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급망 보안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5초

스마트그리드 환경에서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인증 기법 연구 (A Study on Authentication Scheme Using Smart Cards in Smart Grid Environment)

  • 정수영;곽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715-718
    • /
    • 2013
  • 단방향 통신을 하는 기존의 전력망에서 할 수 없었던 전력수요 모니터링, 신재생 에너지 활성화 등이 가능하도록 소비자와 전력 사업자간의 양방향 통신을 하는 스마트그리드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스마트그리드는 기존 전력망에 IT기술을 접목하여 전력 사업자와 소비자 간의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력 사용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을 하며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생산량이 불안정한 신재생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 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하지만 양방향 통신을 위해 공개망과 연계되면서 기존의 공개망이 갖고 있는 정보 변조, 위장 공격 등의 보안위협이 그대로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인증을 통해 스마트그리드 환경에서 전송되는 정보에 대한 위장이나 조작 등의 보안위협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한다.

스마트그리드 환경에서 안전한 키 분배 기법 (Secure Key Distribution Scheme in Smartgrid Environment)

  • 정수영;곽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584-586
    • /
    • 2013
  • 스마트그리드는 기존의 전력망에 IT기술을 접목하여 기존 전력망의 노후화, 안정적인 전력 공급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고 안정적인 전력 공급, 신재생에너지의 효율적 활용, 각 가정의 전력 구매/판매 가능 등의 장점을 갖고 있다. 하지만 폐쇄 망으로 운영되는 환경을 공개망으로 전환하기 때문에 소비자의 정보, 전력 사용량 등을 전송하는 통신과정에서 악성코드 유포, 해킹 등의 보안 위협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미터와 AMI 서버간의 안전한 통신을 할 수 있는 안전한 키 분배 기법을 제안한다.

PLC 홈네트워크의 보안 취약성 및 대응방안 분석 (Analysis of Security Weakness and Countermeasure in PLC-based Homenetwork)

  • 주성호;임용훈;박병석;김태완;김영현;최문석;이범석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06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 /
    • pp.478-480
    • /
    • 2006
  • 고속 PLC 기술의 실현으로 인한 외부 엑세스망과의 연동이 가능해지고, 댁내에서 저속/고속 PLC 기술의 활용으로 생활기기의 제어와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 질 경우 다양한 흠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PLC 기술 기반의 다양한 서비스들이 PLC 엑세스망 및 홈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될 경우, 다양한 보안 취약성을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현재 흠 네트워크에서 제기되고 있는 보안 취약성뿐만 아니라 PLC 기술을 적용할 경우 발생가능한 모든 보안적 문제점을 살펴볼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되고 있는 보안 서비스 모델을 PLC 기반의 흠 네트워크 보안과 연관하여 최적의 보안시스템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PLC망에서의 보안 취약성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대응방안을 분석하여 PLC기반의 홈네트워크 보급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한다.

  • PDF

스마트 그리드에서의 프라이버시 보호

  • 박남제;안길준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62-78
    • /
    • 2010
  • 최근 그린 IT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저탄소 녹색성장의 완성을 위해 지능형 전력망으로 불리는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 기술을 도입하여 빠른 환경 변화에 한발 앞서가고 있다. 스마트 그리드를 통해 전력망이 진화하고 있지만 사이버 공격과 비고의적인 위험노출에 대한 우려도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전력망이 갈수록 복잡해지고 서로 연결됨에 따라 유틸리티 공급업체의 사이버 보안 위협을 위한 노력이 점차로 중요하게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그리드의 개인정보보호 필요성과 침해 유형들을 살펴보고, 스마트 그리드에서의 프라이버시 보호에 대한 고려사항과 보호 제공방안을 고찰하도록 한다.

스마트 그리드 환경에서의 키 관리 가술 동향 분석

  • 최동현;원동호;김승주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1-47
    • /
    • 2010
  • 지구 온난화와 같은 환경 문제와 에너지 소비 증가에 따른 에너지 확보의 어려움에 많은 국가들이 어려움을 격고 있다. 이러한 에너지 확보 문제와 지구 온난화라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제안된 것이 스마트 그리드 (Smart Grid) 이다. 스마트 그리드란 기존 전력망에 IT기술을 접목하여 공급자와 소비자가 양방향으로 실시간 전력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하는 전력망이다. 기존의 폐쇄이던 전력망이 다양한 이해당사자가 참여하는 상호운용성이 보장되는 개방형 구조를 가지게 됨으로써 이에 대한 보안 기술 개발이 시급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러한 스마트 그리드 환경에 대해 설명하고 이러한 환경에서의 안전한 키 관리 기술에 대한 동향을 살펴본다.

정형 기법을 이용한 하드웨어 AES 모듈 백도어 탐색 연구 (Study of Hardware AES Module Backdoor Detection through Formal Method)

  • 박재현;김승주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9권4호
    • /
    • pp.739-751
    • /
    • 2019
  • 임베디드 기기의 보안성이 주요한 문제로 부상하고 있다. 관련된 문제 중 특히 공급망 공격은 국가 간의 분쟁으로 이어질 수 있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공급망 공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하드웨어 구성요소, 특히 AES와 같은 암호 모듈에 대한 CC(Common Criteria) EAL(Evaluation Assurance Level) 5 이상 고등급 보안성 인증 및 평가가 필요하다. 고등급 보안성 인증 및 평가를 위하여 암호 모듈에 대한 은닉 채널, 즉 백도어를 탐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로는 암호 모듈 그 중 AES의 비밀 키를 복구시킬 수 있는 정보가 유출되는 백도어를 탐지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기존의 하드웨어 AES 모듈 백도어의 정의를 확장하여 개선시킨 새로운 정의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이 정의를 이용하여 기존 연구가 탐지하지 못했던 백도어를 탐색하는 과정을 제시한다. 이 탐색 과정은 Verilog HDL (Hardware Description Language)로 표현된 AES 모듈을 정형 기법 도구인 모델 체커(Model Checker) NuSMV를 이용하여 검증하는 것으로 백도어를 탐색한다.

개방형 자동 수요 반응 시스템 보안 취약성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curity Vulnerability Analysis of Open an Automatic Demand Response System)

  • 채현호;이준경;이경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5호
    • /
    • pp.333-339
    • /
    • 2016
  • 인터넷 기반 전력 수요 관리 망에서 소비자와 공급자간 전기에너지 공급과 사용을 최적화, 효율화하기 위한 기술은 스마트 그리드 망에서 핵심 요소 기술로 대두되고 있다. 현재 전력 수요 관리 망에서 수요 반응 신호를 전기에너지 공급자와 시스템 제공자 및 사용자까지 전달하는 개방형 자동수요반응 표준 프로토콜은 openADR 2.0b가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은 가장 신뢰성 있고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어 있는 EPRI 오픈 소스를 사용하여 개발한 VEN, VTN 시스템의 다양한 공격 취약성에 대한 분석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공격용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EPRI 오픈 소스로 구현한 VEN, VTN 시스템을 다양한 방법으로 공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고 분석 결과 VEN, VTN 시스템이 파라미터 변조 공격, 서비스 플로우 변조 공격에 대한 보안 취약성이 존재한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개방형, 양방향 통신 환경의 스마트 그리드 망에서 openADR 2.0b 프로토콜을 구현할 때는 다양한 보안 취약성을 고려한 프로토콜에 특화된 보안 기술이 반드시 모색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스마트그리드의 안전성과 보안 이슈

  • 정교일;박한나;정부금;장종수;정명애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4-61
    • /
    • 2012
  • 최근의 전력난,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태 등은 전력생산이 상대적으로 적은 나라에게는 큰 부담이 아닐 수 없다. 이러한 배경에서 스마트그리드라는 지능형 전력망의 개념이 도입되었고, 우리나라도 녹색성장에 힘입어 적극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그리드에도 소규모 분산 전원공격, 양방향 통신 프로토콜 공격, 배전망 관리센서 공격, 보안에 취약한 스마트 미터에 대한 공격 등의 사이버공격이 이루어지고 있어 전력 공급은 물론 전체 시스템에 타격을 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보안 체계에 대한 요구 사항을 정리하고, 안전성이 보장하기 위하여 필요한 이슈를 제기하고자 한다.

스마트 그리드 사용자도메인의 개인정보보호방안 연구 (A Study of Personal Data Protection Method of Customer Domain on Smart Grid)

  • 최동민;심검;정일용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359-361
    • /
    • 2012
  • 스마트 그리드는 전력망에 정보기술을 접목하여, 전력공급자와 소비자가 양방향으로 정보를 실시간으로 교환하고 에너지효율을 최적화하여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차세대 전력망이며 기존의 전력 시스템과는 달리 시스템의 개방성이 높아짐으로서 보안위협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보안 위협 중에서 본 연구는 전력망 소비자의 개인정보와 밀접한 관련을 갖는 사용자도메인에서 발생가능한 개인정보 침해 위협을 분석한다.

  • PDF

스마트그리드 장비의 보안 위협 요소 (Security threats of SmartGrid equipments)

  • 임용건;박정규;이근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928-931
    • /
    • 2011
  • 스마트 그리드는 기존의 전력망에 IT를 접목하여 전력 공급자와 소비자가 양방향으로 실시간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 하는 차세대 지능형 전력망이다. 지능형 전력망을 구축하기 위해 제품에 스마트 칩이 내장되어 있어 각 가정이나 빌딩마다 저장장치를 구비하여 저가 전기를 충전했다가 고가 시간대에 재사용하는 이러한 스마트그리드 홈서비스가 구축 될 것이다. 이러한 홈서비스에서 사용될 스마트그리드 장비의 보안 위협 요소를 알아보고 이에 대한 해결 대응 방안을 제시 한다.