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기흡입구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7초

비대칭 공기흡입구를 통해 전파하는 소음의 방사특성에 관한 수치적 연구 (Numerical Investigation on Radiation Characteristics of Noise Propagating through Asymmetry Aero-Intake)

  • 박용환;김민우;이규호;이수갑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476-1481
    • /
    • 2007
  • Numerical investigation on radiation characteristics of discrete frequency noise from asymmetry aero-intakes was carried out. The near-field predictions were obtained by solving the linearized Euler equations with computational aeroacoustic techniques consisting of high order finite difference scheme, non-reflecting boundary conditions, oversetgrid techniques. For the prediction of far-field directivity pattern, the Kirchhoff integral method was applied. By comparing the directivities of noise radiating from the scarf and the scoop aero-intakes with that from an axisymmetric aero-intake, it is shown that noise reduction at downward peak radiation angle can be achieved. The scattering of the radiating acoustic wave by background mean flow shifts the peak lobe radiation angle toward ground and increases the amplitude of the acoustic pressure compared with the cases without mean flow effect.

  • PDF

회전익기 공기흡입구 주위 방빙장치 성능 해석 (Investigation of the Performance of Anti-Icing System of a Rotorcraft Engine Air Intake)

  • 안국빈;정기영;정성기;신훈범;명노신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53-260
    • /
    • 2013
  • 회전익기의 공기흡입구 주위 표면에 발생한 결빙은 엔진의 성능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비행 안전성에 심각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 항공기 표면에 발생하는 결빙현상을 분석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결빙 풍동 시험 및 비행시험에 비해 전산유체역학을 기반으로 한 결빙 시뮬레이션은 매우 효과적인 도구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결빙조건에서 회전익기 공기흡입구 부근에 설치된 방빙장치의 작동 유무에 따른 결빙의 양과 발생 영역을 CFD 예측기법 및 결빙 풍동시험을 통해 분석하였다. 방빙장치를 작동시킨 경우 공기 흡입구 표면에서의 결빙의 질량과 최대 두께가 약 80% 이상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무인 항공기 공기 흡입구의 복합재 적용 구조 설계 및 해석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al Design and Analysis of Air Intake of Unmanned Aerial Vehicles Applied to Composite Materials)

  • 최희주;박현범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81-85
    • /
    • 2022
  • 본 연구에서 항공기 엔진의 공기흡입구 복합재 적용 구조 설계 및 해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계를 위해 대상 구조물의 구조 설계 요구조건 분석을 수행하였다. 구조 설계 하중은 압력 분포 하중과 가속도 조건을 적용하였다. 구조 설게 결과를 검증하기 위한 구조 안전성 평가를 위해 유한 요소 해석이 수행되었다. 구조 안전성 평가를 위해 응력 해석, 변형 해석, 좌굴 해석이 수행되었다. 최종 구조 안전성 검토를 통해 설계된 공기흡입구는 안전성을 확보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터보프롭 항공기용 흡입구 덕트 및 가변형 관성분리기 조립체 설계 및 시험 (Design and Test of an Assembly of Air Intake and Variable Geometry Inertial Separator for a Turboprop Aircraft)

  • 김원철;오성환;이상효;박종하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1권9호
    • /
    • pp.714-719
    • /
    • 2013
  • 본 연구 대상 터보 프롭 항공기는 주어진 항공기 임무 수행을 위해 결빙 조건하에서도 운용이 가능하여야 한다. 동 연구에 적용된 터보 항공기의 공기 흡입구 계통은 정상 비행조건하에서 엔진 입구에 최대 전압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계 및 검증이 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결빙조건하에서 생길 수 있는 얼음과 같은 입자가 엔진 흡입구 망으로 들어가서 엔진 화염꺼짐이나 엔진에 심각한 손상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한 관성분리기를 포함하도록 개발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결빙 조건하에서 형상이 변하는 가변형상의 공기흡입구 조립체를 설계하고 설계 결과 확인을 위해 조립체에 대한 전산 유동 및 구조해석을 수행하였다. 이후 35% 축소형 모델을 제작하여 풍동시험을 수행하였다. 동 논문에서는 흡입구 조립체 개발과정에서 요구되는 공기역학적 설계, 잔산 유동/구조 해석 및 풍동 시험평가 결과를 기술하였다.

Mach2.2 램제트엔진 항공흡입구 모형의 공기역학적 특성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Air Inlet Model for Ramjet Engine Mach Number of 2.2)

  • 박종호;신완순;신필권;박용철;김윤곤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1998년도 제11회 학술강연회논문집
    • /
    • pp.12-12
    • /
    • 1998
  • 무기체계의 추진체로서 고체 로켓트 추진기관이 제작의 용이성, 구조의 간단성, 이에 따른 저렴한 제작비, 그리고 고 신뢰도 확보가능 등의 여러 장점으로 대부분의 현존 전술 유도무기에 채택되어 사용되어 오고 있으나 대응, 방어 무기체계의 빠른 발전으로 이에 따른 새로운 추진기관의 유도무기체제가 요구되고 있다. 램제트 기관은 공기흡입추진기관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비추력(1000-2000s)과 추력 중량비(∼20)을 가지며, 이로 인해 기존의 로켓 엔진에 비해 4-5배의 성능을 낼 수 있으며, 초음속 장거리 비행에 적합하다며, 또한 높은 속도영역까지 운용가능하고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다.

  • PDF

마하4 초음속 공기 흡입구 유동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Flow Characteristics of Supersonic Air Intake at Mach 4)

  • 이형진;정인석;최정열;김성돈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4권10호
    • /
    • pp.61-70
    • /
    • 2006
  • 마하 4 비행 조건에서 작동하는 고성능 램제트와 듀얼모드 스크램제트 엔진의 초음속 공기 흡입구 모델을 설계하였다. 배압, 받음각, 요각 등 비행 변수의 변화에 따른 내부 유동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규슈대학교의 불어내기식 초음속 풍동을 이용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유동 가시화를 위하여 쉴리렌 기법, 오일 가시화 기법을 이용하였으며, 정량적 성능 분석을 위하여 표면 압력 및 전압력을 측정하였다. 실험의 결과는 전산 유체 해석과 비교하였다. 본 연구는 기본적이지만 찾기 힘든 고 마하수 초음속 공기 흡입구 유동의 실험 결과를 제시한다.

모델 및 구성품 기반 초음속 추진기관 실시간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Model and component based modeling and simulation of a supersonic propulsion system)

  • 최종호;박익수;이재윤;김중회;김익수;윤현걸;임진식;김철배;박재만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1년도 제37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579-583
    • /
    • 2011
  • 램제트 및 스크램제트와 같은 공기흡입식 추진기관의 구성품 기반 모델 및 추진시스템 시뮬레이션에 대해 연구하였다. 시뮬레이션 모델은 엔진제어기 및 연료공급 시스템을 포함하여 공기흡입구, 연소기, 노즐 등으로 구성된 공기흡입식 추진기관의 특성을 고려하여 각각의 구성품을 종합한 모델로 구현하였다. 엔진의 성능 및 제어기의 동작 특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제 환경을 모사하여 실시간 기반 Hardware In the Loop System(HILS)을 구현하였다.

  • PDF

배관내 자유수면에서 와류현상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free surface vortex in the pipe system)

  • 오율권;장완호;이종원;김상녕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6권11호
    • /
    • pp.2126-2135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원자력 발전소중 영광 3,4호기의 설계자료를 토대로 1/6 크기로 축소한 모델실험을 통해서 공기흡입이 발생하는 임계수위를 결정하는 상관식을 개발하였으며 또한 공기흡입구를 reducer type으로 개선함으로써 공기흡입을 방지할 수 있음을 밝혔다.

서로 다른 램제트 흡입구에 따른 공기역학적 특성 연구 (The Study of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Ram-jet with Different Intake)

  • 박순종;박종호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9-16
    • /
    • 2010
  • 고체연료 램제트 추진의 경우 간단한 구조에 비해 높은 성능과 추진력을 얻을 수 있는 매력적인 추진기관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두가지 유형의(스파이크 & 피토) 흡입구에 대한 공기역학적 특성을 파악함에 있다. 마하수 3.0의 실험조건에서 연소실의 압력과 $0^{\circ}$$4^{\circ}$의 받음각의 변화에 따라 흡입구 벽면의 압력값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 초음속 유동장치와 쉴리렌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행되었으며 동일 실험조건에서 스파이크 형이 피토 형보다 약 2배 높은 전압력 회복율을 나타내었다. 전산유체 해석을 통하여 흡입구 내부흐름을 실험결과 값과 비교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