, Ranga Raju 공식, Shen-Hung 공식, Yang(1973) 공식, Yang(1979) 공식을 추가도 도입하고, 각 공식에 의한 하상변동 예측결과를 실측치와 비교하였다. 이 공식들 중에서 Colby 공식, Ranga Raju 공식, Shen-Hung 공식, Yang(1973) 공식, 그리고 Yang(1979) 공식에 의하면 하상변동이 과도하게 발생하였으며, 특히 과도한 퇴적이 유발됨에 따라 흐름모형이 발산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공식을 한강 하구부에 적용하는 것은 부적당하다고 판단된다. 유사량 공식 적용의 타당성을 검토한 결과, 대상 구간에 대해 van Rijn 공식과 Engelund-Hansen 공식의 사용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측 결과와 비교할 때 어느 공식이 적합하다고 판단하기는 어려우며, 향후 보다 엄밀하게 비교할 필요가 있다.

  • PDF

A Comparative Evaluation of Bridge Pier Scour Formulas (교각 국소 세굴 예측 공식들의 비교 평가)

  • Yu, Kwon-Kyu;Shim, Bong-Joo;Yoon, Byu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378-382
    • /
    • 2007
  • 본 연구는 교각의 국부 세굴심 추정 공식들의 정확성과 적용성을 분석하고, 현장 상황에 적합한 공식을 선정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비교적 널리 알려진 26개의 세굴심 추정 공식들을 선정하였다. 이들 선정된 공식들을 미 지질조사국에서 작성한 교각 세굴 데이터베이스(BSDMS)에 수록된 493개 교각 세굴 측정값들 중에 246개의 측정값들에 적용하여 각 공식들의 우열을 검토하였다. 각 공식들을 이용하여 계산한 세굴심과 측정 세굴심을 비교하여 각 자료별 불일치율을 계산하였다. 계산된 불일치율을 통계 처리하여 불일치율의 기하 평균과 기하 표준편차를 구하여, 각 공식의 우수성과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각 공식들을 구성하는 주요 변수들을 분석하고, 각 변수의 변화에 따라 세굴심 추정치가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모든 공식들의 불일치율의 기하 평균이 1보다 상당히 큰 것을 보여주고 있다. 즉, 모든 공식들이 실측치보다 세굴심을 과대 추정한다는 의미이다. 정확성의 면에서 보면 불일치율의 기하 평균이 1에 가깝고 기하 표준편차가 작은 공식들이 우수한 공식들이다. 이런 점에서 CSU (HEC-18) 공식, Chitale 공식과 Larras 공식, Hancu 공식 등이 차례로 우수한 공식으로 들 수 있다. 연구 결과는 또한 기존의 여러 연구에서 좋은 결과를 보인 Froeclich 공식이 세굴심을 대체적으로 과소 추정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 주었다.

  • PDF

Study for Evaluation of Discharge and Sediment Considering of Characterastics of River Basin (하천 유역 특성을 고려한 유량 및 유사량 산정에 관한 연구)

  • Shin, Han-Man;Choi, Gye-Woon;Kim, Gwang-Nam;Jung, Jae-Kw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47-347
    • /
    • 2011
  • 하천에서의 유사량의 추정은 하천유사 해결을 위한 자료획득이 기본이고, 하천내의 수리구조물의 설계 및 유지관리, 하천개수 및 하도의 안정, 홍수터 관리, 저수지의 설계 및 운영 등 하천계획에 필요한 기본적 요소 중 하나이다. 유사량을 추정하는 방법은 Einstein(1950) 공식이나 Toffaleti(1968) 공식 등과 같은 하천 유사량 공식을 이용한 간접적인 계산방법과 현장 실측을 통한 직접적인 방법이 있다. 그러나 유사량 공식을 이용한 추정은 아직도 그 신뢰성이 떨어지며, 대부분의 기존 유사량 공식들이 하상토 유사량을 위주로 추정하여, 소류사가 지배적인 경우에는 이런 공식들을 이용하여도 어느 정도 신뢰성이 확보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나, 부유사가 지배적인 하천의 경우 정확도가 많이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현재까지 가장 신뢰할 수 있는 방법은 현장실측에 의한 방법이며, 유사량 공식은 부득이한 경우에만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측 유사량 산정을 위하여 하천 규모에 따라 구분하였으며, 국가하천인 경우 임진강을 대상으로 민간인 출입이 가능한 구간(L = 84.5km), 중소규모하천인 경우 안성천 수계의 황구지천과 인천의 계양천을 대상으로 하였고, 임진강의 경우에는 부유사의 대부분이 이토나 점토로 구성되어 있고 중 상류에서 하상재료의 구성이 대체로 호박돌이나 암반으로 이루어진 부분이 많아 주로 모래로 이루어진 충적하천에서 이용되는 수정 Einstein(1955) 방법에 의한 총 유사랑 추정은 의미가 없기 때문에(한국건설기술연구원, 1992) 본 조사에서는 임진강의 총유사량을 부유사양으로 간주하였으며 다른 유사량 공식을 이용한 부유사량과 비교를 통하여 공식을 제안하였다. 유사량 측정은 하천별로 2007년부터 2009년까지 평수기와 홍수기로 구분하여 측정하였으며, 수리량과 하상토자료를 이용하여 종유사량을 산정하는 Einstein(1950) 공식, Rijn(1984) 공식, Toffaleti(1968) 공식, Shen & Hung(1971) 공식, Yang(1973) 공식, Yang(1979)공식, Ackers & White(1973) 공식, Engelud & Hansen(1967) 공식, Ranga Raju(1981) 공식을 이용하여 결과 값을 비교하였다.

  • PDF

Informal Communication in Research Activities (연구활동에 있어서의 비공식 커뮤니케이션)

  • Sakong, Bok 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1 no.1
    • /
    • pp.127-145
    • /
    • 1984
  • The purpose of the present paper is (1) to clarify the significance and the role of informal communication in research activities, (2)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Invisible College, the social organization for informal communication, and its effect on research activities and (3) to pay consideration to formalization of informal communication systems. To comprehend all the things is necessary to improve information services.

  • PDF

The Application of New Pile Driving Formulas (새로운 항타공식의 적용)

  • 조천환;이명환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17 no.5
    • /
    • pp.157-164
    • /
    • 2001
  • 말뚝의 항타공식(또는 동적공식)은 간단하고 품질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실용적인 방법으로 이용되어 왔지만 신뢰도는 가정조건의 문제점으로 인해 매우 낮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실제적으로 동적공식은 항타시스템 및 항타과정 측면에서 보면 근본적으로 문제가 있는데, 그간의 많은 연구들은 이러한 사실을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루어 졌다. 본 연구에서는 동적공식의 문제점에 대해 평가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동적공식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현장에서 항타분석기로 실측된 항타시 및 항타후 시험자료를 이용하여 새로운 동적공식의 신뢰도와 적용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새로운 동적공식의 실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Theoretical Backgrounds of Basin Concentration Time and Storage Coefficient and Their Empirical Formula (유역 집중시간 및 저류상수의 이론적 배경과 경험식)

  • Lee, Jiho;Yoo, Chulsang;Sin, Jiye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6 no.2
    • /
    • pp.155-169
    • /
    • 2013
  • This study proposes proper forms of empirical formulas for the concentration time and storage coefficient based on their theoretical backgrounds and evaluates several existing empirical formulas by comparing them with the formula proposed in this study. Additionally, empirical formulas for the concentration time and storage coefficient of the Chungju Dam basin were derived using the forms proposed by considering their theoretical backgrounds, and compared with exiting empirical formulas. The results deriv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concentration time of a basin is proportional to the square of the main channel length, but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channel slope, as the flood flow is generally turbulent. (2) The storage coefficient is proportional to the concentration time. (3) The comparison results with existing empirical formulas for the concentration time indicates that the empirical formulas like the Kirpich, Kraven (I), Kraven (II), California DoT, Kerby, SCS, and Morgali & Linsley are in line with the form proposed in this study. Among existing empirical formulas for the storage coefficient, the Clak, Russell, Sabol and Jung are found to be well matched to this study. (4) The application results to Chungju Dam basin indicates that among empirical formulas for the concentration time, the Jung, Yoon, Kraven (I), and Kraven (II) show relatively similar results to the observed in this study, but the Rziha shows abnormal results. Among the empirical formulas for the storage coefficient, the Yoon and Hong, Jung, Lee, and Yoon show somewhat reasonable results, but the Sabol shows abnormal results. In conclusion, the empirical formulas for the concentration time and storage coefficient developed in Korea are found to reflect the basin characteristics of Korea better.

A Study on Satisfaction of Service by the Models of Informal-formal Resources Linkages for Long-term Care Elder (장기요양대상노인의 비공식적·공식적 자원연계 유형에 따른 서비스 만족도 연구)

  • Kim, Geum-Yeol
    • 한국노년학
    • /
    • v.30 no.4
    • /
    • pp.1027-1044
    • /
    • 2010
  •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 system for providing services for long-term care elders, despite the expansion of formal care, informal care still is needed. Thus, this study's purpose is to classify the informal-formal resources linkages types of long-term care elders and looks into service satisfaction by these types and discover effective informal-formal resources linkages models. For that, this study is to divide informal-formal resources linkages types by the degree of providing services of informal and formal caregivers and discover the informal-formal resources linkages types using cluster analysis and explores the effectiveness of service satisfaction using multiple regression. The study's results is to suggest four models, such as family care, complementary, separation, formal service and complementary type was founded to be the most effective and then based on the result, we discuss as follows. First, we must strive to combine informal resources into formal service systemto the system for providing of service is made up the complementary type. Second, the system for providing services of long-term care elders is required integrated care system to alining of medical and long-term care services. Third, we have to consider a measure to improve of formal service type, for the satisfaction of formal service appears low relatively. Based on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propose that the informal-formal resources linkages models are subdivided into the dimension of quantity and quality of care for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long-term care services.

Derivation of Plotting Position Formula Using Genetic Algorithm for Gumbel Distribution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Gumbel 분포의 도시위치공식 유도)

  • Kim, Soo-Young;Shin, Hong-Joon;Kho, Youn-Woo;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73-178
    • /
    • 2008
  • 확률도시위치는 주로 도시적 해석을 통한 연최대홍수량 또는 연최대강우량의 초과확률의 추정치 산정에 사용되며 빈도해석을 통해 선정된 적정 확률분포형과 표본자료의 개략적인 적합도를 도시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해주기 때문에 오래 전부터 널리 이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Gumbel 분포에 적합한 도시위치공식을 새롭게 추정하기 위해 Gumbel 분포의 order statistic과 확률가중모멘트를 이용하여 다양한 표본크기에 대한 도시위치공식의 기본식을 유도하였고, 최적화 기법 중 하나인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유도된 도시위치공식의 매개변수를 추정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추정된 도시위치공식과 기존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도시 치공식의 정확도를 비교하기 위해 reduced variate 간의 오차를 계산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금회 추정된 도시위치공식은 높은 순위에서는 기존의 도시위치공식에 비해 더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표본크기에 대한 순위를 모두 고려할 경우에는 기존의 도시위치공식에 비해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Gumbel 분포에 대해서 높은 정확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공식통계의 과거${\cdot}$현재${\cdot}$미래

  • 송문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13-17
    • /
    • 2001
  • 우리나라의 공식통계 발전 과정을 제도적 측면과 내용의 측면에서 살펴보고, 공식 통계가 작성되는 현황을 알아본다. 또한 앞으로 공식통계가 발전되기 위한 조건들을 살펴본다.

  • PDF

Scour Prediction at Piers in the Bo Cheong Stream (보청천내(報靑川內) 교각설치(橋脚設置)에 따른 국부(局部) 세굴심도(洗掘深度)의 산정(算定))

  • Ahn, Sang Jin;Choi, Gyu Woon;Kim, Jong Sub;Ahn, Chang Ji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13 no.3
    • /
    • pp.93-105
    • /
    • 1993
  • In this paper, the maximum scour depths at piers located in the Bo Cheong Stream, which is a tributary in the Geum River System, were calculated and compared using 24 local pier scour equations. The equations were classified as six groups by non-dimensional types of equations. The geometric data in the stream bed and pier data at San Seong, Yi Pyung and San Gye, which are IHP data collection stations, were utilized for applying the scour equations. The geometric data in the stream bed were obtained by analyzing the bed material sampled in three stations which are in the left side, middle and right side for stream direction. The maximum flow velocities at maximum flow depths which were measured from 1982 to 1991, were used as the hydraulic flow data. The pier data for predicting pier scour depths were measured in the fields. The maximum pier scour depths calculated using the equations were compared with the held scour depths measured in the streams or rivers in the world. Arunachalam, Shen-Karaki III, Jain-Fischer equations are selected as the proper local scour equations for predicting the maximum local scour depths at piers in the Bo Cheong Stream. Inglis-Lacey and Shen-Karaki II equations are applicable in case of rapid flows conditions in which Froude number is over 0.3. Froehlich, Laursen I, Laursen II, Neill, Melville equations are applicable in the slow flow conditions in which Froude number is less than 0.3. Blench equation or Inglis-Poona equation varies rapidly by changing Froude numbers. Therefore the equations should not be used without careful considerations in selecting the applicable ranges. The maximum local scour depths calculated using Sarma-Krishnamurthy, Ahmad, Coleman, Varzeliotis, Larras, Bata, Chitale, Venkatadri, Basik-Basamily-Ergun, U.S.G.S., Shen I equations are usually less than the scour depths measured in the field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