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기유입

Search Result 606,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Heating and cooling properties in cultivation room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oyster mushroom according to type of air exchange (외부공기 유입방식에 따른 느타리버섯 생육실의 온도변화 및 자실체의 생육특성)

  • Jang, Myoung-Jun;Lee, Yun-Hae;Ju, Young-Cheol
    • Journal of Mushroom
    • /
    • v.11 no.4
    • /
    • pp.214-218
    • /
    • 201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suitable input method for air exchange about bottle cultivation of oyster mushroom. There was no difference of average temperature in cultivation room, but T1(direct introduction of outside air) was higher than T2(heat exchanger) and T3(air buffer) in the standard deviation. The ratio of cooling operating was the highest in August and in the descending order, T1 54%, T3 43%, T2 33%. At ratio of energy reduction, T2 and T3 were higher than T1. The operating ratio of heater was highest in January and in the descending order, T1 53%, T3 37%, T2 30%. At ratio of energy reduction(%), T2 and T3 were higher than T1 similar to result of cooling operating. Therefore there were largest in August about Cooling Degree-Hour and in January about Heating Degree-Hour. And fruitbody yields quality was excellent in T2 and T3 than T1. The suitable effective type of air exchange in oyster mushroom cultivation are heat exchange and air buffer system.

LCD Ball Spacer 의 하전특성

  • 조현태;양남열;한장식;권순기;황재호;안강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emiconductor Equipment Technology
    • /
    • 2003.05a
    • /
    • pp.116-119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LCD 공정에 사용되는 ball spacer를 전해 연마(Electro-Polishing, EP) 처리된 스테인리스(stainless)관 내부에서 마찰대전으로 하전시켜 하전량을 측정하는 하전 메커니즘과 하전 특성을 관찰하였다. Ball spacer의 농도를 일정하게 하고, 유입하는 공기의 유량을 201pm, 301pm으로 변화시키면서 실험하였다.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은 일정하게 하여 ball spacer의 농도를 분진공급장치(dust feeder)를 통해 변화시키면서 하전수를 측정하였다. 이 때 측정결과는 EP 처리된 스테인리스관에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이 증가했을 때, 하전이 더 많이 되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일정한 공기의 유량에서 주입되는 ball spacer의 농도가 증가했을 때 입자당 하전수가 증가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exhaust gas recirculation in a MILD combustion furnace by using a Venturi nozzle (MILD 이용한 배기가스 재순환에 관한 연구)

  • Ha, Ji Soo;Shim, Sung Hoon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2 no.4
    • /
    • pp.413-419
    • /
    • 2013
  • The present study used the MILD combustor, which has coaxial cylindrical tube. The outside tube of the MILD combustor corresponds to the exhaust gas passage and the inner side tube is the furnace passage. A numerical analysis was accomplished to elucidate the characteristics of exhaust gas entrainment toward the inner furnace with the changes of venturi nozzle geometrical parameters, nozzle position, nozzle gap between high pressure air nozzle and venturi nozzle, and with the change of high pressure nozzle inlet velocity. The entrainment flow rate for the case with the high pressure air nozzle attached at the exhaust gas wall has relatively small change with the change of nozzle gap. That for the case with the high pressure air nozzle exposed to the exhaust gas has monotonically increase with the change of nozzle gap. The flow rate ratio of entrainment flow rate has considerably increase tendency with relatively lower air inlet velocity, on the other hand, that with relatively higher air inlet velocity could be seen relatively small increase.

Jet Entrainment Effect in Buoyant Jet and Iso-Thermal Fire Modeling (부력제트의 주위공기 유입효과 및 등온기체 모델링)

  • Lee, Eui-Ju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3 no.6
    • /
    • pp.111-115
    • /
    • 2009
  • Acetone LIF and Rayleigh scattering measurements were performed to identify the entrainment of ambient air in the buoyant jet qualitatively. The air entrainment near nozzle exit was enhanced with increasing both an axial distance and Reynolds number. The results supported that the air entrainment had to be considered in isothermal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its accuracy. Also, this paper provided an isothermal model based on the ideal plume, of which radiative heat loss fraction was assumed to 0.35 and the entainment of isothermal jet was considered. This simple model could be used in compartment or semi-enclosure fires such as tunnel, and it is more reliable because of introducing entrainment effect in isothermal jet.

Hydraulic Analysis of Air-core Patterns with Various Discharge and Improving Inlet Part of the Underground Bypass Model (유량변화와 지하방수로 유입구모형의 개선에 따른 공기공동양상의 수리학적 분석)

  • Park, Sung Won;Kim, Hyung-Jun;Rhee, Dong S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69-369
    • /
    • 2016
  • 홍수피해 저감을 위한 지하방수로나 지하저류지 등은 홍수 방어를 위한 도심 내의 토지 확보 부담을 줄이며, 집중 호우 발생 시 내수를 초기에 신속하게 배제하여 제내지 침수 피해를 줄이는데 효율적으로 활용된다. 미국 및 일본, 홍콩과 같은 외국에서는 이미 지하방수로 및 지하저류지를 활용한 홍수피해 저감방안을 수립하여 활용하고 있으며, 최근 국내에서도 치수 계획 수립 시 지하방수로 혹은 지하저류지 시설 도입이 활발히 검토되고 있으나 적용사례가 전무하여 제반기술이 부족하고 많은 시행착오가 예상된다. 제반설계기술의 경우는 구조적인 방안이 모색되어야 하며 대표적으로, 지하방수로 유입구 형상이, 동일한 흐름조건에 대한 유량배제효율에 가장 지배적인 영향인자로 알려진 바 있으며 다양한 유입구 형상설계방안이 기존 실험적 연구 및 외국 설계지침에 제안된 바 있다. 지하방수로는 접근 수로를 통해 유입된 유량이 유입구를 지나며 가속되어 와류 흐름을 형성하며 수직 갱도로 유입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지하방수로의 방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유입구에서 흐름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때 유입흐름특성이 사류일 경우 혹은 급격하게 유입 유량이 많아지는 경우 수직 갱도 내에 공기 공동이 형성되어 구조물 파손, 와류의 발생으로 인한 배제효율 감소 등의 피해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수리학적으로 규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하방수로의 기존 유입구형상에 대한 장단점을 비교하고, 개선점을 적용하여 수리모형을 제작하여 개수로 실험장치에 설치하고 다양한 유입흐름조건에 따라 수리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유입흐름조건에 따라 발생하는 유입구의 공기 공동의 발달 및 소멸 그리고 규모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유입부의 가능 단면적이 큰 수직갱도인 경우, 유량배제 효율이 감소되는 분석결과에 적절하게 일치하였으며, 본 연구결과는 향후 지하방수로 설계의 제반기술의 수립 시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하다.

  • PDF

Numerical Analysis of Thermal Environment Control in High-Density Data Center (고밀도 데이터센터의 열환경제어를 위한 수치해석)

  • Kwon, Oh-Kyung;Kim, Hyeon-Joong;Cha, Dong-A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6 no.8
    • /
    • pp.821-828
    • /
    • 2012
  • Increasing heat generation in CPUs can hamper effective recirculation and by-pass because of the larg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exhaust and the intake air through a server room. This increases the overall temperature inside a data center and decreases the efficiency of the data center's cooling system. The purpose of the data center's cooling system is to separate the intake and exhaust air by controlling the computer room air-conditioner(CRAC). In this study, ICEPAK is used to conduct a numerical analysis of a data center's cooling system.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and the entire room are analyzed for different volumetric flow rates. The optimized volumetric flow rate is found for each CPU power. The heat removal and temperature distribution for CPU powers of 100, 120, and 140 W are found to be the best for a volumetric flow rate of $0.15m^3/s$. The numerical analysis is verified through RTI indicators, and the results appear to be the most reliable when the RTI value is 81.

A Study on Smoke Control Effect by Air Supply Method of Smoke Control System (제연설비의 급기방식에 따른 제연효과에 관한 연구)

  • Kim, Hyeong-Seok;Mok, Yeon-Su;Lee, Dong-Hun;Choi, Jae-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11a
    • /
    • pp.302-305
    • /
    • 2011
  • 국가화재안전기준(NFSC 501)의 거실 제연설비에서 공기유입방식은 자연유입방식, 강제유입방식, 인접제연구역 유입방식으로 나눈다. 거실 제연을 위한 3가지의 공기유입방식에 따라 제연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바닥의 면적을 $400m^2$ 이상으로 구획된 제연구역에 대하여 동일실 제연방식인 자연 유입방식과 강제 유입방식에 대하여 실험을 행하였으며, 인접구역 상호 제연방식인 인접구역 유입방식에 대해서도 동일한 제연구역에서 실험하여 제연효과를 비교분석하여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거실제연 설비의 공기유입방식(자연유입방식, 강제유입방식 및 인접한 제연구역 유입방식)에 따른 제연효과를 비교검토하기 위해 Hot smoke를 이용하여 거실제연설비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Flow Entrainment Characteristics of a Coaxial Nozzle Used in a MILD Combustor with the Change of Nozzle Position and Flow Condition (MILD 연소로에서 노즐의 위치와 유동 조건에 따른 유입량 특성에 관한 연구)

  • Shim, Sung-Hoon;Ha, Ji-S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4 no.2
    • /
    • pp.103-108
    • /
    • 2012
  • A MILD (Moderate and Intense Low oxygen Dilution) combustor decreases NOx formation effectively during the combustion process and NOx formation is affected significantly by the exhaust gas entrainment rate toward fuel and air.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the new MILD combustor, which has coaxial cylindrical tube. The outside tube of the new MILD combustor corresponds to the exhaust gas passage and the inner side tube is the furnace passage. The connection pipe is set between the outer side and the inner side tubes and coaxial air nozzle is inserted at the center of the connection pipe. A numerical analysis is accomplished to elucidate the characteristics of exhaust gas entrainment toward the inner furnace with the changes of air nozzle exit velocity, nozzle diameter, nozzle exit position and exhaust gas side pressure. The entrainment rate is proportional to the square root of air nozzle exit velocity and negatively proportional to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exhaust gas side and furnace side pressures. The effect of air nozzle exit position is not considerable on the exhaust gas entrainment.

V형 유입구에 안내깃을 포함한 액체 램제트 엔진 연소실의 3차원 비반응 및 반응 유동 해석

  • 임상규;손창현;문수연;이충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0.04a
    • /
    • pp.9-9
    • /
    • 2000
  • 액체 램제트 엔진의 V형 유입구에 3개의 안내깃이 있은 경우에 대하여 유동 해석을 수행하였다. 수치해석에 앞서 본 연구에서는 ONERA에서 발표한 고체 램제트 연소기에 대한 실험 결과를 유동 해석 결과와 비교하여 해석의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안내깃에 의하여 연소실로 유입되는 공기는 유입구 곡관에서 효율적인 흐름을 유지할 수 있고 분사되는 연료의 분포도 제어될 수 있다. 안내깃의 두께가 큰 경우 자칫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장애물의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두께의 변화에 대한 영향도 계산하였으나 선정된 안내깃에 의한 연소실에서의 유동특성 변화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입구조건을 균일 유동으로 주고 해석한 결과, 연소실에서의 유동은 안내깃의 유무에 따라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러나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의 속도 분포는 다양한 비행조건에서 균일하지 않기 때문에 주 유동을 방해하지 않는 안내깃의 설치는 연소실에서의 좀 더 안정된 화염의 생성을 위해 필요하다.

  • PDF

A Study of Flame Visualization of the APU Gas Turbine Engine Sector Combustor (APU용 가스터빈 엔진 분할연소기의 화염가시화 연구)

  • Kim, Bo-Ra-Mi;Choi, Chea-Hong;Choi, Seong-M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15 no.4
    • /
    • pp.11-17
    • /
    • 2011
  • In order to see flame behavior in the annular reverse gas turbine combustor, sector combustion test was performed. Ignition test by using torch ignition system was carried out at various combustor inlet velocity and air fuel ratio. Also, flame blow out limit was measured by changing fuel flow rate with constant air mass flow rate. In test results, stable ignition is possible at air excess ratio of 6 and this limit is gradually increased with combustor inlet velocity. The minimum blow out limit is about 4 at 40 m/s of combustor inlet velocity. This blow out limit is also increased up to about 10 with increasing combustor inlet velocity. Test result shows that lean blow out limits are increased with air velocity. The highest blow out limit was found at the combustor inlet velocity of 65 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