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대공 유도탄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5초

22조원 규모로 성장한 공대공 유도탄 시장

  • 장명진
    • 국방과기술
    • /
    • 1호통권143호
    • /
    • pp.37-49
    • /
    • 1991
  • 앞으로 NATO와 우방국들이 보유하는 전투기의 숫자는 4천-4천5백대에 이르게 됩니다. 그리고 향후 10년 동안에 걸쳐 이들 전투기들은 새로운 공대공 유도탄으로 재무장해야 할 상황에 처해있습니다. 따라서 어림잡아 계산하더라도 연간 약 22조원 이상의 물량이 서방의 방위산업체들이 참여하는 시장으로부터 조달되어져야 할 것이며, 이 물량의 3분의 2정도는 미국 이외의 서방국가에 할당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PDF

공대공 유도탄의 동적발사영역(DLZ) 산출 알고리듬 (Computation Algorithm for Dynamic Launch Zone of Air-to-Air Missiles)

  • 박상섭;김도완;홍주현;유창경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2권9호
    • /
    • pp.762-772
    • /
    • 2014
  • 전투기 탑재용 무장제어 알고리듬은 교전상황에서 전투기의 임무 수행 및 생존과 직결된다. 무장제어 알고리듬은 조종사에게 DLZ라 불리는 표적 격추 가능 범위를 HUD에 전시해 준다. DLZ는 교전거리 계산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생성된다. 본 논문에서는 AIM-9과 AIM-120 공대공 유도탄의 DLZ 구성요소에 대해 소개하였다. 다음으로 가상 6-자유도 실시간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기반한 DLZ 산출 알고리듬에 관한 내용을 다루었다. 다양한 교전 시나리오 하에서 공대공 유도탄의 DLZ 산출 알고리듬 운용상의 특징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조사하였다.

전투기 레이다의 시계 외 중거리 공대공 유도탄 데이터링크 연동방안 연구 (A study on the datalink Interface between fighter jet RADAR and BVR AA guided missile)

  • 김용민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7권4호
    • /
    • pp.453-456
    • /
    • 2023
  • 전투기는 적의 공대공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탐색기(seeker)가 탑재된 유도탄을 운용한다. 단거리 유도탄(SRM; short range missile)은 주로 IR 탐색기를 탑재하고 시계 거리 밖의 표적에 대응하는 중거리 유도탄(MRM; medium range missile)은 대개 RF 탐색기를 장착한다. 중거리 유도탄은 발사되더라도 탐색기의 탐지범위에 도달할 때까지 탐식기가 작동하지 않으며 항공기에 탑재된 레이다로 중거리 유도탄을 일정 거리만큼 유도해야 한다. 이런 유도 방식을 MDL (missile data link)이라 하며, 유도탄의 통신 방식에 따라 단방향 방식과 양방향 방식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두 가지 통신 방식에 따른 MDL과 이를 위한 레이다, 임무컴퓨터 및 유도탄 간의 연동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Helmet Mounted Display 장비를 사용한 공대지 표적의 위치정보 획득 (Location Information Extraction of An Air-to-Ground Target using Helmet Mounted Display Device)

  • 방극열;하석운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1-7
    • /
    • 2011
  • 무장 전투기와 같은 공격용 항공기는 정밀한 공대공 또는 공대지 공격을 위해 표적의 정확한 위치 정보를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레이더나 FLIR과 같은 표적추적센서 없이 공대공 유도탄의 seeker head를 조종사의 머리가 가리키는 방향으로 유도하는 장비인 HMD만을 사용하여 공대지 표적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시뮬레이션 실험을 행한 결과 HMD를 수동 센서로 사용할 경우 다른 표적추적센서와의 연동 없이 HMD 만으로도 높은 정밀도의 표적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