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동거주(共同居住)

검색결과 295건 처리시간 0.023초

CPTED 설계요소에 대한 공동주택주민의 만족도 인식: CPTED 적용수준별 집단과 거주기간, 범죄예방노력의 교호작용효과 (Satisfaction Realization of Apartment House Inhabitants for CPTED Design Element: To with Group by CPTED Application Level, Reciprocal Action Effect of Crime Prevention Effort)

  • 최현식;박현호
    • 시큐리티연구
    • /
    • 제22호
    • /
    • pp.231-258
    • /
    • 2010
  • 본 연구는 공동주택 주민의 거주기간, 범죄예방노력을 배경변인으로 하여 만족도 분석과 세분화된 집단의 상호작용을 통해 주민인식 관점에서 범죄로부터 안전한 생활공간 구현과 범죄의 두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CPTED의 설계방안을 도출하는데 있다. 요인분석결과 도출된 전체 집단(Total group) 8개 요인의 만족도지수는 모두 0 이상으로 제시되어 긍정적이며, 꽤 수용할 만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2차 설계집단(Group1) 8개 요인의 만족도지수는 모두 0 이상으로 제시되어 긍정적이며, 기계적 접근통제, 기계적 감시는 꽤 수용 할 만한 수준이고, 나머지 6개차원에서는 적절한 수준을 나타났다. 1 2차 설계집단(Group2)은 8개 요인의 만족도지수는 모두 0 이상으로 제시되어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차원에서 꽤 수용 가능한 수준으로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Two-way ANOVA를 분석한 결과는 거주기간에 따른 집단의 환경설계의 만족도 차이는 CPTED의 8개 모든 차원에서 1 2차 설계집단의 만족도가 높으며, 거주기간에 따른 만족도는 자연적 접근통제, 자연적 감시의 2년 미만집단에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집단과 거주기간간 교호작용효과는 조직적 접근통제와 자연적 접근통제의 1 2차 설계집단 보다 2차 설계집단에서 2년 미만에서 만족도가 높으며, 나머지 2개의 하위집단에서 1 2차 설계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범죄예방노력에 따른 집단별 만족도 차이는 CPTED의 8개 모든 차원에서 1 2차 설계집단의 만족도가 높으며, 범죄예방노력에 따른 만족도 차이는 2차 설계집단에 '상'집단에서 만족도가 높으며, 교호작용효과는 기계적 접근통제, 조직적 접근통제, 자연적 접근통제, 영역성 강화에서 1 2차 설계집단 보다 2차 설계집단의 '상'집단에서 높으며, 1 2차 설계집단에서 '중'과 '하'집단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 PDF

중국 공동주택의 범죄 예방을 위한 디자인과 소비자의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rime Prevention Design and Consumer Perception (CPTED) of Multi-Family Housing in China)

  • 콩더신;이동훈;박해림
    • 서비스연구
    • /
    • 제14권1호
    • /
    • pp.63-76
    • /
    • 2024
  • 공동주택은 사람들이 생활하고 거주하는 중요한 장소이자 소통 공간으로서 그 주거 환경의 좋고 나쁨이 주민의 행복감과 안정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에 기반한 공동주택의 범죄예방디자인(CPTED)이 필요하다. 하지만, 중국의 범죄 관련 데이터를 대중에게 공개하지 않고 있어 중국의 학자들은 정확한 범죄 데이터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수행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로 인해 범죄예방 측면에서 범죄예방디자인의 이론 구축과 적용이 늦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공동주택의 범죄예방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각 요소의 중요도, 공동주택 범죄예방디자인 인식개선 방안 등 세 가지 측면을 연구하여 공동주택의 범죄예방디자인 원칙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고, 공공의 안전을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 주택 소비자의 범죄예방에 대한 인지도를 파악하기 위해 관련 연구 보고서와 선행문헌을 통해 중국 범죄예방디자인의 현황 및 개발 동향을 조사했다. 또한, 중국 소비자의 공동주택에 대한 범죄예방디자인 인식과 공동주택 범죄예방디자인 각 요소의 중요도 와 인식개선 방안을 파악하기 위해 중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리커트 척도(Likert Scale)에 기반한 설문 조사와 통계 패키지인 SPSS의 신뢰도 분석을 이용하여 공동주택 범죄예방디자인의 인지 상황, 각 요소의 중요도와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가 실제 효과에 대한 검증이 부족한 점을 고려할 때, 향후 연구에서는 범죄예방디자인의 효과를 검증하고 보다 실질적인 결과를 도출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더불어, 지역 특성에 맞는 안전 솔루션을 도입하고 주민들의 안전 의식을 높이는 교육과 정보 확산을 통해 지역사회의 안전을 촉진하는 방안을 연구하는 것도 중요하다. 연구 결과를 통해 도출된 공동주택의 범죄예방디자인에 대한 인식도와 각 요소의 중요도 및 개선 방안은 향후 중국 지역을 기반으로 한 공동주택 범죄예방디자인 개발에 기초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지하주차장 공사시 주동진입방법 선정 영향요인 도출 (Deduction of affecting factors for selecting the way of going into the main building of an apartment complex when constructing an underground parking lot.)

  • 송낙현;황경진;이찬식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995-998
    • /
    • 2007
  • 20년 이상 경과된 노후 공동주택의 세대수는 향후 10년 이내에 100만 세대 이상으로 급격히 증가될 전망이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리모델링이 활성화되고 있다. 주차장확대는 리모델링에 대한 요구사항 중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주차장확대 공사시 주동진입방법은 흙막이공법 선정, 엘리베이터 설치, 주차대수 등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주차장 공사시 주동진입방법 선정 영향요인을 도출하였다. 연구방법은 주차장확대 방식과 주동진입방법에 대해 조사한 후 전문가들과의 심층면담을 통해 주동진입방법별 특징을 검토하였다. 그 후 각각의 방식별 특징을 분석하여 주동진입방법 선정 영향요인을 도출하였다. 영향요인은 대분류에 시공성, 편의성, 경제성이 있고 소분류에 공동주택 지하층 유무, 공동주택 철거유무, 공동주택 안전, 주차공간 확보, 거주중 공사가능성, 주차장진입 편의성, 공사비, 공사기간이 있다. 본 연구는 노후공동주택의 지하주차장 공사시 주동진입방법 선택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PDF

지역성을 반영한 공동주거 평면디자인 개발을 위한 연구 -POE를 이용한 거주자 평가를 기초로 - (A Study on the Design of Apartment Housing Units Based 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 오찬옥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40호
    • /
    • pp.76-85
    • /
    • 2003
  • This study was intended to suggest the design alternatives of housing units which were developed on the basis of POE. The POE of the New Apartment Complex in Gimhae was carried out an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POE, the design alternatives of housing units were developed. The subjects were 372 housewives who live in the apartment houses sized 60m2 to 85m2 in Gimhae. They answered about the living characteristics related to house, the degree of saisfaction with their housing unit plans, and the needs for housing unit plan. The major problems in current housing unit were the lack of storage space and the small size of living room and children's bedrooms. Many residents wanted to live in the housing unit which have three bedrooms and some of them wanted two bedrooms. Also, they wanted to enlarge living room and instead of that, to reduce master bedroom. In addition to these, the residents had diverse housing need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housing alternatives which are flexible and optionable were suggested.

공동주택 거주자의 주거관리의식 - 서울시 아파트와 연립, 다세대 주택을 중심으로 - (Attitude of resident to the management of multihousing - In case of aparment and raw houses, multi-family houses)

  • 강순주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1994년도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상
    • /
    • pp.37-44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sent necessity of manament system establishment and policy direction for fundmental data, understanding management reality and problem, comparing resident's management attitude to related variables in apartment and raw houses multi-family houses. The major finding were as follows : 1) The management attitude of Apartment inhabitant is very highm especially the attitude of maintenance management is the higest. But they disagree with the raise of management cost necessary to maintenance management. 2) The management attitude of Raw multi-family houses inhbitant is especially high, the maintenance management demand for safety and community-life contol attitude, resident's mutual cooperation is especially high, they think much of autonomy management, desire to achieve under more sysemnatic plan.

  • PDF

공동주택 리모델링에 대한 거주자의 의식과 요구 (Needs and Wants of Apartment Housing Residents on Remodeling)

  • 이지순;윤정숙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79-86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guidelines for the remodeling understanding the needs of apartment housing residents. In order to achieve our goal, questionnaire surveys were used. We sampled the questionnaire surveys of the households in Seoul whose apartments had been more than ten years and recently remodeled. The materials collected by a questionnaire survey were analyzed by examining the frequency, percentage on the SPSS/PC+ Statistics package.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were as follows: (1) Residents tend to demand better environment than an economics benefits from remodeling. (2) Residents wanted to have organized the remodeling group that can help to solve the problems concerning profit and loss among residents. (3) Residents wanted to be supported by government, expand loans from monetary organizations, and have a reserve fund for the remodeling.

공동주택 거주자의 옥외공간 이용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sidents' Use and Behavior of the Outdoor Space in Multi-Family Housing)

  • 이영호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259-268
    • /
    • 1999
  • This study aim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outdoor environment for the improvement in the residents' quality of life and analyze residents' outdoor behavior(physical and psychological) pattern in terms of relation to outdoor environment in Multi-Housing Complexes. Our survey was performed to the residents of 6 Multi-Housing Complexes located in Pusan, and analyzed residents' consciousness, use and evaluation in relation to outdoor spa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lti-Housing Complex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l. The outdoor space is classified into resting space, green space, parking space, play space and sport space. Most of residents recognize that green space and parking space are the most important of the outdoor space. 2. Mainly, wives use for stroll and talk, husbands use for sports and stroll, and children use for sports and play. 3. The parking space is the highest score and sport space is the lowest score according to the residents' evaluation of the outdoor space, and yet sport space must be considered in planning of outdoor space because the residents' needs are high.

  • PDF

공동주거건축에 있어 계획공간과 거주공간의 공간배열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Space Configuration of Housing Space with and without furniture in the Apartment House)

  • 한은주;최무혁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33-43
    • /
    • 2001
  • This study had a aim to present a detailed investigat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occupied and occupied space in the apartment house. In this connection,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space configuration of the residential space with and without furniture for 3LDK plan in the apartment housing by the comparative method. The space configuration analysis which represents results a numeral and graphical ways is based on the relation between the space and the social chan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ere a various width of change of the integration value which represented the space configure between the residential space with and without furniture according to the sample plans. It means that the residential space redefine by residence, though the architect design the perfect plan to be considered user.

  • PDF

주택환경개선지구 10곳 새로 지정

  • 한국주택협회
    • 주택과사람들
    • /
    • 7호통권24호
    • /
    • pp.24-29
    • /
    • 1992
  • [ $\circ$ ] 한국주택협회는 주거환경이 열악한 광명시 철산지구 등 10개지구를 주거환경개선지구로 새로이 추가하여 지정하였다. 주거환경개선지구로 지정된 이들 지구는 시장 등이 수립하는 개선계획에 따라 소방도로 등 기반시설의 정비와 아울러 기존의 주택을 개량하거나 새로이 공동주택을 건설하게 되며 이때, 정부에서는 한국주택은행을 통하여 호당 1,400만원까지 장기저리의 자금을 융자지원하게 된다. $\circ$ 도시영세민이 거주하는 불량주택밀집지역에 대하여 시행하는 이 사업은 ''92. 4. 14 현재 199개 지구가 사업지구(주거환경 개선지구)로 지정되었고 개선계획이 확정된 73개 지구에서는 이미 사업이 활발히 진행되는 등 호조를 보이고 있다. $\circ$ 정부는 ''99년까지 전국 502개 지구에 대한 주거환경개선사업을 완료하여 ''달동네''를 살기 좋은 주거단지로 조성할 계획이다.

  • PDF

공동주택단지 주거 서비스에 대한 거주자들의 태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sidents' Needs for the Residential Services of Multi-family Housing)

  • 강혜경;조성희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 /
    • pp.201-206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sidents' needs fer the residential services according to residents' characteristics in multi-family hou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t was found that the 22 elements were selected as the residential services and they were categorized by 5 factors for the analysis 2) The ranked favorable needs of residential-services were the garbage separation(M=3.97), the apartment complex management (M=3.89), the parking management(M=3.88) etc. orderly. 3) As to there results analyzing the needs for the residential service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needs according to the residents' characteristics. Therefore, this study emphasized on the necessity of the planning to classify the residential services according to the residents' characteristic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