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기의 압축성

검색결과 389건 처리시간 0.03초

백의 유체역학적 힘과 공기의 압축성 효과 (Effects of Air Compressibility on the Hydrodynamic Forces of a Bag)

  • 이경중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30권3호
    • /
    • pp.51-61
    • /
    • 1993
  • 공기가 차 있는 백이 물에 부분적으로 잠겨서 동요할 때, 유체역학적 문제의 정식화가 Lee(1992)에 의해서 이루어졌으며, 선형항에 대한 계산방법이 주어졌다. 그러나 그의 정식화과정에서는 백내의 압력을 일정하다고 가정하여 공기의 압축성 효과가 무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공기의 압축성을 고려하여 이 문제를 다시 정식화하였다. 이때 공기의 압축과정은 정역학 문제시에는 등온과정, 동역학 문제시에는 단열과정으로 가정하였다. 또한 정역학 계산시 문제가 되었던 평형상태의 안정성이 다루어졌다. 수치계산을 통하여 강체의 경우, 일정 압력, 변동 압력의 경우에 대한 비교검토가 이루어졌다.

  • PDF

익형 주위의 압축성 습공기 유동에 대한 수치 해석적 연구 (A computational study on compressible flow of humid air around airfoil)

  • 이장창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7
    • /
    • 2003
  • 습공기에 포함된 수증기가 상(Phase)변화를 일으킬 때 잠열이 발생하고 이 잠열은 익형 주위의 압축성 유동 상태량들을 변화시키므로, 이러한 열 증가가 유동에 끼치는 영향에 대하여 수치해석을 통하여 연구 수행하였다. 수치해석은 Rusak 과 Lee [1]가 최근에 연구 수행한 미교란 방법(small-disturbance approach)에 근거하여 이루어졌다. 고전적 핵 생성 모델과 작은 물방울 성장(droplet growth)모델을 이용한 이 방법에서는 비평형 균질 응축과정에서 일어나는 열 방출을 묘사한다. 응축에 의한 열전달, 압축성 유동의 운동에너지, 그리고 유동의 열적 상태량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비선형 상호영향을 조사하고, 또한 주어진 문제를 지배가호 있는 상사 파라미터들을 제시하였다. 계산 결과들은 Euler 방정식을 사용하여 얻은 선행 수치계산들과 비교하여 잘 일치됨을 보였다. 상사법칙은 유동 동역학과 응축 상태량들이 상당히 비슷하게 거동하는 다양한 유동 형태들을 제안한다. 압축성 습공기 유동은 유체기계에 사용되는 익형들의 공력 성능을 증가시키는데 응용될 수 있다.

Butterfly 밸브 주위에서의 난류유동의 압축성 현상에 관한 연구 (Numerical experiment for compressible effects around a butterfly valve)

  • ;김철호
    • 오토저널
    • /
    • 제15권2호
    • /
    • pp.105-111
    • /
    • 1993
  • 내연기관의 혼합 가스 생성 장치로 흡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해 Butterfly 밸브가 사용 된다. 이 밸브는 유량의 제어에는 매우 유용한 반면, 밸브 후면에서의 복잡한 공기의 유동현상[6] 으로 인하여 혼합가스의 생성에 장해적인 요소를 제공하기도 한다. 특히 밸브가 많이 닫힌 상태 에서는 밸브와 관로벽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Throttling 현상으로 인하여, 엔진에 고 부하시 흡 입되는 공기의 양이 증가하게 되어, 밸브 주위에서 공기 속도의 급증으로 인하여 유동장의 압축 성 현상을 기대할 수 있다. Throttle의 Choking 현상으로 인하여 공기의 입자는 운동에너지를 잃 게 되고, 궁극적 혼합가스의 생성에 영향을 미쳐 엔진성능의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 는 실제 엔진(Central Fuel Injection Engine, 5 liters) [1]의 흡인 manifold를 modelling하여, 특히 밸브가 많이 닫힌 상태에서, 밸브 주위에서의 난류 유동의 압축성 현상을 정량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 PDF

공기 스프링 댐퍼 시스템(ASDS)의 개발 (Development of Air Spring Damper System(ASDS))

  • 김동백;박흥식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829-838
    • /
    • 2021
  • 연구목적: 경제적, 기술적 이유로 내진설계가 되지 않은 기존의 콘크리트 구조물이나 내진설계나 면진 시공이 어려운 저층의 콘크리트 구조물이 지진력을 받을 때, 액체가 아닌 공기를 이용한 감쇠장치인 공기 스프링 댐퍼 시스템(Air Spring Damper System, ASDS)을 제안하고 한다. 연구방법: 자유진동의 운동방정식에서 감쇠력(Damping Force) 항인 $f_D=c{\dot{v}}$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며, 이 장치가 댐퍼로서의 감쇠능력을 갖는 지에 대하여 실험적, 이론적으로 분석하며 현장적용에 대한 가능성 여부를 검토 한다. 연구결과: 에어 댐퍼 시스템은 제작 및 시공이 간편하고 형상, 크기, 재료 등에 제한이 적어서 댐퍼 의 개수가 증가하더라도 강재 이력형 댐퍼에 비하여 월등히 경제적이라 사료된다. 결론: 공기 스프링 댐 퍼 시스템에서는 감쇠비를향상을 위하여 공기 입출용 구멍의 직경을 줄이는 것이 필수이지만, 직경이 어느 이하의 크기로 줄어들면 공기의 압축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므로 공기 입출용 구멍의 직경과 공 기 압축성의 상관성에 대하여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공기 베어링의 능동제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ctive Control of Air Bearing)

  • 이정배;김경웅
    • 한국윤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윤활학회 1993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공장견학
    • /
    • pp.80-84
    • /
    • 1993
  • 공기베어링은 기체으 압축성에 의한 평균화 효과로 운전정밀도가 우수하고 기체의 낮은 점도에 의한 효과로 마찰력과 열발생량이 매우 적으며, 사용가능 온도구간이 저온에서 고온까지 넓고 프로세스 계통내의 기체를 윤활제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그 경우 불순물에 의한 오염이 문제되지 않는 장점등이 있다. 이와 같은 특성과 더불어 공기베어링은 지지 물체를 완전히 부상시켜 운전하므로써 마찰$\cdot$마모와 온도변화에 다른 열변형이 문제되지 않는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서 공기베어링은 현재 정밀기기의 미끄럼면, 각종 측정장치의 테이블지지 기구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반면 공기베어링의 단점으로는 기체의 낮은 점성계수로 인해서 부하능력이 적고 강성, 감쇄계수 또한 적다. 그리고 기체의 압축성으로 인해 뉴메틱 헤머라는 불안정 현상이 생기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스퀴즈 효과를 이용한 능동 공기베어링을 설계, 제작하여 실험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강성과 감쇄 계수가 작은 공기 베어링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드러스트베어링을 대상으로 능동베어링을 설계, 제작하여 그 특성을 연구하고 기초 설계자료를 축적하는데 있다.

  • PDF

진동수주형 파력발전시스템을 탑재한 공기주입식 부유식방파제의 동적거동해석 (Dynamic Response Analysis of Pneumatic Floating Breakwater Mounted Wave-power Generation System of Oscillating Water Column)

  • 이광호;김도삼;정익한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9권6호
    • /
    • pp.305-314
    • /
    • 2017
  • 단독의 파력발전변환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기존 혹은 신설의 방파제에 적용하여 파랑제어와 파랑에너지의 이용을 동시에 도모하는 방식이 많이 추진되어 왔다. 본 연구는 전편의 연구(Lee et al., 2014)에서와 같이 부유식방파제로 연구 개발된 공기주입식 부유식방파제에 진동수주형 파력발전시스템을 탑재한 경우를 대상으로 부유식방파제로의 기능과 파력발전장치로의 기능을 병행하여 검토하였다. 여기서, 전편의 연구(Lee et al., 2014)에서는 공기실내에서 공기의 동적거동에 단열변화에 따른 압축성을 고려한 반면에 본 연구에서는 비압축성의 경우에 구조물의 고정시 혹은 부유시에 각각에 대한 파랑변형율, 공기흐름속도 및 구조물의 운동을 검토하였으며, 공기의 동적거동에 대한 압축성의 고려여부에 따른 결과의 차이를 논의하였다. 수치해석법으로는 선형속도포텐셜이론에 기초한 경계요소법을 적용한다. 얻어진 모든 해석결과에 따르면 공기압축성을 고려한 전편의 연구와 거의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따라서 공기실내에서의 공기거동해석에 압축성을 고려하지 않는 본 해석이 보다 효율적이고, 유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숏크리트 품질관리를 위한 현장 압축강도시험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ield Testing Methods of Compressive Strength for Shotcrete Quality Control)

  • 장석부;홍의준;문상조
    • 한국터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터널공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75-186
    • /
    • 2005
  • 터널공사에서 숏크리트는 가장 중요한 지보재 이므로 시공중 품질관리를 위한 압축강도시험은 매우 중요하다. 현장 타설 숏크리트의 압축강도는 실험실조건에 비하여 낮은 값을 갖고 있어 현장강도 시험은 필수적이나, 적절한 시험방법의 부재로 인하여 코어채취에 의한 압축강도시험이 적용되고 있다. 이 방법은 적절한 샘플채취와 초기강도 측정에 큰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공기압식 핀관입시험법을 고찰하였으며, 압축강도시험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는 점하중강도시험법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향후 연구계획으로써, 현장강도시험기법으로 선정된 공기압식 핀관입시험기의 적정성 평가와 숏크리트 압축강도시험을 대체할 수 있는 점하중강도시험의 적용성 분석계획을 제시하였다.

  • PDF

외부 가압 공기 베어링으로 지지된 스핀들 시스템에서 축과 스러스트 베어링의 직각도 오차가 운전 정밀도에 미치는 영향

  • 고정석;조구환;김경웅
    • 한국윤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윤활학회 1997년도 제26회 추계학술대회
    • /
    • pp.129-134
    • /
    • 1997
  • 현재 외부 가압 공기베어링이 사용되어지는 분야는 PCB 기판, 엔진의 연료분사노즐 등의 고속가공용 스핀들, 전자 기기, 광학 기기 등에 사용되는 초정밀 부품가공용 스핀들, 정밀 측정 기기, 의료 기기, 저온 팽창기등 상대운동을 하는 많은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으며, 이들 분야의 고속화 및 고정밀화 추세에 따라 고속에서의 안정성과 높은 운전정밀도가 보장된 외부 가압 공기 베어링이 요구되고 있다. 정밀 스핀들 시스템에 공기베어링이 사용되는 이유는 윤활제인 공기의 압축성에 기인된 평균화효과로 인하여 어느 정도 형상오차가 존재하더라도 축의 회전 시 떨림 진폭이 흡수되어 높은 운전정밀도를 유지하며 운전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공기의 압축성에 의한 평균화효과로 어느 정도의 떨림 진폭은 흡수되나 형상오차에 의한 떨림 진폭은 작은 크기라도 여전히 남아있게 된다. 따라서, 초정밀 가공 기기나 정밀 측정 기기 등 높은 운전정밀도가 요구되는 곳에 공기베어링이 사용될 경우에 있어서 형상오차는 운전정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각각 두 개의 오비 가압 공기 저널 및 스러스트 베어링으로 구성된 스핀들 시스템에 대한 축과 베어링의 직각도 오차가 운전정밀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해석하고 결과를 고찰하여 스핀들 시스템에 있어서 형상 공차에 대한 기초 설계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자기부상열차의 공력 특성에 관한 수치 연구

  • 원성식;우대천
    • EDISON SW 활용 경진대회 논문집
    • /
    • 제6회(2016년)
    • /
    • pp.55-5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초고속 자기부상열차의 단면도를 통하여 2-D형상을 모델링하고 이를 기반으로 항력과 유동 특성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유동의 마하수가 0.3 이상임을 고려하여 압축성 모델이 사용되었고, 난류모델은 Menter's k-w SST(Shear Stress Transport)모델을 적용시켰다. 2-D 해석과 자기부상열차의 특성상 열차가 공기중에서 주행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하고 공력 특성을 해석하였다.

  • PDF

오일프리 왕복동식 공기압축기 진동저감을 위한 방안 연구 (A Study on Reducing Vibration of Oil-Free Reciprocating Air Compressors)

  • 송민수;박은석;황성욱;오석진;고형근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1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56-662
    • /
    • 2011
  • 최근들어 철도차량 기술은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지만 승차감과 진동 등의 문제는 앞으로도 계속 연구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서울시 7호선 전동차(SR001)에 적용된 공기압축기는 유지보수성 및 점검의 편리함을 고려하여 오일프리 왕복동식 공기압축기를 적용하였다. 하지만 왕복동식 공기압축기는 피스톤의 왕복 운동에 의해 공기를 압축하고 그 관성의 힘 때문에 압축기 및 주위 구조물에 진동을 전파한다. 그 전파되는 진동을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해 오일프리 왕복동식 공기압축기의 마운팅 브라켓에 대한 최적설계를 통해 진동저감 효과를 볼 수 있었고, 그와 더불어 공기압축기 작동시 발생되는 진동을 측정하여 나온 결과 값을 토대로 진동에 대한 주파수 스펙트럼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설계치와 실험결과의 차이를 분석하여 왕복동식 공기압축기의 진동전파 과정을 파악하고,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 하여 진동저감을 위한 대책을 고찰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