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동거주 주택

검색결과 187건 처리시간 0.025초

임대주택(賃貸住宅)의 내재적(內在的) 특성(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 서울의 공동거주형(共同居住型) 임대주택(賃貸住宅)의 사례(事例)를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Latent Characteristics of Rental Housing - A Case Study on 'Co-deweling' of Rental Housing in Seoul -)

  • 이윤희;정재국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51-58
    • /
    • 2010
  • In the modernization process of the city, urbanization raised a variety of social issues. Urbanization brought noticeable changes in dwelling patterns, such as drastic changes in the housing lifestyle, that revolved around the metropolitan areas of Seoul and Busan etc. before and after the expansion of economic growth. Especially in 1985, when 23.8% of the country's population was concentrated in Seoul, the imbalance of housing supply and demand caused a vast range of housing shortage. The shortage, that resulted from public sector mishandling of natural housing demand, lead to the occurrence of private sector rental housing. The occurrence of this abnormal rental housing supply, became a major cause of Korea's typical lease system called 'Co-dwelling', where the leaseholder and tenant physically lives in the same residence. The leaseholder and tenant's 'Co-dwelling' started from partial renting of traditional Korean-style housing and transformed with the transition of dwelling form and time. However, after 1985, legalization of multi-family housing, Korean rental housing started to be planned in the beginning of it's housing construction and to be produced as an independent space with separate circulation. Also in terms of facility, it changed from partial renting of a space within the residence to an assembly of small individual spaces. However, the background of this deep-rooted 'Co-dwelling' lease system, in different forms and periods of residence, is still based on the lack of public sector rental housing supply and private sector supply of rental space to utilize extra space, 'Jeonsei' payment.

바닥 상부 마감재의 충격음 저감성능에 대한 평가방법 개선 (Improvement of evaluation method for impact sound reduction performance of floor coverings)

  • 정진연;송한솔;송국곤;윤용진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61-167
    • /
    • 2023
  • 최근 바닥충격음 사후 성능검사 제도의 시행에 따라 공동주택 바닥 슬래브 상부에 설치되는 바닥 마감재에 대한 바닥충격음 성능 개선의 요구사항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의 KS F ISO 717-2 및 KS F 2863에서의 바닥 마감재 성능 평가방법은 완충층이 설치되지 않은 조건에서 저감량을 측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준공 전 성능측정 의무화로 인해 본인이 거주하는 공동주택 바닥충격음 성능의 확인이 가능한 상황에서 입주민이 거주하는 공동주택의 특성을 반영하는 온돌층이 설치된 구조에서의 성능평가는 마감재의 바닥충격음 성능에서 더 필요한 부분일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바닥슬래브 상부 마감구조의 저감량 평가를 위해서 완충층 조건을 포함한 저감성능 평가를 제안하고, 완충층 성능에 따른 저감량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마감재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의 바닥충격음 성능을 동시에 표시하는 것을 제안한다.

주택임대차보호법상의 임차권승계에 관한 연구 (Study on Housing Lease Succession by Housing Lease Protection Act)

  • 전명길;정순형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5년도 제52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3권2호
    • /
    • pp.115-118
    • /
    • 2015
  • 현재 우리나라는 인구의 도시집중과 주거용 건물의 부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주택부족문제는 현대산업사회에서 피할 수 없는 현상이 되고 있고, 1970년대 들어 대도시로의 인구집중과 함께 극심한 주택난을 겪게 되었다. 전국의 주택보급률은 국토교통부가 발간한 '2014년 국토교통통계연보'에 따르면103%(서울 97.5%, 경기 98.7%)에 이르러 주택의 공급측면에서 큰 문제가 없어 보이지만, 2014년 전국 자가 주택 거주율은 53.6%로 절반 정도의 가구가 타인 소유의 주택에서 임차인으로 거주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가장 큰 법률문제 중의 하나는 임차주택에서 임차인이 그 가족들과 모두 함께 안정된 생활을 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는데 만약 임차인이 사망한 경우에 그동안 임차인과 함께 생활 해온 가족들이 종전과 마찬가지로 당해주택에서 주거를 계속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이다. 이에 대해 주택임대차보호법은 임차주택에서 가정공동생활을 하고 있는 자에게 임차인의 권리 및 의무를 승계하도록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사망임차인과 동거해온 상속인이 아닌 사실상 혼인관계에 있는 자에 대해 상속인이 아니라는 이유로 선순위상속인이 당해주택의 명도를 청구할 수 있다면 이것은 사망임차인과 동거해온 가족으로서 심각한 사회적인 문제가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주택임대차보호법상 임차권승계와 관련하여 제기되고 있는 문제점을 검토하고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공동주택 거주자의 특성에 따른 에너지사용행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nergy Use Behavior according to Apartment Residents' Characteristics)

  • 조성희;정수진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16-120
    • /
    • 2011
  • With population growth and quality of life improvement, household energy use also has increased. Under this circumstances, consumers are increasingly required to seek for efficient ways of energy saving. However, precedent studies have largely overlooked energy consumers' consumption behavior, and particularly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energy consumption or saving patterns of residents living in apartments, which account for over 50% of the Korean housing market.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apartment residents' energy use behavior according to apartment residents' characteristics in order to efficient energy use and management. To this examination, survey was conducted of housewives living in apartments in Busan, and 403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 WIN 12.0 program. With respect to their energy behavior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subjects, it was different depending on income, housing size, age, the length of residence, and the education standard. When higher income group and larger housing size group, residents were not doing 'passive saving' and 'comfort oriented.' When younger, they were 'comfort oriented.' When well-educated, they were 'comfort oriented.' Also, with regard to the length of residence,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effective guidelines in efficient management, policy making, and education method reflecting energy use behavior of energy users.

  • PDF

거주자의 공동주택관리 업무에 대한 인식과 관리참여 의사 (Residents′ Attitudes toward Multi-Family Housing Management and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 은난순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2권3호
    • /
    • pp.35-46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sidents' opinions on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satisfaction with, the managerial service of multi-family housing. Residents' participation in managerial activities was also examined, because residents' opinions should be taken into serious consider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housing management. Research methods used in this study were survey, field study, and content analysis of professionals' opinions. Survey data of 520 residents who live in multi-family housing were analyzed by means, frequencies, correlation, chi-square tests, t-tests, one-way ANOVA, post-hoc estimation (Scheffee test), and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any residents were dissatisfied with the quality of managerial service, but they thought that managerial services were very important. For example, they thought that safety inspection of the playground was very important, yet the current level of service was not satisfactory.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s that determined the degree of residential satisfaction were income the location of the residence, and degree of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 events. Third, the residents generally did not want to participate in the managerial services and community programs through such activities as participation in resident committee. In order to improve the housing management efficiency, residents' participation is critical. Some participants in this study pointed out that the details of management service and future plans need to be made public. New management models need to be developed to promote residents' participation and increase their satisfaction in the management.

노후공동주택의 거주성능 평가에 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Evaluation of Residential Performance for Deteriorated Multi-family Housing)

  • 현택수;이병태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77-85
    • /
    • 2006
  •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of performance multi-family housing. Most of the existing studies for the reproduction have evaluated by the safety of structure. Therefore those pass over the functional factors which is important for the evaluation of residential qualities. This study represents that the reproduction renovation should not be secured the safety of structure but established the quality of lift. And questionnaire asking expert's opinion also supplemented. As a result, the item for examination and the weight for evaluation are suggested in functional deterio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Existent redevelopment criteria are not appropriate to decide the environmental comfort, the vital function of housing and the residential management finance. 2. The future criteria have to evaluate the existing environmental comfort, be reconstructed to put first general deterioration. 3. Evaluation elements was extracted throughout the document research, evaluation elements analysis system was separated in residential area, suburb of dwellings, community, and housing complexity environmental assesment, 4. Each category of influence ratio was extracted to assess total deterioration throughout the expert question survey. 5. Each category analysed (1) $0{\sim}30%$: function is good (unnecessary to improve) (2) $31{\sim}40%$: average (necessary of partial improvement) (3) $41{\sim}59%$: bad (necessary of total improvement) (4) $60{\sim}100%$: the worst (unable to improve throughout the repair)

거주자의 다양성 수용을 위한 가변형 공동주택의 Support와 Infill 시스템에 관한 연구 - 부산시 전용면적 126.6 m$^2$ 아파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upport and Infill System of Flexible Housing Units in Apartment Houses for Meeting the Residents' Variety - Focused on 126.6m$^2$-Sized Apartment in Busan -)

  • 김민경;오찬옥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1-175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Support and Infill system for 126.6m$^2$-sized housing unit which meets residents' variety. The subjects were 100 housewives who lived in 126.6m$^2$-sized housing unit in the apartment complex, Busan. The data was collected by using model and questionnaire. The model was made to be same as the current 126.6m$^2$-sized floor plan. The residents preferred the flexible housing unit apartment complex. Also, the residents' needs for floor plan of housing unit were various.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flexible housing unit is needed.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the support and infill system for 126.6m$^2$-sized housing unit was suggested.

  • PDF

고령자가 인지하는 지역환경의 고령친화정도 - 일본 나가사키 지역의 물리적 환경을 중심으로 - (The Degree of Age-Friendliness of Living Environments Perceived by the Aged - Focused on the Physical Environments of Nagasaki Area in Japan -)

  • 김수영;배용준;오찬옥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5권5호
    • /
    • pp.199-211
    • /
    • 2016
  • 본 연구는 일본 나가사키시 지역에 거주하는 고령자가 거주지역의 물리적 환경을 어느 정도 고령친화적이라고 인지하고 있으며 이는 고령자의 특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조사대상은 일본 나가사키시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고령자 96명이었으며 조사내용은 고령자와 관련된 근린생활시설의 위치와, 보행로, 교통, 노인공동주택의 제공정도, 주택 내부공간, 주택 내부공간의 휠체어 사용편리성의 5개 영역으로 구성된 지역환경의 고령친화도이다. 자료수집은 일대일 면접조사방법으로 하였다. 조사결과, 첫째, 고령자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대부분의 근린생활시설들이 도보거리 내에 있거나 버스로 10분 이내의 비교적 가까운 거리 내에 위치하고 있었다. 둘째, 지역환경의 5개 영역 중 교통환경과 주택 내부공간, 보행로 영역은 전반적으로 고령친화적으로 되어 있는 반면 노인주택의 제공정도와 주택 내부공간의 휠체어 사용편리성은 다소 미흡하였다. 셋째, 조사대상 고령자의 특성 중 성별과 학력에 따라서는 지역환경의 고령친화도에 대한 인지가 유의미하게 차이를 보였다.

공동주택 발코니 개조 방안 (A Scheme for the Balcony Rebuilding in Apartment Building)

  • 이희복;김은태;박찬식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4년도 제5회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468-471
    • /
    • 2004
  • 입주자의 선호도를 무시한 획일적 평면의 공급으로 인해 공동주택 발코니 개조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으며, 이로 인해 국가적 손실과 많은 문제점을 유발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많은 선행 연구들은 발코니의 사용실태, 발코니의 개조비율과 개조유형을 조사하여 평면계획상의 개선방안만을 거론하였을 뿐, 개조비용을 산출한 연구는 전무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첫째, 설문을 통해 발코니의 개조비용을 추정하고, 둘째, 건설회사 분양방식, 거주자의 의식, 관련법령 측면에서 발코니 개조 원인을 분석함으로써, 각 측면에서 발코니 개조를 양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 PDF

초고속정보통신 서비스 수용을 위한 댁내통신 (Study on Operating Environment of Customer Premises Facilities for Very High-Speed)

  • 이상무;이영환;조평동;류명주;서태석;권세혁;임광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18권1호통권79호
    • /
    • pp.7-16
    • /
    • 2003
  • 최근 정보통신 서비스의 제공 영역은 댁내로 그 초점이 맞추어지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 거주 환경은 주로 아파트 등에 의한 공동주택이므로 초고속 정보통신 서비스를 댁내로 효과적으로 유입하려면 이에 적합한 연계 시설이 이루어져야 한다. 최근의 통신기술은 나날이 발전하고 있어 기존의 전화망 설비를 기반으로 하더라도 새로운 네트워크 구성 방식이 요구되고 있기 때문에 댁내(공동주택 구내)의 통신설비 또한 새로운 양상으로 진화되고 있다. 이러한 댁내통신설비의 수용을 위하여는 그 확보 공간과 최적의 운용을 위한 환경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내용은 댁내통신설비의 설치 공간과 운용환경 중에서도 특히 운용환경에 대한 것으로서 위와 같은 새로운 초고속통신망 서비스 수용을 원활히 이룰 수 있도록 기존의 열악한 환경을 개선하고 적절한 환경 기준 또는 표준을 마련하기 위하여 댁내통신설비와 관련된 국제표준 중심의 각종 기준들을 분석하고 이에 더하여 실제의 공동주택 현장에서의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그 개선 방안을 절충함으로써 앞으로의 댁내통신설비 기술의 발전 추세에 발맞추고자 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