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기구동기

Search Result 122,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Development of Antinoise type P850WS for Air compressor (방음형 공기 압축기 P850WS의 개발)

  • 이규배;김승목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5.04a
    • /
    • pp.208-212
    • /
    • 1995
  • 공기 압축기는 건설 및 토목공사 현장 등의 산업현장을 비롯하여 각종 공장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공기 압축기에 공급하는 동력은 전기를 사용한 모터와 연료를 사용한 엔진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전기가 공급되지 않는 사용현장에서는 엔진 구동형 공기 압축기가 선택될 수 밖에 없다. 엔진 구동형 공기 압축기는 발생소음도가 모터 구동형보다 훨씬 높음으로 인하여 주변환경에의 소음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방음형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비방음형 공기 압축기에 대하여 방음형을 개발하여 시제품을 제작하고 평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Experimental Study of Operating Parameters for Pneumatic Control Valve in Abnormal Conditions (공기구동 제어밸브 비정상상태 운전변수에 관한 실험적 연구)

  • Kim, Yang-seok;Kim, Dae-woong;Lee, Byoung-oh;Jeoung, Rae-hyuk;Lee, Seung-ho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40 no.6
    • /
    • pp.613-619
    • /
    • 2016
  • A pneumatic control valve performs a major role in controlling the flow of a system or the level of a key tank in many power plants, and its performance should be guaranteed during the plant's lifetime. Its operation starts by supplying air to the pneumatic actuator or by exhausting the air from the actuator. To control the valve position, the amount of air supply or exhaust is adjusted by a control loop where various accessaries are equipped. In this paper, air leakage in the air supply line, changes in the valve packing force, and false adjustments of zero and the span of the positioner are simulated and analyzed using a 2-in pneumatic valve with a position control loop including an I/P converter and positioner, where the valve position is controlled within ${\pm}2%$ of the control pressure at 67% opening position.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afety induction Robot using air sculptures (공기조형물을 이용한 안전유도 로봇 설계 및 구현)

  • Kang, Jin-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7a
    • /
    • pp.235-23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고 성능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공기조형물의 관절 구동과 센서의 환경 인식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시스템을 연구하였다. 객체기반의 공기조형물용 모션제어 시스템은 단일 제어기로의 역할보다 시스템 구성요소로서의 역할이 매우 중요해지므로 시스템 전체의 제어기로 확장시켜 사용하는 방향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의 구동과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객체기반 공기조형물을 연구하였다. 모터제어 방법에 있어 CAN(Controller Area Network) 네트워크를 방식을 통하여 제어를 수행하는 분산제어방식으로 수행하였다. CAN방식은 모션제어 시스템에 도입하여 주 제어기가 하위 제어기에 네트워크를 통하여 명령을 내리며 하위제어기는 주어진 위치 및 속도명령에 대하여 분산적으로 제어를 수행하였다. 따라서 CAN방식을 사용하여 각 제어기의 독립성과 처리속도를 증대시키고 공기조형물의 기능별 확장이 용이하도록 구성하였다. 제어기의 환경은 시스템을 총체적으로 조화롭게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의 역할이 중요시되어 이에 맞도록 설계방안을 연구하였다.

  • PDF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for Air-Operated Actuaotr (공기구동기 성능평가 시스템 개발)

  • Cho T.D.;Yang S.B.;Lee H.Y.;Yang S.M.;Kwon B.S.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5.06a
    • /
    • pp.1770-1773
    • /
    • 2005
  •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AOV(air-operated valve) requires the processes to confirm the actuator system capability.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thrust of the air actuator for the margin evaluation. In this paper, to evaluate and analysis the air actuator, the performance test system and operating program are developed. This system is composed of several sensors such as pressure sensor, LVDT, and LoadCell which are used to get the data for evaluation. The LabVIEW was used for developing the operating program. The test system and operating program are proved through the actual test of the diaphragm actuator.

  • PDF

A Study on the Diagnosis and Failure Mode of AOV Actuators (공기구동밸브 구동기의 고장진단에 관한 연구)

  • Jeong, Gyeong-Yeol;Kim, Byeong-Deok;O, Sang-Hun
    • 연구논문집
    • /
    • s.34
    • /
    • pp.47-58
    • /
    • 2004
  • Power plants rely on air operated valves for the proper operation of many plant system. Many significant problems arise in vital systems of power plants due to air operated valve failures. This paper deals with the diagnosis technique and data acquisition method of an AOV actuator peformance. We constructed AOV diagnosis system and performed some tests to find out whether an AOV actuator was properly designed.

  • PDF

고속 초정밀 장행정용 이중 서보 시스템의 고속 세틀링을 위한 모드 변경 제어 기법

  • Kim, Jeong-Jae;Choe, Yeong-Man;Kim, Gi-Hyeon;Gwon, Dae-Gap;Hong, Dong-Py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emiconductor Equipment Technology
    • /
    • 2006.10a
    • /
    • pp.145-149
    • /
    • 2006
  • 반도체의 고집적화와 LCD의 대형화로 인해 웨이퍼 및 LCD 검사용 스테이지의 성능 향상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고속의 검사속도, 서브마이크론의 검사 정밀도, 그리고 대행정 구동을 위한 이중 서보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이중 서보 시스템은 선형모터로 구동되고 공기베어링으로 가이드 되는 조동 구동부와 보이스 코일 모터(VCM)로 구동되고 공기베어링으로 가이드 되는 미세 구동부로 구성된다. 검사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고속 세틀링을 위한 제어기로서 시간 최적 제어 기법과 시간 지연 제어기를 결합한 모드 변경 제어기를 제안하고 이중 서보 시스템에 구현하여 성능을 평가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a pulse input inverter circuit for plasma air cleaner (DBD 플라즈마 공기청정기를 위한 펄스 전원 입력 인버터 회로 개발)

  • Hwang, Hoon Ha;Jeon, Hyeong Geun;Oh, Hyeon Jun;Lee, Young Hwi;Roh, Chung Woo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20.08a
    • /
    • pp.227-229
    • /
    • 2020
  • 차량 또는 실내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공기청정기는 미세먼지(PM 또는 PM)를 필터만 이용해서 정화하기 때문에 일정 시간 사용하게 되면 필터를 교체해야 하고, 필터를 청소한다고 해도 점점 성능이 저하되어 교체만 한다. 이러한 점이 개선된 플라즈마 공기청정기의 경우 필터 공기청정기에 비해 소비전력이 크다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플라이백 컨버터를 이용한 플라즈마 구동이 아닌 단일 스위치 무손실 인버터(국민대 보유기슬)와 펄스 전원(맥동 전압) 인가를 통한 플라즈마 구동 방식을 제안하고, 기존 DBD 플라즈마 방식이 아닌 자력을 이용한 DBD 플라즈마 리액터의 사용을 제안한다. 그리고 실제 실험 및 측정을 통해 제안 방식의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 PDF

Characteristics of Proteins and Total Suspended Solids Removal by Counter Current Air Driven Type, High Speed Aeration Type and Venturi Type Foam Separator in Aquacultural Water (향류 공기 구동식, 고속 폭기식 및 벤튜리식 포말분리기에 의한 양어장수의 단백질 및 부유 고형물의 제거 특성)

  • SUH Kuen-Hack;KIM Byong-Jin;KIM Sung-Koo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33 no.3
    • /
    • pp.205-212
    • /
    • 2000
  • Experimental investigations on the removal of protein, total suspended solids and turbidity from aquacultural water were carried out by using three types of foam separator: counter current air driven type foam separator (CCADFS), high speed aeration type foam separator (HSAFS) and venturi type foam separator (VFS). The decrease of flow rate by CCADFS, HSAFS and VFS were $0.4,\;66.1,\;77.2 {\%}$ respectively. Protein removal rates by three types foam separator were decreased with the increased hydraulic residence time (HRT). Bellw 0.32 minute and 0.21 minute of hydraulic residence times, protein removal rate of HSAFS and YES was higher than that of CCADFS, respectively. Protein removal rate of VFS was lower than that of HSAFS at any HRT. As increasing the HRT, protein removal efficiency of CCADFS was increased, but that of HSAFS and VES were decreased. The changes of removal rates and efficiencies of total suspended solid and turbidity were similar to proteins.

  • PDF

Conformance-Based Dynamic Performance Optimization of an Actuator (순응도 기반의 구동기 동적 성능 최적화)

  • Son, Young-Kap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6 no.11
    • /
    • pp.1327-1334
    • /
    • 2012
  • This study shows the conformance-based design results of a fourth-order dynamic actuator showing a performance variation caused by variation in the components as well as aero-induced disturbances. The actuator comprises a BLDC motor, spur gear and worm gear assembly, and canard. The actuator performance was evaluated by using time-variant angle information of the canard. Based on the response surface models, critical system variables were screened using F-tests, and then, the performance was approximated as a function of the variables because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performance of a high-order dynamic system as a function of system variables through analytical approaches. In this study, the conformance of uncertain performance to the specification was defined as a probability measure. The design variables obtained by optimizing the measure can provide actuator performance conforming to the specifications considered, even though there is a variation in both the components and the aero-induced disturba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