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동침전

Search Result 30,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인듐 수산화물(In(OH)3)의 공동침전을 이용한 미량의 중금속 회수 및 분석방법 연구 (A Study on Co-precipitation of Indium Hydroxide (In(OH)3) for the Recovery and Determination of Trace Heavy Metals)

  • 권슬우;손성훈;이만승;남상호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6권4호
    • /
    • pp.50-55
    • /
    • 2017
  • 복잡한 모체를 갖는 시료에 존재하는 미량의 원소들은 모체방해효과로 인하여 분석이 어렵다. 따라서 시료모체로부터 미량의 원소들을 분리해서 분석할 수 있다면 그 방해 요인을 줄일 수 있어 분석에 많은 도움이 된다. 시료모체와 미량의 원소들을 분리하기 위하여 인듐 수산화물($In(OH)_3$)을 이용하여 시료 내에 존재하는 미량의 원소들을 공동침전시킴으로서 분석물질을 분리시킨 후에 유도 결합 플라즈마-원자 방출 분광법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공동침전의 발생과 회수율을 높일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실험을 통해 설정하였다. 공동침전물을 석영섬유필터를 사용하여 걸러내고, 공침이 발생하는 시료의 pH를 9.5로 조정하였다. 또한 필터의 침전물을 ICP-AES로 측정하기 위해 질산 30% 용액에 1분 동안 담궈 침전물을 녹였고, 침전물이 녹은 질산용액은 온도변화 없이 농축을 진행하는 최적의 조건을 설정하였다. 이 최적조건을 소금시료에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신안 증도에서의 소금에서는 중금속이 거의 검출 되지 않았지만 전남 영광 소금의 경우 카드뮴을 제외하고 여러개의 중금속이 미량 검출되었다.

유청(乳淸)과 대두 단백질(蛋白質)의 공동침전(共同沈殿) 특성(特性) (Coprecipitation Characteristics of Cheese Whey and Soybean Proteins)

  • 위재준;이형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6권4호
    • /
    • pp.199-204
    • /
    • 1983
  • 대두(大豆) 단백질에의 함유황(含硫黃) 아미노산 강화원(强化源)으로서 유청(乳淸)단백질을 사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유청과 두유(豆乳)의 혼합물로부터 응고물을 만들고 유청(乳淸) 및 대두(大豆) 단백질의 공동침전 최적조건과 특성을 조사하였다. 유청과 두유는 1:1 부피비로 혼합한 다음 응고제인 $CaCl_2$의 농도를 $0.005{\sim}0.5M$, pH$1.5{\sim}8.0$, 온도를 $60{\sim}100^{\circ}C$로 조정하여 응고시키고 이 때 얻어지는 커드 여액(濾液)의 흡광도가 가장 낮은 조건을 결정하였다. 공동침전 최적조건은 여액의 흡광도가 낮고 그 때 얻어지는 커드의 조직감이 좋은 때로 하였다. 공동침전 최적조건은 $CaCl_2$농도 0.0125M, pH$6.5{\sim}7.5$, 온도 $70{\sim}80^{\circ}C$로 나타났다.

  • PDF

한국의 지질과 자연동굴

  • 홍시환;유재신
    • 동굴
    • /
    • 제16권17호
    • /
    • pp.23-26
    • /
    • 1988
  • 석회동굴은 Karst지형 지역에서 지하 형성물로 나타나는 공동지역으로, 이 공동화된 공간에 2차적으로 석순, 석주, 종유석등이 침전되어 생긴 동굴이다. 이런 Karst 지형은 석회암지층에서 용식작용으로 생겨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황해도의 서흥, 신막, 수안, 곡산 물질지역과 평안남도의 덕천, 성천, 강동지방, 그리고 강원도의 삼척, 영월, 평창, 정선, 명주지방, 충청북도의 단양, 제천, 괴산지역 그밖에 경상북도의 울진 지역에도 분포한다.(중략)

  • PDF

우리 나라 동굴의 지질과 환경 보전

  • 정창희
    • 한국동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굴학회 1996년도 동굴의 개발 및 환경보전 세미나
    • /
    • pp.64-64
    • /
    • 1996
  • 석회동굴은 카르스트 지형 지역에서 지하 형성물로 나타나는 공동지역으로, 이 공동화된 공간에 2차적으로 석순, 석주, 종유석 등이 침전되어 생긴 동굴이다. 이런 카르스트 지형은 석회암 지층에서 용식작용으로 생겨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북쪽은 평안남도 동반지역과 함경남도의 남부서경지역, 황해도 서남부, 그리고 강원도 남부지역, 추가령 구조곡의 일부들이 해당한다. 그리고 남쪽은 문경 - 단양 - 제천 - 영월 - 평창 - 정선 - 삼척 - 강릉에 걸친 지역들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석회암동굴들은 그 대부분이 조선계 대석회암통의 막동 석회암 층에 분포되고 있다.(중략)

  • PDF

유청(乳淸)과 대두(大豆) 단백질(蛋白質) 공동침전(共同沈澱)에 의해 제조(製造)된 아미노산 강화두부(强化豆腐)의 특성(特性) (Characteristics of Amino Acid Fortified Tofu Manufactured by Coprecipitation of Whey and Soybean Proteins)

  • 위재준;이형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6권4호
    • /
    • pp.205-210
    • /
    • 1983
  • 유청(乳淸)과 대두(大豆) 단백질(蛋白質) 공동침전(共同沈澱)에 의해 제조된 아미노산 강화두부(强化豆腐)의 특성(特性)을 조사하기 위하여 유청(乳淸)또는 유청분말(乳淸粉末)과 두유(豆乳)를 혼합하여 두부를 제조하고 이때 얻어지는 강화 두부의 일반조성,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하고 물리적 특성도 비교하였다. 강화 두부는 외관이나 특성(特性)에서 재래식 두부와 큰 차이가 없었다. 전고형분 함량은 재래식 두부가 약 19%, 강화 두부가 17.3$\sim$18.1%이고 단백질 함량은 재래식 두부가 13.1% 강화 두부의 경우 10.9$\sim$11.4%로서 모두 재래식 두부가 높았다. 유청의 조지방(粗脂肪) 함량(含量)이 낮으므로 유청의 혼합비율이 높아질수록 두부 중 지방함량은 낮아졌으며 유청(乳淸) 두유(豆乳) 혼합물 중의 유당은 5$\sim$15%가 강화 두부에 이행되었다. 유청과 두유를 3:1로 혼합하여 제조한 경화 두부의 함유황(含硫黃) 아미노산 함량은 3.80g/100g 단백질로서 재래식 두부의 2.54g에 비해 약 50% 강화효과를 보였다.

  • PDF

유청 및 두유의 공동침전에 의해 제조된 치즈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Cheese Manufactured by Coprecipitation of Whey and Soy Milk)

  • 김정환;이형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13-218
    • /
    • 1985
  • 대두치즈의 풍미와 조직을 개선하기 위해서 유청-두유치즈를 유청, 유청분말, 두유, 분리대두단백의 여러가지 혼합물의 공동침전에 의해 제조하고, 유산균과 레닛을 첨가한뒤 $15^{\circ}C$에서 10주 동안 숙정시킨다. 치즈의 물리 화학적 특성은 수소이온농도, 적정산도. 수용성질소, 10%TCA가용성질소, 아미노산조성, 풍미, 색, 경도등을 분석함으로 조사하였다. 유청-두유치즈의 pH는 최초 5.3에서 숙설 5${\sim}$6주에 4.2로 떨어져 이후는 일정하였으나 두유치즈의 pH는 시종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유청-두유치즈의 적정산도는 점차 증가하여 8주후 0.4${\sim}$0.45에 달했으나, 두유치즈는 숙성이 끝난뒤에도 0.2에 불과했다. 수용성 및 10%TCA가용성 질소함량은 숙성중 점차 증가하였다. 치즈의 경도는 3 : 1 치즈와 두유치즈의 경우가 가장 컸으며 숙성 3주째 최고치를 나타내었다. 두유치즈에 비해 유청-두유치즈의 색은 밝았으며 대두치즈의 비린내는 숙성 전기간을 통해 강렬하였으나 유청-두유치즈의 경우 산취로 인해 비린내가 부분적으로 상쇄되었다.

  • PDF

지하유류비축기지 수리안정성 평가를 위한 광물학적 클로깅 가능성 연구 (A Study on the Geochemical Clogging for the Assessment of the Hydrological Safety of the Underground Oil Storage Carvern)

  • 김건영;배대석;최병영;오세중;고용권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39-159
    • /
    • 2008
  • 지하유류비축기지의 수리안정성 평가를 위하여 비축기지 내 관측공을 포함한 공동 주변 지하수의 지화학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결과를 근거로 광물학적 클로깅의 가능성을 평가하고, 아울러 미생물학적인 클로깅 가능성을 함께 고려하여 보았다. 물시료들은 대부분 $Ca-HCO_3$에서 $Ca-HCO_3-SO_4$ 유형에 속하며 물시료의 유형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주요 클로깅 유발광물인 방해석은 모든 관측공 및 공동운영수 시료에서 불포화상태로서 탄산염 광물에 대해 침전하지 않는 지화학 환경이다. Fe, Mn은 대부분 낮은 함량을 보이지만 포화지수계산결과에 의하면 대부분 철-산화/수산화 광물에 대해 포화-과포화 상태를 보여주며 높은 용존산소 농도를 보여주기 때문에 장기적으로는 이들에 의한 클로깅의 가능성을 지시한다. 일부 지상 관측공 물시료의 경우에는 철-산화/수산화 광물과 더불어 미세한 열극을 충전할 수 있는 점토광물에 대하여 높은 포화 지수를 보여주어 이들 광물의 침전에 의한 클로깅 가능성을 지시하고 있다. 통계분석 결과, 광물들의 침전/용해 정도는 주로 pH, Eh, DO에 의해 좌우된다. 미생물 분석결과는 대부분의 물시료에서 호기성 미생물과 점액성 세균이 우세하며 황환원세균 등의 혐기성균은 대부분 아주 적거나 검출이 되지 않았다. 클로깅을 유발시키는 미생물로 알려져 있는 점액성 세균은 모든 시료에서 $10^5\;CFUs/mL$ 이하의 값을 나타내고 있지만, 일부 관측공들에서 점액성세균이 우점하고 있기 때문에 장기적 관점에서는 이들이 클로깅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철 수산화/산화 광물의 침전가능성과 함께 고려하면 클로깅 가능성이 더욱 상승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지하유류비축기지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하여 클로깅 평가와 관련된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지하원유비축기지 공동주변 지하수의 수질화학적 변화와 기밀성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Hydrochemical Variation of Groundwater and Gas Tigtness in the Underground Oil Storage Caverns)

  • 정찬호
    • 지질공학
    • /
    • 제14권3호
    • /
    • pp.259-272
    • /
    • 2004
  • 이 연구는 임해지역 지하원유비축기지 주변에서의 지하수 수리화학적 변화를 관측하여 원유저장 후 운영에 따른 저장공동의 기밀성 확보에 수질화학적 영향을 평가하고자 한다. 연구지역의 모암은 편마암이지만 바다와 호수를 끼고 있어 지하수의 화학조성은 모암의 영향보다 해수의 혼합, 수벽공 주입수, 그라우팅 재료의 용해와 같은 외적인 요소에 의해 상당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4차례에 걸친 지하수의 수질분석 결과 측정시 기와 관측정에 따라서 큰 수질변화를 보인다. 전반적 인 지하수의 특성은 알카리성의 높은 전기전도도 값을 보이고, 일부 관측정 지하수는 고알카리성과 고염분의 특성을 보인다. 지하수의 화학적 유형은 Na-Cl형 > Ca-Cl 형 > $Ca-HCO_3(CO_3)$형의 순으로 우세한 경향을 보인다. 열역학적 평형관계를 계산해 본 결과 대부분의 지하수가 탄산염광물에 대해서는 침전성 환경을 앨바이트에 대해서는 용해성 환경을 보인다. 그러나 단열의 충전효과가 큰 점토광물의 침전은 거의 확인되지 않아 암반 단열의 밀봉효과와 그로 인한 기밀성 확보에는 큰 효과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총유기탄소량 (TOC)은 원유저장 후 약간의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관측정 지하수의 $EpCO_2$ 함량은 0$\~$41.3의 범위를 보여 원유에 혼합으로 발생될 수 있는 높은 이산화탄소의 압력은 현재로서는 거의 무시할 수 있다.

생태융합형 접촉산화수로 Test-Bed 구축 및 정화효율 평가 (The test-bed construction and water purification assessment of the eco-convergence type aerated string contacted oxidation system)

  • 최선화;이승헌;장규상;김흥섭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6년도 학술발표회
    • /
    • pp.592-592
    • /
    • 2016
  • 국내에는 17,500여개의 농업용 저수지가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국내 농업용 저수지는 대부분이 소규모이며, 연중 수량 변동이 심하고, 유역배율이 작아 태생적으로 수질오염에 취약한 구조로 되어 있다. 특히 농업용 저수지는 도시 근교나 농촌지역에 많이 위치하고 있어 유역 내 축산 농가나 미처리 생활하수에서 유래된 유기물 및 영양염류 유입에 의한 수질오염도가 높다. 저수지에 고농도로 유입되는 유기물, TN, TP를 처리하기 위하여 농어촌연구원과 수생태복원(주)에서는 공동으로 친환경 수처리시설인 생태융합형 접촉산화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생태융합 접촉산화수로는 상부 식생과 수로 내의 섬유상 끈상 미생물 접촉재를 이용하여 오염수가 수로를 흐르면서 침전, 여과, 흡착, 산화, 흡수 등 물리학적, 화학적, 생물학적 원리를 이용하여 고농도의 유기물과 질소, 인을 제거하는 물리적, 생물학적 공정을 융복합 기술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시흥시에 소재하고 있는 M 저수지에 현장 Test-bed를 구축하여 수질정화효율을 평가하였다. M 저수지는 유효저수지량이 약 23만톤에 해당하는 소규모 저수지로, 1941년도 준공된 아주 노후화된 저수지로 평균 수심이 2m 이하이고 연중 수질오염도가 높은 저수지이다. 매화저수지 수변에 설치된 생태융합형 접촉산화수로의 전체규모는 길이 8.6m, 폭 2m, 수심 2m에 해당하며, 끈상 미생물 메디아조 3개($2{\times}2{\times}6m^3$), 침전조 1개($2{\times}2{\times}2m^3$)로 구성되어 있다. 기타 부대 장치로는 끈상 메디아조에 산소공급을 위한 Air-mist(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자동운전계기판, 유입펌프 등이 있다. 생태융합형 접촉산화수로의 처리 공정은 유입수${\rightarrow}$에어미스트${\rightarrow}$고속복합응집장치${\rightarrow}$융복합 산화조(3조)${\rightarrow}$침전조${\rightarrow}$방류로 구성되어 있다. 테스트 베드는 2015년 8월 말경에 구축 완료하였으며, 끈상 미생물 메디아조의 수질정화효율을 평가하기 위하여 9월부터 11월까지 총 7회 걸쳐 유입수와 유출수를 각각 조사하였다. 현장 측정항목인 수온, pH, EC, DO 등은 유입수 및 유출수간 큰 차이가 없었고, COD, SS, Chl-a, TP 등은 수처리시스템 초기 가동시에는 메디아에 미생물 부착율 저조로 유입수 및 유출수 수질농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운영시간의 경과와 함께 메디아의 미생물 충진율이 높아짐에 따라 처리효율이 최대 SS 69.6%, Chl-a 89.3%, TP 89%까지 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융합 접촉산화수로는 부지 집약적인 컴팩트한 수처리 시설로서 현재 널리 이용되고 있는 인공습지를 대체할 수 있는 경제적인 시설로 판단된다.

  • PDF

유청(乳淸)과 두유(豆乳) 혼합액(混合液)에서의 유산균(乳酸菌) 생육특성(生育特性) (Growth Characteristics of Lactic Acid Bacteria in Whey-Soy Milk Mixtures)

  • 김정환;이형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85-290
    • /
    • 1984
  • 유청(乳淸)과 두유(豆乳)의 공동침전(共同沈澱)에 의해 치즈를 제조하기 위한 기초실험으로서 유청-두유 혼합액에서 6종의 유산균들의 생육특성을 조사하였다. S. cremoris와 L. acidophilus가 두유와 유청-두유 혼합액에서 다 같이 많은 산을 생성하였다. 그러나 모든 유산균들이 두유에서 보다는 유청-두유 혼합액에서 더 많은 산을 생성하였고 이것은 특히 S. lactis와 S. cremoris에서 현저하였다. S. lactis와 S. cremoris 혼합균주의 생균수는 두유에서보다 유청-두유혼합액에서 약10배정도 많았다. 유청-두유 혼합액에서 산생성이 증가되는 것은 유청중에 존재하는 유당의 효과에 주로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유에서의 산생성을 촉진키 위해 첨가하는 유당의 적정량은 두유 100ml당 0.8g으로 밝혀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