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기 정화

Search Result 279,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유류오염토양 정화를 위한 Phytoremediation 이용에 관한 연구

  • 심지현;이준규;장윤영;심상규;황경엽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1998.11a
    • /
    • pp.146-150
    • /
    • 1998
  • 현재 세계적인 토양환경복원의 추세는 단기간의 높은 처리효율을 기대하는 장치위주의 복원기술적용에서 좀 더 처리시간은 걸리나 저비용의 효율적인 처리기술선택으로 옮겨가고 있다. 이는 지금까지 무리한 투자에서 발생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취해지고 있는 변화로 식물을 이용한 환경복원기술(phytoremediation)은 이러한 변화에 가장 잘 부응하는 발전 가능성이 매우 높은 미래 복원기술 가운데 하나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phytoremediation을 이용하여 디젤로 오염된 토양을 복원하고자 하였다. 먼저 대상오염물에 대한 정화능을 나타내는 식물을 선별하기 위해 알팔파, 옥수수, 피, 물피의 오염농도별 생장 률을 살핀 결과 알팔파가 오염농도에 따른 성장저해를 가장 덜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알팔파의 발아 test를 거친 후 실제상황을 모사하기 위한 column test를 실시하여 디젤의 제거효율을 살펴보았다. 1)외부로부터 pipe line을 따라 공기를 주입하여 산소를 보충한 처리구와 2)알팔파를 심은 처리구, 3)알팔파와 공기를 넣어준 처리구를 설계하여 디젤의 제거과정을 알아본 결과 제거효과가 가장 높은 처리구는 공기와 알팔파를 함께 넣어준 처리구였다. 이를 통해 유류로 오염된 토양에서 산소가 미생물활동에 커다란 제한요인이라는 것과 공정에 공기주입구를 장착함으로써 식물만으로 처리할 때 대두되는 시간적 제약의 문제를 다소 경감시킬 수 있음이 밝혀져 앞으로 이의 활용가능성이 주목된다.

  • PDF

Prediction of Air Exchange Performance of an Air Purifier by Installation Location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인공신경망 기반 공기정화기 설치위치에 따른 공기교환성능 예측)

  • Kim, Na Kyong;Kang, Dong Hee;Kang, Hyun W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Visualization
    • /
    • v.20 no.2
    • /
    • pp.21-27
    • /
    • 2022
  • Air purifiers can be placed where the air cleaning is required, making it easy to manage indoor air quality. The position of the air purifier affects the indoor airflow pattern, resulting in different air cleaning efficiency. Many efforts and strategies have been examined through numerical simulations and experiments to find the proper location of the air purifier, but problems still remain due to the various geometrical indoor spaces and arrangements. Herein, we develop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o predict the performance of an air purifier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To obtain the training data, numerical simulations were performed on the different locations of the air purifiers and airflow patterns. The traine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predicted the air exchange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air purifier with a prediction accuracy of 92%.

Air Purification of Smoking Booth Using Photocatalytic Process and Air Filter (광촉매공정과 필터를 이용한 흡연부스 공기정화연구)

  • Kim, Tae-Young;Cho, Yeong-Tae;Kim, Jae-Yong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27 no.4
    • /
    • pp.433-438
    • /
    • 2016
  • The current study evaluated the air quality of the smoking booth equipped with the air purification system consisting of photocatalysts and air filters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s of hazardous substances of tobacco smoke such as CO, HCHO, $CH_3CHO$, PM10 and PM2.5. To enhance the removal efficiency of hazardous substances, an infrared ray was exposed to improve the reactivity of OH radical generated from the photocatalyst toward environmental tobacco smoke (ETS) gas phase hazardous materials. It was found that the smoking booth with the air purification system improved the removal efficiency of hazardous substances containing formaldehyde by 85.2% compared to that of the smoking booth without any purification systems. In addition, the removal efficiency of the fine dust after treatment was enhanced up to 89.4%.

Filterless Removal of PM2.5 Dusts by Condensational Growth (응축성장을 이용한 PM2.5 초미세먼지의 무필터 제거)

  • Pyo, Juwon;Lee, Donggeu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41 no.4
    • /
    • pp.221-228
    • /
    • 2017
  • We proposed a novel method to remove PM2.5 dusts without HEPA filters aiming at applications in kitchens or enclosed work spaces generating PM2.5 at high concentrations. Many workers are exposed to PM2.5 owing to lack of air purification because the high replacement costs of HEPA filters make their application impractical. A key idea is to use the condensational growth of nanoparticles. Once particles grow to the size of a few micrometers, it is much easier to remove them because of their increased inertia. We developed and tested a prototype consisting of an air saturator (equipped with water spray nozzles), a condenser in which humid air was cooled down to make the particles grow, and a multi-impactor assembly for collecting the grown particles.

Mosquito Net type Harmful Air Breaker (방충망형 오염공기 차단기)

  • Hwang, Dong-Hyeon;Kim, Yong-Jin;Lee, Woo-Cheol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5.11a
    • /
    • pp.175-176
    • /
    • 2015
  • 봄철 황사나 대기오염으로 인하여 실내에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고 있다. 이를 정화하기위해 현재 실내에서는 공기청정기를 사용한다. 그러나 기존의 공기청정기는 이미 실내공기가 오염되었을 때 작동한다. 이를 보완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방충망형 오염공기 차단기를 제안하였다. 방충망형 오염공기 차단기는 방충망에 고압의 DC 전압을 인가하여 코로나현상을 일어나게 하도록 만든 장치이다. 코로나 현상이 일어나면 주변 공기가 이온화 되는 원리를 이용하였다. 고압의 DC 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해 Full-Bridge 인버터를 이용하여 LC공진으로 변압기의 1차측 전압을 상승시켰고, 권선비를 이용하여 변압기 2차측 전압을 승압하였다. 마지막으로 배전압 정류회로를 설계하여 최종 DC전압을 생성하였다. 실험을 통해 제안한 방식의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