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기의 저항

검색결과 497건 처리시간 0.019초

평판형 SOFC 분리판 보호코팅 개발 (Cathode side protection coating for Planar-type SOFC interconnect)

  • 이재명;전재호;성병근;김도형;전중환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83.2-83.2
    • /
    • 2010
  • 평판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planar SOFC : Solid oxide Fuelcell)는 높은 전류 효율 및 출력밀도를 가지는 중,대형 발전용 전기소자이다. SOFC 스택을 600~800도에서 작동할 경우, 금속 분리판에서 휘발된 크롬에 의한 열화현상과 금속의 산화에 의한 표면 저항의 증가가 큰 문제점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금속 분리판의 열화를 억제하기 위한 여러 보호코팅의 특성을 밝히고, 특성차이의 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모재는 상용 STS444합금 (Nisshin steel 생산) 2.0mmt 박판을 사용하였으며, 표면 상태를 균일하게 하기 위하여 표면은 동일한 #1200 번 사포로 연마후 코팅하였다. 적용한 코팅은 전기도금 Ni 코팅, (MnCo)3O4 wet powder spray 코팅, (MnCo)3O4 ADM코팅 3종이었으며, 코팅층의 두께는 최적 공정조건에 따라 달리 하였다. 산화후 형성되는 표면 산화물의 전기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험편의 비면적 저항 (ASR : area specific resistance)을 장시간 측정하였다. 측정편의 크기는 가로 4cm ${\times}$ 세로 4cm였으며, 100시간 공기중 산화후 측정하였다. 표면 접촉을 높이기 위하여 Pt paste를 40~50um도포하였으며, 1~0.1A인가된 전류에 대한 저항을 4전극법 (4-probe)으로 측정하였다. 표면 코팅층이 크롬 휘발을 억제하는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크롬 휘발량을 측정하였다. 시편은 가로 1.5cm ${\times}$ 세로 1cm 였으며, 공급된 공기와 수분의 혼합가스와 응축기 표면에 흡착된 크롬의 양을 ICP-MASS법으로 측정하였다.

  • PDF

익형 동체의 하강기류(Down-wash)가 공기역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수치해석연구 (A NUMERICAL STUDY ON THE EFFECT OF DOWN-WASH OF A WING-BODY ON ITS AERODYNAMIC CHARACTERISTICS)

  • 윤경호;김철호
    • 한국전산유체공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8-13
    • /
    • 2013
  • Drag reduction of a running vehicle is very important issue for the energy savings and emission reduction of its power train. Especially for a solar powered electric vehicle, the drag reduction and weight lightening are two serious problems to be solved to extend its driving distance under the given energy condition. In this study, the ground effect of an airfoil shaped road vehicle was studied for an optimum body design of an ultra-light solar powered electric vehicle. Clark-Y airfoil type was adopted to the body shape of the model vehicle to reduce aerodynamic drag. From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drag of the model vehicle was reduced as the height(h) between ground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model vehicle was decreased. It is due to the reduction of the down-wash decreasing the induced drag of the vehicle. The lift was also decreased as the height decreased. It is due to the turbulent boundary layer developed beneath the vehicle body. The drag is classified into two types; the form and friction drag. The fraction of form drag to friction one is 76 to 24 on the model vehicle. As the height(h) of the model vehicle from the ground surface increases the form drag also increases but the friction drag is in reverse.

불소-실리카 복합형 균열저감제가 첨가된 콘크리트의 재료 특성과 수축균열 저항성 (Material Properties and Shrinkage Crack Resistance of Concrete Produced with Fluorine-Silicate Hybrid Type Crack Reducing Agent)

  • 이만익;박종화;남재현;김도수;김재온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553-55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배합강도 30MPa로 설계된 25-30-18 규격의 콘크리트 배합에 불소화합물 및 실리카로 구성된 불소-실리카 복합형 균열저감제(FS)를 시멘트 중량을 기준으로 0.5% 간격으로 2.0%까지 첨가한 후 슬럼프 경시 변화, 공기량 경시 변화 및 블리딩 등의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재료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콘크리트 수화온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과 소성수축 및 건조수축의 저항성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였다. FS가 첨가된 콘크리트의 재료특성에서 슬럼프 및 공기량 경시 변화는 무첨가 콘크리트에 비해 큰 차이가 없었으나 블리딩과 수화온도는 저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화 전 후 소성수축 및 건조수축에 기인된 콘크리트의 수축균열 저항성이 FS를 $1.0{\sim}1.5%$의 첨가함으로써 크게 저감됨을 알 수 있었다.

슬래그를 다량 치환한 콘크리트의 동결융해 저항성능에 미치는 미세공극의 영향 (Effects of Micropores on the Freezing-Thawing Resistance of High Volume Slag Concrete)

  • 김래환;김규용;이보경;신경수;송권용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67-7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슬래그를 다량 치환한 콘크리트의 동결융해 저항성능에 미치는 미세공극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콘크리트는 용선예비처리 슬래그가 포함된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0, 40, 70 % 치환하여 제조하였으며 압축강도 특성 및 동결융해 저항성능과 미세공극을 검토하였다. 또한 설계기준강도와 목표공기량을 설정하고, 동결융해 작용에 따른 열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재령 14일의 낮은 압축강도로 인한 내력저하를 유도하였다. 실험결과, 설계기준강도를 유사하게 설정하고 목표공기량을 확보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콘크리트의 미세공극 분포가 상이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GGBS70 시험체는 동결융해를 받지 않은 초기 0사이클에서 10~100 nm 크기의 공극량이 가장 적어 공극 내 동결할 수 있는 물의 양이 적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이유로 다른 시험체에 비해 동결팽창압력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동결융해 저항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황해형 고속 여객선의 선형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ull form Development of High-Speed Passenger Ship for the Yellow Sea Region)

  • 김호은;이영길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39권4호
    • /
    • pp.42-53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황해의 자연 환경과 물류환경에 대한 조사를 바탕으로, 황해권의 해상수송시스템에 적합한 황해형 고속 여객선에 대하여 선형설계를 수행하였으며, 그에 대한 수치계산과 실험을 통하여 저항 성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황해형 고속 여객선이 인천국제공항의 부족한 육상교통수송수단의 대안으로서 활용되는 것이 적합하다고 판단되었으며, 인천국제공항으로의 해상운송대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계획항로에 대한 경제성의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황해형 고속 여객선의 선형으로는 쌍동선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설계는 기존 고속선 들의 주요제원 및 항로와 수심, 황해권 물류환경 등의 설계 제조건들을 고려하여 수행되었으며, 공기 공동에 의한 저항감소 효과도 검토되었다. 실험에 앞서 수치계산을 수행하여 설계선형의 저항성능을 검토하였으며, 계산 및 실험은 심해조건 뿐만 아니라 운항항로의 얕은 수심을 고려하여 천수조건에 대하여도 수행되었다. 이와 같은 일련의 선형설계와 수치계산 및 실험으로부터 저항성능을 고려한 황해형 고속선형의 설계능력을 확보하였으며, 앞으로의 황해권 해상수송시스템 구축을 위한 활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부선의 파랑중 저항 증가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dded Resistance of Barge in Waves)

  • 안병길;이상민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4권10호
    • /
    • pp.741-746
    • /
    • 2010
  • 선박이 파랑중을 항행할 경우에는 정수중에 비하여 저항이 증가하기 때문에 예부선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예선의 예인마력과 예인삭의 절단하중 등을 산정할 때에 부선의 정수중 저항값 및 파랑중 저항값을 정확히 추정해야 안전한 예항업무를 이행할 수 있다. 현재 정부에서 제안하고 있는 방법에 의하면 부선의 전저항 산정시 마찰저항, 조파저항, 공기저항은 선체의 형상 및 예선의 속력 등을 고려하여 산정하지만 부가저항은 유의파고에 따라 일률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파랑중 부가저항 추정을 위해 수치계산을 실시하여 wigley 선형에 대한 기존의 실험 데이터와 상호 비교함으로서 본 계산법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검증된 수치계산법을 토대로 실무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두개의 부선 모델을 대상으로 계산을 실행한 결과 부선의 부가저항은 파도와의 만남각에 따라 약 0.3∼1.1톤, 예인속력에 따라 약 0.4∼1.2톤, 선수형상에 따라 약 0.5∼1.1톤으로 차이가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자연산화된 자유층을 갖는 NiO 스핀밸브 박막의 자기저항특성 (Giant Magnetoresistance Properties of NiO Spin Valves with Naturally Oxidized Free Layer)

  • 김종기;주호완;이기암;황도근;이상석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04-108
    • /
    • 2001
  • NiO 스핀밸브 박막을 제작하고 이를 공기중에서 80 일간 자연산화시킨후, 형성된 산화층에 의한 NiO 스핀밸브 박막의 자기저항 특성을 연구하였다. NiO(600 $\AA$)Ni$_{81}$$Fe_{19}$(50$\AA$)/Co(7 $\AA$)/Cu(20 $\AA$)/Co(7 $\AA$)Ni$_{81}$$Fe_{19}$(70 $\AA$)의 구조를 갖는 스핀밸브박막을 공기중에서 약 80일 간 자연산화시켰을 때, 자기저항비와 교환결합력( $H_{ex}$)이 각각 4.9%와 110 Oe에서 7.3%와 170 Oe로 증가하였다. 이때, 스핀밸브박막의 비저항($\rho$)값은 28$\mu$$\Omega$m에서 17$\mu$$\Omega$m로 감소하였지만 박막의 비저항값의 변화량($\Delta$$\rho$)는 크기변화가 거의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자기저항비의 증가는 자연산화에 따른 비저항값의 감소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되며, 저항의 감소는 specular 효과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스핀밸브박막의 표면에 형성된 NiFe 산화층의 두께는 약 20 $\AA$인 것으로 추정되며, Auger electron spectroscopy(AE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하였다.다.

  • PDF

공기 유동에 따른 Ni-MH 배터리 모듈의 효과적인 냉각에 관한 연구 (Study for Effective Cooling of Ni-MH Battery Module Using Forced Air Flow)

  • 안치영;김태신;김준범
    • 전기화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53-26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10개의 배터리로 구성된 모듈에 대한 열관리 전산모사를 수행하였다. 배터리의 구조를 단순화 하였고, 전기저항 등가식을 이용한 열전도 이론을 사용하였다. 2.6 mm의 좁은 배터리 사이의 간격에 대한 격자의 신뢰도 검증 실험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 배터리 사이에 최소 3개 이상 나누어진 격자의 형태가 필요하였다. 크게 모듈의 후면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형태, 모듈의 상부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형태 그리고 모듈의 하부에 공기가 유입되는 형태로 나누어 팬과 공기흡입구의 위치에 따른 모듈의 효과적인 냉각방법을 모색하였다. 배터리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모듈의 최고온도와 배터리간의 온도 차이를 비교하였고, 공기의 유속을 비교하여 유체의 거동을 확인하였다. 모듈의 하부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경우, $40.27^{\circ}C$로 가장 낮은 최고온도를 보였고, 모듈의 상부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경우에 $0.73^{\circ}C$로 가장 적은 온도편차를 보였다.

실내공기 중 Nicotine 측정을 이용한 환경중 담배연기의 노출평가 (Evaluation of exposure to environmental tobacco smoke by measure of home air nicotine level)

  • 박연신;이석주;박성은;신동천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44-345
    • /
    • 2000
  • 인류가 흡연을 시작하면서 담배는 보편적인 사람들의 기호식품으로 이용되기도 했으나, 보건학적으로 인간의 건강을 위협하는 가장 위협적인 존재로 인식되고 있다. 흡연자의 담배연기에 비흡연자가 무저항적으로 노출되는 간접흡연의 문제는 생활수준의 향상과 생활활동 양식의 변화,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대로 현대인들에게 매우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환경중 담배연기(Environmental Tobacco Smoke; ETS)는 흡연자의 입, 비강에서 품어내는 주류연(mainstream smoke)과 담배가 자연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부류연(sidestream smoke)이 환경공기 중에 확산된 상태의 담배연기를 일컫는 용어로 실내공기의 주요오염원이다. (중략)

  • PDF

인산형 단위 연료전지의 조업 연구 (Operational Study of the Phosphoric Acid Type Unit Fuel Cell)

  • 이갑수;김화용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3권2호
    • /
    • pp.63-69
    • /
    • 1992
  • 2개의 단위전지를 제작하여 각각 산소와 공기를 산화제로 하여 조업하였다. 산소를 사용한 단위전지의 350시간 조업후의 개전압 강하는 30mV였고 내부저항도 증가하였다. 공기를 사용한 단위천지의 250시간 조업후의 개전압강하는 130mV였고 산소를 사용한 경우와는 개전압 차이는 90mV였다. 공기를 이용한 단위전지의 조업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는 전해질의 공급방법과 전극의 물질전달특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