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사계측비

Search Result 61,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 Study on Analysis of Construction Monitoring Cost and Improvement Measures of Railway Tunnel Construction in Seoul (서울시 철도터널 건설공사의 공사계측비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 Jong-Tae Woo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9 no.1
    • /
    • pp.18-30
    • /
    • 2023
  • Purpose: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onitoring technology through the increase of confidence in construction monitoring by deriving the analysis of construction monitoring cost and improvement measures of railway tunnel construction in Seoul. Method: It presents the status on design and contract of construction monitoring cost, status on application construction monitoring cost and its analysis, analysis on safety management cost and quality management cost, expansion of application of the price calculation standard for monitoring management services to improve this, and monitoring for direct order of ordering organization. Results: If the monitoring management service that was meanwhile ordered as included in the construction work is performed by the directly selected company of ordering organization through the preliminary screening for bidding qualification, then the improvement of monitoring quality and the accurate monitoring data can be secured. Conclusion: For the price calculation standard for monitoring management service, the application of actual cost addition method under the Engineering Promotion Act and the calculation standard of monitoring management cost for standard estimation for ground survey should be extended through the direct order of ordering organization, not the method to be included in the net construction cost where it is performed by a subcontractor via contractor.

Analysis of the cause of non-measurement seepage rate on CFRD using geophysical and geotechnical exploration (물리탐사와 지반조사를 이용한 CFRD댐 침투수량 미계측 원인분석)

  • Jong Wook Lee;Geun Soo Lee;Seong Bae Jo;Nam Ryong Kim;Jeong Yeul L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83-83
    • /
    • 2023
  • 댐의 침투수량은 준공이후 댐 안전성 확보를 나타내는 지표 중의 하나이며, 유지관리를 위해 침투수량 측정을 실시하여 관리를 하고 있다. 댐 타입별로 침투수량에 대한 허용치와 관리기준치는 다르지만, 기본적으로 댐에서 발생되는 침투수량은 측정범위를 넘지 않도록 관리를 하고 있다. 댐의 침투수량 측정은 댐 하류에 누수집수벽을 설치하고 댐에서 발생되는 침투수량을 집수한 후 삼각위어를 통하여 침투수량을 측정하고 있다. 이러한 침투수량 측정은 대부분의 댐에서 실시간으로 자동측정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 미계측 구간이 발생되어 댐 유지관리 측면에서 미계측에 대한 원인분석이 필요한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침투수량의 미계측 원인은 계측기기, 삼각위어, 누수집수벽, 기초지반 등 다양한 원인이 있지만 명확한 원인을 찾기는 어려움이 많다. 특히, 댐 침투수량의 경우 지하수위, 댐 표면 우수, 침투수가 같이 측정되기 때문에 원인분석을 위해서는 다양한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표면차수벽형석괴댐은 누수집수벽을 통하여 침투수량을 측정하고 있으나, 일부 구간 미계측 부분이 발생하여 기초지반, 댐체 하류사면, 여수로와 댐체 접합부를 통한 누수를 원인으로 추정하였다. 이를 조사하기 위하여 전기비저항 탐사, 시추조사, 수압시험, 지하수위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누수발생 추정위치를 찾고, 침투수량이 미계측되는 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전기비저항 탐사는 여수로 접합부, 누수집수벽 상·하류 구간을 선정하여 측정한 결과 상·하류 저비저항대가 존재하는 구간을 추정할 수 있었다. 수압시험 결과 기초암반은 2.3 ~ 21.3 Lu(3.65×10-5 ~ 3.65×10-4 cm/sec)의 범위로 누수 가능성이 있는 높은 투수성을 갖는 부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기비저항 탐사, 수압시험, 지하수위 측정을 통해 누수집수벽 기초지반 누수발생 원인분석 결과 누수집수벽 기초암반을 통한 누수로 누수집수벽에 댐체를 통한 침투수량이 저류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침투수량계의 정상화를 위해서는 조사를 통해 확인된 누수집수벽 기초암반 누수구간의 그라우팅 보수보강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 PDF

연약지반 연구 및 기술동향

  • 연약지반기술위원회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4.03a
    • /
    • pp.289-309
    • /
    • 2004
  •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계측대상 연약 지반이 대심도, 광역화함에 따라 연약지반 계측의 전반적인 추세는 자동계측 시스템의 사용과 준설ㆍ매립공사 또는 해수면상에서의 공사 특성상 케이블 관리의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무선데이터 전송방식의 사용이다. 또한 유지관리의 필요성 증대로 인하여 계측 모니터링, 자동분석 프로그램의 기술도 발전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국내는 계측에 대한 기술 개발이 미비할 뿐 아니라 계측기술에 대한 인식이 매우 부족하고, 관련법이 정비되지 못하여 계측관련 기술 및 경험이 전무한 영세업체들까지 난립하여 치열한 경쟁을 하는 관계로 기술개발에 대한 투자는 거의 중단된 상태이다. 따라서 정확한 유지관리 계측을 위해서는 대부분 외산기기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그러나, 현재 국내의 전자통신 기술의 수준을 감안할 때 관련법이 정비되고 체계적인 연구와 투자가 이루어진다면 쉽게 세계적인 수준으로 도약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한국지반공학회의 연약지반위원회에서는 2003년 8월 20일 한양대학교 박물관 강당에서 학술세미나를 개최하였다. 본격적인 세미나에 앞서 '연약지반 공학자의 당면문제 및 해결방안'에 관한 주제로 전 연약지반위원회 위원장이셨던 (주)에스코 컨설턴트의 김승렬박사께서 초청강연을 하여 주셨다. 김승렬박사께서는 그 원고의 꼬리말을 다음과 같이 기술하며 마무리하셨다. 국내 연약지반 기술수준의 상황과 우리의 위상을 제고하기 위한 좋은 말씀으로 생각되어 본고에서는 그 부분을 인용하는 것으로 끝을 맺고자 한다. '우리나라의 연약지반 기술수준은 동남아시아 지역의 국가들인 싱가포르, 대만, 태국, 심지어는 베트남에 비해 결코 우월한 위치에 있지 않다. 오히려 많이 낙후되었다고 할 수 있다. 경제규모와 위상과 발전상태에 비추어 보면 실로 부끄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이렇게 된 배경에는 연약지반이 사회의 문제로 대두되는 일이 미미하여 이 분야에 쓸리는 관심이 상대적으로 적은 점이 주원인이라고 볼 수 있다. 연약지반이 기술현장에서 문제로 떠오르기 시작한지도 째 오랜 시간이 경과하였다. 이제 더 이상 우리의 기술수준을 이대로 방치할 수는 없는 시점에 와 있는 것이다. 연약지반에 몸담고 있는 우리 스스로가 위상을 지키려는 노력을 배가하여야 한다. 연약지반 공학자들은 스스로 고급의 데이터를 생산하고 평가하고 예측하는 기법을 활발하게 적용하고 발전시킴으로써 자신들의 위치를 지켜야 할 것이다. Clean-handed-research만을 고집하는 환상에서 깨어나 국외의 변모하는 모습을 빠르게 수용하고 국내의 연약지반 관련 자료를 국외에 널리 알릴 수 있는 위치로 발돋움할 때 연약지반 공학자의 위상도 제고될 것이다.'

  • PDF

건물 신축 공사장 소음 저비용 저감 방안

  • 최재남;손기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463-466
    • /
    • 2002
  • 건설현장의 특성상 굴착공사는 필수공정이고 비록 말뚝공사가 없다할지라도 암반굴착 등 진동소음 발생여지는 언제나 존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국부적인 암반발파, 파쇄에 따른 소음감소 또한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건설현장 자체적으로 민원 발생에 대비하여 인접 주택 지점에서 소음 계측을 하고 허용값 초과 여부를 판단하는 실행을 하고 있으나 주민이 느끼는 체감 소음은 조금 다를 수도 있어서 민사소송으로까지 확대되어 현장경영 및 공정에 큰 타격을 가하고 회사 이미지 실추로까지 이어질 수 있고 막대한 보상비 지급이 뒤따를 수도 있는 상태로까지 확대될 수 있다.(중략)

  • PDF

Conceptual Design and Displacement Recognition Performance Verification of Displacement Measurement System for Retaining Wall Structure Based on Laser Sensor (레이저 센서 기반 흙막이 구조체 변위 계측 시스템의 개념 디자인 및 변위 인식 성능 검증)

  • Kim, Jun-Sang;Lee, Gil-yong;Kim, Young Suk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23 no.1
    • /
    • pp.64-72
    • /
    • 2022
  •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is essential for construction work that performs underground excavation. Displacement management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is important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construction. However, in the case of small-scale construction sites with an excavation depth of less than 10m, displacement management of retaining wall structure not properly performed due to problems such as 1) companies' smallness, 2) lack of capacity of construction managers, 3) complexity of installation, dismantling and displacement of measuring instruments. As a result of analyzing previous research, it was analyzed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this to a small - scale construction site because most of the previous research has problems in using an expensive 3D scanner or installing many measuring instruments.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conceptual design of a displacement measurement system for retaining wall structure based on laser sensor and to verify the displacement recognition performance of core technology applied to the conceptual design. A conceptual design was proposed using a 2D laser scanner.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splacement recognition of the 2D laser scanner, a displacement of 15mm was analyzed to be sufficiently understandable. In the future, if the proposed conceptual design is developed and applied to the small-scale construction site, it is thought that it will contribute to the reduction of safety accidents at small-scale construction sites.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Bridge Maintenance System using LoRa LPWAN Wireless Communication (LoRa LPWAN 무선 통신을 활용한 교량 유지관리 시스템 적용성 연구)

  • Park, Jin-o;Park, Sang-Heon;An, Sung-Ju;Park, Won-Joo;Kim, Jong-Ho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23 no.1
    • /
    • pp.138-146
    • /
    • 2019
  • LoRa LPWAN network system uses a license-exempt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implements data measurement through the integrated sensor based on Mems and wireless communication of existing measurement sensors. This system has superior technological / economic superiority using existing network and long distance communication compared to existing wireless measurement system, and secured economical efficiency by minimizing system construction equipment compared to wired measurement system. It is confirmed that the economical efficiency can be reduced by 41%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wired metering system. Since the LoRa LPWAN network system is excellent in terms of maintenance and operation, if installed in many bridges in Korea in the future, it will be developed as an excellent system in the maintenance of bridges. Etc.), and plant field (fire safety, etc.).

Analysis on the Safety of Structure and Economics of Replacement Method Using Rock Debris in the Soft Ground - Case Study of Miho Stream Crossing Road in Cheongju City (연약지반 암버럭 치환공법의 구조물 안정성과 경제성 분석 - 청주시 미호천 횡단도로를 대상으로)

  • Heo, Kang Kug;Park, Hyung Keun;Ahn, Byung Chul;Min, Byeong U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6 no.4
    • /
    • pp.705-713
    • /
    • 2016
  • For the soft ground construction, the factors not considered in the design stage occurs in the construction stage so that they cause the increase of the construction cost due to the structural stability and the design change. The subject of the study is the construction section of the industrial complex access road made in the Ochang region of Chungcheongbuk-do. The study is concerned with selecting the soft ground handling method such as the replacement method using rock debris and the surcharge reflecting the service load as the soft ground handling measure and analyzing the effect of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with the stability of structures and the reduction of the construction period. The soft ground in the study section consists of sandy and cohesive soil and is 2.4m to 5.5m deep. It is distributed unevenly between the 1.5m to 5.9m stratums under the ground surface. Settlement is not serious, but the future uneven settlement and difference are expected so that the future settlement behavior is estimated by analyzing the site measurement results after the soft ground treatment. Moreover, in consideration of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economic efficiency, soil with good quality is replaced with rock debris as the replacement material so that 29% of the construction cost is reduced due to the increase of stability and the reduction of duration. If the estimation of the dispersion of the pore water pressure within the dam body and the change of the underground water level and the relation of the actually measured soft ground with consolidation is studied further on the basis of the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behavior of the soft ground will be correctly estimated in various site conditions.

Study on Application of Criteria of Lateral Flow in Soft Soils (측방유동 판정기준의 적용성 연구)

  • Chae, Young-Soo;Moon, Han-Joong;Kim, Dae-Kyu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7 no.2
    • /
    • pp.219-223
    • /
    • 2006
  • In this paper, the criteria of the lateral displacement in soft soil due to embankment were evaluated. The lateral displacement was measured at a pier structure in a new harbor construction site, and the measurement was compared with the criteria. The results by the measurement such as the critical pressure causing lateral movement in terms of undrained strength, the lateral movement index by Japan Highway Co., the lateral displacement index by Japan Construction Ministry, the modified index by Korean Highway Co. were estimated to be lower than the respective index values.

  • PDF

A Program Development for Ground Data Analysis in Pile Excavation using Electric Motor (전기 모터를 이용한 지반 굴착에서의 지반 데이터 분석 프로그램 개발)

  • Kim, Min-Jae;Kim, Hyung-Bum;Cho, Seong-Je;Yoon, Jae-K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06c
    • /
    • pp.149-152
    • /
    • 2007
  • 최근 모든 분야에 대한 전산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업무 처리 능력의 향상과 함께 시간 비용의 절감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추세와 함께 건설 분야에서의 전산화가 진행 중이다. 본 논문에서는 굴착장비의 전류 값과 굴착 깊이 계측을 통해 깊이에 따른 지반 강도를 전산화 시켜 추정함으로써 보다 합리적으로 말뚝 기초를 시공하는 방법 개발하고자 한다. 본 시스템은 건축, 토목, 건설 분야에서 국내 최초로 시도되는 것으로, 실제 공사 현장에서 획득되는 데이터의 분석을 도와 측정 오류(Human Error)를 최소화함은 물론 공사비 절감, 신속한 공사 정보 제공 등의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PDF

Evaluation for Fundamental Periods of Domestic Rockfill Dams with Micro-earthquake Records (미소지진 계측기록을 활용한 국내 사력댐 고유주기 산정방법)

  • Ha, Iksoo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2 no.6
    • /
    • pp.53-60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ethod that can reliably evaluate the fundamental period of a rockfill dam using the micro-earthquake records, which were obtained at the domestic dam sites. For total 20 micro-earthquake records obtained at 7 domestic rockfill dam sites against 6 earthquake events which recently occurred, the fundamental periods of seven rockfill dams were evaluated by two kinds of methods; one is a method using acceleration amplification ratio and the other is a method using acceleration response spectrum ratio. Applicability of each method to evaluation of fundamental periods of domestic rockfill dams was examined. In the moderate seismicity region like our country, the method using acceleration response spectrum ratio, which could evaluate the fundamental period of the rockfill dam using the ratio between the response spectrum for acceleration observed at the dam crest and that observed at the dam base or abutment, proved to be reliable and was proposed in this study. From the results of analyses, it was found that the proposed method could consistently evaluate the fundamental period of the rockfill dam and the results obtained by the proposed method were very similar to the results by the existing method which was proposed from the analysis for the earthquake records observed at Japanese dam si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