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기공급법

Search Result 55,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중유화력발전소에서 NOx 저감 연소기술의 적용 사례 연구

  • 허철구;이기호;문성홍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38-40
    • /
    • 2003
  • 본 연구에서 적용한 저 NOx 연소법의 NOx 저감 효과를 비교해 보면 다단 연소법이 지연연소 효과와 국부적인 최고 화염온도 감소, 고온부에서의 산소농도 감소효과 등이 동시에 나타나 저 과잉공기 연소법, 배기가스 재순환법, 이단 연소법 보다 더 큰 NOx 저감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총 공급공기 량에 대한 분할 공급공기량의 비가 일정수준 이상으로 커지면 CO 발생량 증가로 효율저하 등의 문제점이 우려되므로 연소상태를 저하시키지 않는 공급비를 산정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Ignition Characteristics of n-Dodecane Fuel Droplet on a Hot Surface (n-Dodecane 연료의 고온면 점화특성)

  • Kim, Sung-Cha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4 no.1
    • /
    • pp.116-121
    • /
    • 2010
  • The present study has been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gnition characteristics of a n-dodecane fuel droplet on the hot surface. Simplified bench scale test setup was built to examine the effect of air flow on the ignition temperature of fuel droplet. IR pyrometric sensor was used to measure the surface temperature, the measured temperature using IR pyrometer was directly compared with k-type thermocouple. The ignition of n-dodecane fuel droplet was divided into two stage - cool flame and hot flame - with the air flow rate except the case of air flow rate 3.0 lpm. The ignition temperature and probability was greatly affected by the air flow rate and the MHSIT of the present study was about $300^{\circ}C$ for air flow rate of 0.5 lpm.

항류 공기 구동식, 고속 폭기식 및 벤튜리식 포말분리기에 의한 양어장 수의 단백질 및 부유 고형물의 제거 특성

  • 김병진;서근학;조재윤;김성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284-285
    • /
    • 2000
  • 분산된 공기 기포에 의해 고형물을 제거하는 포말분리법은 30 $\mu\textrm{m}$이하의 미세 입자와 용존 고형물을 매우 효율적이면서도 경제적으로 운전을 할 수 있고 연속 운전이 가능하며 역세척이 필요 없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Clarke and Wilson. 1983). 현재 사용되고 있는 포말분리장치는 공기의 공급방식과 유체과 공기의 접촉방향에 따라 항류 공기구동식(counter current air driven type, CCAD), 고속 폭기식(high speed aeration type, HSA), 벤튜리식(venturi type) 등이 있으나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연구되어 오고있는 포말분리 장치는 공기구동 방식이 전부이다. (중략)

  • PDF

물 플라즈마 젯을 이용한 라디칼 미스트 생성 및 살균효과

  • Ma, Suk-Hwal;Heo, Jin-Yeong;Kim, Gang-Il;Mun, Se-Yeon;Hong, Yo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6.02a
    • /
    • pp.192.1-192.1
    • /
    • 2016
  • 최근 들어, 열악한 실내 공기 환경과 미세 먼지의 유입으로 아토피 피부염, 알레르기성 비염 및 천식 등의 감염성 질환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공기 중 병원균(Airborne pathogens)을 친환경적으로 제거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은 물을 이용하여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시스템이다. 기존 플라즈마를 이용한 공기 정화 장치는 공기를 사용하여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므로 오존과 같은 인체에 유해한 물질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물을 사용하여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므로 활성 라디칼들이 포함된 물을 미스트 형태로 분사하여 인체에 무해하며, 대기 중 병원균 살균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물 플라즈마 젯 분사장치는 전원 공급 장치, 플라즈마 전극 그리고 플라즈마 노즐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입되는 물을 기반으로 플라즈마를 발생시킨다. 장치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오실로스코프로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였고 적정법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활성 라디칼들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살균 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병원균 중 대표적으로 대장균을 배양하여 살균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결과적으로 90% 이상의 대장균이 사멸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Desorption of Organic Compounds from the Simulated Soils by Soil Vapor Extraction (인공토양으로부터 토양증기추출법에 의한 유기화합물의 탈착 현상에 관한 연구)

  • 이병환;이현주;이종협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1998.06a
    • /
    • pp.22-26
    • /
    • 1998
  • 토양오염 정화방법의 하나인 토양증기추출법(soil vapor extraction, SVE)은 오염된 토양에 진공 또는 가압의 공기를 공급하여 연속적인 공기 흐름을 유도함으로써 토양의 기공에 잔류하는 유해화합물의 증발을 촉진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공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토양증기추출법의 효율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 가운데에서 토양의 수분함량과 오염물질의 종류가 오염물질의 제거효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과 계산을 수행하였다. 인공토양으로 glass bead, sand, molecular sieve가 사용되었으며. 오염물질로는 톨루엔. 메틸에틸케톤, 트리클로로에틸렌이 사용되었다. 각 실험에 대하여 프로인들리히 등온식과 기공확산모델 등을 고려하여 계산을 수행한 결과, 수분이 없는 경우에는 탈착식에 의해, 수분이 있는 경우에는 interparticle에서의 확산 현상에 의해 오염물질의 제거속도가 지배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정화대상지역에 SVE를 이용한 적절한 정화방법을 설계하는데 기초자료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브로일러 수익성은 사육환경이 결정한다

  • 유일웅
    • KOREAN POULTRY JOURNAL
    • /
    • v.24 no.3 s.269
    • /
    • pp.140-142
    • /
    • 1992
  • 브로일러를 생산하는데 있어서 환기가 매우 중요한 요인의 하나가 되는 것은 말 할 필요도 없다. 그러나 브로일러 농장의 실태를 볼 때 환기조작이 적절하지 않은 예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중요한 것은 기상조건의 변화를 예측해 보는 것이 필요한데 이는 환기가 브로일러의 발육과 건강을 위해 이상적인 환경을 만들어 내는데 중요하기 때문이다. 사내환경이 부적절 할 때 브로일러의 발육저하가 발생되며 성장률도 나빠지고 사료효율도 저하된다. 또 깃털상태도 좋지 않아 상품의 질이 떨어져 결국 수익저하로 이어진다. 현재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브로일러 계사는 환기가 좋지않은 경우가 많이 보이는데 커텐을 사용할 때 자연환기를 이용하는 계사에서는 주의깊은 점검을 필요로 하고 결국은 보다 안정된 환경을 공급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 양계장에서 활용하고 있는 강제환기법은 기본적으로 팬을 이용해 계사내의 공기유동을 조정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강제환기에는 계사내에 공기를 끌어들이는 방식과 계사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나가는 방식이 있다.

  • PDF

A Study on Bubbles Generated from Water Plasma for Application of DAF Process

  • Park, Jun-Seok;Yu, Seung-Yeol;Yu, Seung-Min;Hong, Eun-Jeong;Seok, Dong-Chan;Hong, Yong-Cheol;No, Tae-Hyeop;Lee, Bong-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2a
    • /
    • pp.232-232
    • /
    • 2011
  • DAF는 기존 침전 공정에 비해 뛰어난 정수 품질과 빠른 처리 시간으로 차세대 정수 공정으로 각광 받고 있다. DAF는 기포 생성 방법에 따라 용존 공기 부상법, 분산 공기 부상법, 진공 부상법, 전해 부상법, 미생물학적 부상법 등이 있다. 이 중 가장 많이 쓰이는 방식은 용존 공기 부상법으로, 과포화 상태의 기체와 액체의 혼합액을 압력을 급격히 감소시켜 기포를 발생 시키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기포의 발생은 많지만 장비의 크기가 거대하고 시설제조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수중에서 발생되는 플라즈마는 그 구조와 메카니즘에 따라 생성되는 버블의 양을 제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모세관 형태의 전극을 이용한 수중 방전은 전원 공급 장치만 있다면 적은 공간으로도 효과적으로 기포를 생성 할 수 있기 때문에, 수중 방전을 이용하여 기포 발생 후 DAF에 적용 가능한지 알아보고자 한다. DAF공정에서 필요한 요인으로는 기포의 크기, 개수, 성분 물질 등이 있는데, 그 중 가장 핵심은 기포의 크기 이다. 그래서 간단한 전원 장치와 리액터 제작 후 방전에 최적화 된 전극으로 기포를 발생시켜 기포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기포의 크기는 전극의 직경과 방전공간의 비율에 따라 제어가 가능함을 확인하였고 평균 기포의 크기는 약 50 ${\mu}m$로서, DAF에 적용 할 수 있는 크기이다. 일반적으로 기포의 사이즈가 작을수록 입자 제거율이 높은데, 실제 DAF공정에서 사용되는 기포의 사이즈는 80 ${\mu}m$정도 이다. 따라서 개발된 기포 발생장치를 DAF 공정에 응용한다면 높은 효율을 가질 것으로 판단된다.

  • PDF

Fabrication of SOFC cell by transcription-method (전사법을 이용한 SOFC Cell 제작 및 출력특성)

  • Koo, JaBin;Choi, ByeongHyeon;Ji, MiJeong;An, YongTae;Hwang, HaeJi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11a
    • /
    • pp.91.1-91.1
    • /
    • 2011
  •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lid Oxide Fuel Cell이하 SOFC)는 연료가 갖는 화학에너지를 연소과정 없이, 공기와 H2, CO, CH4와 같은 환원성 가스를 공급받아 $600{\sim}1000^{\circ}C$에서 전기화학적 반응을 통하여 직접 전기를 얻는 방식이다. SOFC는 $700^{\circ}C$ 이상의 고온에서 고체산화물이 연료와 공기가 반응하여 전기와 열을 동시에 생산하기 때문에 carnot cycle의 제한을 받지 않아 발전효율이 40% 이상으로 고효율이고, NOx 및 SOx를 배출하지 않아 무공해이며, moving parts가 없어 소음이 나지 않고, 건설과 증설이 지역이나 기후 조건에 제약 없이 용이하고, 다양한 용량이 가능하며, 고가의 백금 촉매를 사용하지 않으며, 수소, 석탄가스, 천연가스 등의 연료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 또한 다향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으며 전해질이 고체에서 전해질 손실 및 보충에 문제가 없고 타 연료전지에 비해 개질기가 필요 없어 발전시스템이 간단하고 경량화가 가능하다. 전사법은 paste를 제작하여 전사용지에 Screen printing하여 건조 후 coating하는 방법으로 기존의 여러 coating 방법보다 제작이 용이하고 소재의 크기, 두께조절이 간편하며, 구성층의 표면조도나 굴곡에 대응이 용이한 방법이다. 본 실험에서는 paste 제조, 전사법을 이용하여 Anode, AFL, Electrolyte, CFL, Cathode전사지를 제작하고 이를 세라믹 평관형 지지체에 변수로 두께 조건별 Coating 한 후 $1400^{\circ}C$ 소결을 진행하여 SEM 분석으로 미세구조 관찰, 출력특성 및 Impedance을 확인하였다.

  • PDF

Foam Separation in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순환여과식 양어장의 포말분리)

  • SUH Kuen-Hack;LEE Min-Gyu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30 no.2
    • /
    • pp.239-243
    • /
    • 1997
  • A continuous foam separator has been used to remove TSS, $NH_3\;and\;NO_2^-$ from the recirculating water in aquaculture. Experimental runs were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foam separation variables, such as, hydraulic retention time, superficial air velocity and foam .height. The removal efficiency of TSS, $NH_3\;and\;NO_2^-$ was increased with hydraulic retention time and superficial air velocity, and removal efficiency of $NH_3$ was increased steadily with foam height. As DO concentration was increased with superficial air velocity and foam height, foam separator is also used for oxygen addition. It was concluded that foam separator might offer better perspective for removal of harmful components in fish culture water.

  • PDF

On the Effect and Design of Diffusing Aerator for Thermal De-stratification (산기장치를 이응한 호수의 성층파괴효과와 설계)

  • Song Museok;Seo Dongi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5 no.3
    • /
    • pp.16-22
    • /
    • 2002
  • The effect and the overall optimal operation of artificial aeration devices for mixing of thermally stratified water reservoir are under study, and its brief introduction is made. The study site is Yeoncho Lake in Geojae island, which is well known for its eutrophication problems in the summer. A few samplings have been made before and after the operation of two types of artificial aerators, and the effect is believed to be positive. Also, design methodology for such artificial aerators is reviewed and a few are applied to the case of Yeoncho Lake. Schladow's[1993] proposal is believed most proper based on the information we have gathered by now. In addition, a simple numerical experiment is also peformed to see the overall effect of the device on the flow and temperature profi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